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1
공유
주택난에 만들어진 36만 반지하, 올해 전수 조사하는 이유는?
2020.04.14
스크랩
14
영화의 힘이 엄청나구나.
국토교통부가 올해 반지하를 전수조사해서
주거복지사업을 추진한대.
반지하?
안그래도 기생충에서 폭우로
침수되던 반지하 집이 너무 충격적이였는데,
그 영향인가보네?
크게보기
기생충
크게보기
기생충
ㅇㅇ.
기생충으로 반지하의 열악한 환경이
함께 주목받게 됐나봐.
살 집 없어 나온 '기생충' 반지하···이젠 주차난에 사라진다
https://news.joins.com
그러고보면 나도 반지하에 대한
논의는 별로 본적이 없는것 같아!
반지하를 원룸가에서 많이 보긴 했는데.
영화에서도 소외된 지역으로 나오긴 하지.
크게보기
그거 알아?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전국에 36만3896개의 반지하 가구가 있는데
이 중 96%가 수도권에 몰려 있대.
크게보기
와.. 96%?
아무래도 수도권의 주택난 때문이려나..
크게보기
ㅇㅇ 맞아.
1970~80년대 경제개발로
대도시로 사람이 몰리는데 살 집이 부족했거든.
80년대면 어느 정권이지?
크게보기
전두환 정부야!
전두환 정부가 주택 500만 호 공급계획을 짰지만,
목표량을 채우기가 벅찼던 거지.
그래서 건축법을 완화하게 됐대.
ㅇㅎ.
지하층에도 사람이 살 수 있게 법을 바꾼 거구나!
맞아! 원래는 대피소나 보일러실 목적이였어.
그 공간에 사람이 살 수 있게 되면서
건물주로서는 임대공간이 더 생기고,
임차인으로서는 저렴하게 살 집이 늘어나게 된 거지.
그랬구나..
하지만 문제는 지하 공간이 환기도 잘 안 되고
살기에 열악했던 거야.
크게보기
습기로 곰팡이가 핀 반지하
그때는 층고의 3분의 2가 지하에 묻혀 있었거든!
지금은 아니야?
ㅇㅇ.
크게보기
84년에 층고의 2분의 1만 묻혀 있도록 법을 개정했대.
지하를 조금이라도 더 지상에 노출해
볕이 들어가도록 한 조치지.
하지만 이로 인해 지하층 설치가 급격하게
확산하는 계기가 됐대.
본격적인 주거공간이 되기 시작했구나.
하지만 이런 반지하는
2005년부터 점점 줄어들게 돼.
왜?
골목길에 다가구주택이 빽빽이 들어서고
주차난을 겪자, 정부가 건물을 신축할 때
주차공간을 더 확보하도록 주차장법을 강화했거든.
크게보기
2000년에 그렇게 법이 개정된 뒤로,
반지하를 팠다가는 주차장 확보가 안 되니
반지하를 두는 대신 필로티 건물을 짓게 된 거야.
크게보기
필로티 건물
그렇구나...
그래서 내가 본 반지하 집들이
대부분 벽돌로 지어진 예전 건물이었군.
하지만 반지하에 사는 사람들이 사라진 건 아니야.
여름 장마철만 되면 침수 피해가 생겨
뉴스에 나오는것 너도 봤지?
크게보기
반지하 주택 침수
크게보기
반지하 주택 침수
응...태풍 때마다 본 것 같아.
막연하게 뉴스로만 접하다가
기생충을 보면서 문제의식을 이제서야 느끼게 된 거고.
ㅜㅜ
크게보기
국토부에서 반지하 가구의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6월까지 전수조사해, 임대주택을 우선공급하는 등
복지사업도 추진한다고 하니 지켜보자구!
크게보기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국토부에서 반지하 가구의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6월까지 전수조사를 실시함.
전국에 36만3896개의 반지하 가구가 있으며 이 중 96%가 수도권에 몰려 있음.
2000년, 주차난으로 주자장법이 강화되면서 반지하를 두는 대신 필로티 건물을 짓게됨.
주택난에 만들어진 36만 반지하, 올해 전수 조사하는 이유는?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