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꿈의 치매 치료제...바다 골칫거리 ‘해파리’가 단서될까?
2023.10.24
스크랩
7
여름철 피서객에게는
공포의 대상이고,
어민들에게는 골칫거리인
해양동물이 뭐게~?
크게보기
[t사진 출처: 픽사베이]
으음? 가을된 지 오랜데...
바깥 풍경을 보라구잉~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갑자기 여름철 피서 얘기를!?
에헤이~ 쨔샤~
다 이유가 있으니까 맞혀봥ㅋ
흐흠~ ㅇㅋ!
정답은 해파리 아니야!?
해파리가 유해 해양생물로
잘 알려져있잖아~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오~ 맞아 정답이야 (뿌듯)
크게보기
[사진 출처: SBS 케이팝스타]
해파리...맹독...무서웡...
괜히 여름에 해수욕장 놀러가면
해파리 만날까봐 쫄아ㅠㅠ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오 얘기 잘 꺼냈어!
사실 오늘의 주제가
해파리의 맹독에 대한 거거든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오잉? 맹독....!? 무슨 일이길래!
누가 맹독에 다친겨?
크게보기
[사진 출처: 에비츄]
노놉~ 오히려 반대일지도?
해파리의 맹독이 앞으로
엄청난 역할을 할지도 몰라!
최근 해파리 독소에서
치매를 억제하는 물질이 발견됐거든
뭐시라!??!
이건 예상 못한 전개인데??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그치 ㅎㅎ
오늘 대화의 주인공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염승식 박사 연구팀인데..
우웅
염 박사 연구팀이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형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성 물질을
두 종류의 해파리 독에서 발견했대!
크게보기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연합뉴스 /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형성된 치매 환자의 뇌신경]
ㅈ..잠깐 아밀로이드...뭐?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ㅋㅋㅋㅋ 간단히 얘기하면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는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있음~
앗 빠른 이해 도와줘서 땡큐ㅎ
그럼 방금 말한 해파리
두 종류는 뭐야!?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바.로.바.로
우리나라 남해안에 주로 출현하는
독성 해파리 종 ‘작은상자해파리’와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말레이해파리’이지용~
크게보기
[사진 출처: KIOST / (왼쪽부터) 말레이해파리와 작은상자해파리]
헐 뭔가 영롱하게 생겼네ㅋㅋㅋ
근데 근데!??!
연구팀은 이 해파리들의 유전체 정보로부터
신경계에 작용할 걸로 예상되는
독단백질들의 정보를 추출한 뒤에,
이들 중 일부를 합성해서
기능분석을 진행했어
오호!
이후 작은상자해파리에서 추출한
펩타이드 ‘CBRV1-04369’와
‘말레이해파리’에서 추출한
‘SMA_04088-2’가 아밀로이드 베타의
올리고머화와 섬유화를 저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대 ㄷㄷㄷ
크게보기
[사진 출처: 경북일보 / 작은상자해파리 독소 CBRV1-04369의 아밀로이드 올리고머화 저해(왼쪽) 및 아밀로이드 섬유화 저해(오른쪽) 효과]
오... 대단한 발견인 건 알겠는데
말이 좀 어렵다잉;;;ㅎㅎ
크게보기
[사진 출처: 에비츄]
앗 오키ㅋㅋ
분석 결과를 간단히 말하면
이들이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형성을 막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는 거지용
크게보기
[사진 출처: 경북일보 / 말레이해파리 독소 SMA_04088-2의 아밀로이드 올리고머화 저해(왼쪽) 및 아밀로이드 섬유화 저해(오른쪽) 효과]
근데 이거 완전 획기적인 발견 아냐?
고령화가 전 세계에 급속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으니까!
그치~
22일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65세 이상 치매환자는
2018년엔 75만명 수준이었는데,
작년엔 94만명으로 급증했지ㅠㅠ
올해는 100만명에 육박할 걸로 예상되고;;
크게보기
[사진 출처: 세계일보 / 자료: 중앙치매센터]
헐 치매환자 100만명 시대라닛...ㅠㅠ
그럼 이번 연구 결과가
치매 개선제나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시킬 수 있겠구만!!!
크게보기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문화일보]
맞아 ㅎㅎㅎ 강도형 KIOST 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유해 해양생물인 해파리 독이
유용 해양바이오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우웅
"향후 연구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대!
우와~
후속 연구 잘 되면 좋겠다 ㅎㅎ
크게보기
[사진 출처: 짱구는 못 말려]
게다가 치매 억제 단백질이
DNA 분석과 합성 등으로 발견된 거라,
해파리를 잡지 않아도 대량 생산할 수 있고
효능 조절도 가능하거든 ㅎㅎㅎ
크게보기
[사진 출처: 인터넷 커뮤니티]
헐 앞으로 저 두 종류 해파리들
생명에 지장이 가면 어쩌나~
내심 걱정됐는데 이것도 다행이네!
후속 연구가 기대되는 이유가
또 생겼구만~ @.<
그치? 암튼 오늘의 대화는
여기서 끄으으으읏~~
오늘 하루도 파이팅!!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골칫덩이 해양생물로 여겨지는 해파리의 독소에서 치매 억제 물질이 발견됐습니다.
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해파리의 독단백질에서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형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성 물질을 발견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되면, 치매 개선제 또는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을 걸로 기대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알츠하이머 환자, 왜 낮보다 밤에 증상이 심해질까?
2023.08.12
알츠하이머 신약 논란 속 첫 환자 투약..치매 정복의 꿈
2021.06.18
피서객 42명 쏜 공포의 해파리 그 범인은?
2022.08.17
꿈의 치매 치료제...바다 골칫거리 ‘해파리’가 단서될까?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