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일본, 고려 팔만대장경 인쇄본 유네스코 등재 추진...왜?
2023.12.01
스크랩
3
아니 이거 뭐임??
韓 문화 유산인데…日, 고려대장경 인쇄본 유네스코 등재 시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25287?sid=104
썰리야 일본이
고려 팔만대장경 인쇄본을
유네스코에 등재한다는데?
응응 너도 봤구만...
아니... 고려 팔만대장경은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이잖아!!
800여 년 전에 몽고 침입을
불교의 힘으로 막아보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거고!!
크게보기
[사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해인사에 소장 중인 고려 팔만대장경의 모습]
ㅇㅇ 맞아 팔만대장경은
우리 국보 32호이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지;;
근데 일본 정부가...
팔만대장경 인쇄본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니!?!?
이게 뭔 일인데!?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사실 이번이 첫 번째 추진도 아님;;;
일본은 2년 전에도 이 불경에 대해
유네스코 등재 신청을 했는데
지난 5월 최종심사에서 탈락했거든
뭐? 이미 탈락했는데
또 추진하는 거라고?
....충격의 연속인데
왜 이러는 거지...
크게보기
[사진 출처: 게비스콘 광고]
오늘 이 이슈를 주제로
얘기해봐야겠구만;;;
어어 어떻게 된 일인지
자세히 좀 알려줘ㅡㅡ
지난달 2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은 중국 송나라와
원나라의 대장경 인쇄물을 비롯해서
팔만대장경 인쇄물까지 2025년을
목표로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출처: 연합뉴스 /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캡처]
지금 팔만대장경 인쇄물이
일본에 있는 거야??
ㅇㅇ 여기는 조선 건국 직후인
1393년에 세워진
'조조지'라는 사찰인데,
크게보기
[사진 출처: YTN 방송화면 캡처]
응응
이곳에 고려 팔만대장경 활자로
인쇄된 불경이 보관되어 있지
이 팔만대장경 인쇄물은
약탈 문화재는 아닌 거야?
ㅇㅇ 일본은 해당 인쇄물은
약탈 문화재는 아니라는 입장이야
그럼 이 인쇄물이 왜
지금 일본 사찰에 있어??
언제 넘어간 건데!?
조조지는 이 불경이
조선시대인 1458년에 인쇄됐고,
1482년에 나라현의 한 승려가
일본으로 가져왔다고 소개하고 있어
크게보기
[사진 출처: 조조지 SNS / 고려대장경 목판 인쇄물이 있는 일본 도쿄 사찰 조조지의 모습]
흠....
이때 포인트는 임진왜란의
약탈 문화재가 아니란 점을
강조하려는 것처럼 목판이
인쇄된 시기와 일본에 전래된
경위를 명확히 밝히고 있단 점!!
그렇네; 도대체 이렇게까지 해서
유네스코에 등재하려는 이유는 뭔데?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일본 측은 "많은 대장경이 왕조 변천과
전란으로 흩어져서 없어진 가운데,
3개 대장경 인쇄물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있는 것은 유례가 없다"면서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출처: YTN 방송화면 캡처]
이 이유 때문에
등재에 실패했음에도
재시도하는 거였군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모두 등록할 가치가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이라며
“등록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힘;;
근데 고려대장경 인쇄물을
일본이 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고
추진해도 괜찮은 거야???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사실 안 된다는 법은 없어...ㅠ
이와 관련해 유네스코 기록유산
한국위원회 위원장인
서경호 서울대 명예교수가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했는데
크게보기
[사진 출처: 서울=연합뉴스]
헐랭???.. 응응
그는 “일본의 정확한 취지를
확인해 봐야겠지만,
다른 나라가 등재를 추진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고 했어
아 진짜??ㅠㅠ몰랐네;;;
크게보기
[사진 출처: 꼬마펭귄 핑구 ]
ㅇㅇ 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선
문화유산의 국적이 강조되는 반면
기록유산에선 기록을 보관하고
전승하는 ‘아카이브’로의 목적이
더 강하다고 하네....쩝;;;
그럼 일본의 등재 추진을
그냥 두고볼 수밖에 없단 거?ㅠ
노우;; 마냥 그럴 수만은 없음;
사실 우리 입장에서 더 억울한 건,
올해 한국의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는데
어어
이 등재 추진 과정에서
일본이 “일본 정부기관 기록물이
포함돼 있다”며 항의했다는 거임;
크게보기
[사진 출처: HyperX]
엥?? 뭐야;
완전 내로남불인데?ㅡㅡ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그치;
아니 아무리 인쇄물이긴 해도...
팔만대장경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잖아???
이 인쇄물이 일본 유산으로 등재되면,
우리나라 불교계나 학계 반발도
엄청날 것 같은데...
크게보기
[사진 출처: SBS 드라마 '대물']
ㅇㅇ 이는 불가피하겠지;;
그리고 일본이 이번 등재는
군함도와 사도광산에 이어서
또 다른 논란을 불러올 거란
비판도 나오고 있고...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아아악 답답해!!
지금 외교부는 어떤 입장이야?
일단 일본 측은 곧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고...
외교부는 등재 신청서가
공개되는 대로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어
크게보기
[사진 출처: 연합뉴스]
재도전하는 일본이
등재 신청서에
어떤 내용을 담을지
궁금해지는구만...?^^
글게; 그래도 다행인 건~
일본이 이미 2021년에도
같은 인쇄물을 등재 신청했지만
실패한 만큼 정부는 이번에도
등재될 가능성이 낮다고 본대
그건 다행이긴 하네;
앞으로 어떻게 될지
이 이슈는 눈에 불을 켜고
지켜봐야겠음ㄷㄷㄷㄷ
크게보기
[사진 출처: 네모바지 스폰지밥]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일본 정부가 팔만대장경 인쇄물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한번 더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일본은 2년 전에도 팔만대장경 인쇄물을 유네스코에 등재 신청했지만, 올해 5월 최종 심사에서 탈락했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 인쇄물이 일본 유산으로 등재되면, 우리 불교계와 학계의 반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日 고교 사회 교과서, 대부분이 '독도는 일본 땅' 주장
2021.04.03
가격 뚝 떨어진 샤인머스캣…'원조’ 일본은 한국 때문에 골머리?
2023.09.25
‘일본산 수산물이 국산 둔갑’…인천 음식점 7곳 적발
2023.11.27
일본, 고려 팔만대장경 인쇄본 유네스코 등재 추진...왜?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