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자유의 여신상, 원래는 갈색이었다고?
2024.01.27
스크랩
3
아 떠나고 싶어!
아니? 난 집돌이야
그러나! 새로운 게 필요해
크게보기
사진 [피식대학]
진짜... 내 마음은 뭘까..? 💨
이 칭구가 대체 왜 이러지
이제는 걱정이 될 정도야
여행 가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스스로 최면 거는 중이잖아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허허 그게 다 무슨 소용이야
그러지 말고 나랑 여행 가자!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아니 뭔 여행... 못 간다니까?
이왕이면 해외로 떠나고 싶은데
지금은 돈도 시간도 없는 상황이라구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그럼 아쉬운 대로 방구석 여행 어때?
너한테 소개해 주고 싶었던
해외 건축물이 있거든~ 💌
오호~ 여행 기분이나 내볼까?
그런데 날 만족시키긴 어려울 걸
생각보다 좀 까다로운 스타일이거든
이 썰리님을 뭘로 보고! 믿고 들어 봐
오늘의 방구석 여행 테마도 있어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바로 '원래의 색을 잃어버린
세계 대표 건축물' 찾아보기!
오 원래의 색을 잃어버렸다?
진짜 흥미로운 주제긴 하네
어떤 건지 당장 들어봐야겠어!
히히 좋았어~ 여권은 챙겼지?
내가 방금 비행기도 불렀으니
잘 타고 따라오면 돼 >,<
크게보기
사진 [도라에몽]
ㅇ...어 ;; 뭐지 이 과몰입러는?
ㅎ... 제일 첫 번째로
갈 나라는 바로 미국이야
크게보기
사진 [iStock]
와 썰리얌
내가 제일 가고 싶었던 나라가
미국인 건 어떻게 알고 준비했어?
훗! 자유와 자본의 나라인 미국을
떠올리면 젤 먼저 생각나는 게 있어?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흠 맛있는 미국식 햄버거랑
횃불을 들고 있는 자유의 여신상!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캬아~ 역시 이 친구 낭만을 아는구만
그렇다면... 혹시 이것도 알까?
에헤이 나도 척척박사 중 한 명이라구
뭐든 자신 있으니 다 물어봐!
크게보기
사진 [아따아따]
방금 네가 말한 자유의 여신상,
원래는 무슨 색이었게~?
원래? 잉?... 파란색 아닌가
그렇게 쉬운 질문을 하다니
땡~! 뉴욕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이자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은
원래 붉은 빛을 띄는 갈색이었다고 하더라!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엥? 지금 만우절인가... 거짓말 하지마~
어떻게 자유의 여신상이 갈색이야?
아아 진짜야 진짜!
아무래도 처음 듣는 이야기인 것 같으니
내가 아주 자~세하고 재미있게 설명해 줄게
헐... 진짜인가 보네
완전 흥미롭다
사실, 이 자유의 여신상은
미국이 프랑스로부터 선물 받은 거야
크게보기
사진 [산리오]
에엥? 그것도 처음 안 사실이야
프랑스에서 왜 선물을 해줘?
미국 독립을 지원했던 프랑스가
미국 독립전쟁 승리 100주년을 기념해
직접 제작해 선물한 거라고 알려져 있지~
크게보기
사진 [Freepik]
오호~ 그렇구나
높이 93.5m에 205t으로
거대한 존재감을 뽐내는
자유의 여신상은 '구리'로 만들어졌어
크게보기
사진 [자유의여신상]
ㅇ...음? 이거 거의 예나, 선정이 딸이에요
수준의 엄청난 출생의 비밀인 것 같은데
크게보기
사진 [MBC 사랑했나봐]
허허 생각보다 모르는 사람들이 많더라구
구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붉은 빛을 띠고 있었던 거야~
아하! 조금 충격적이긴 하지만
납득이 가는 이유인 것 같넹
근데 왜 지금은 파란색이야?
크게보기
[사진 출처: 에비츄]
자유의 여신상이 구리로 만들어졌잖아
구리는 산소와 만나면 산화하여
녹이 슨다는 특징이 있고!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헐~ 대박 그럼 지금의 자유의 여신상은
녹이 슬기 시작하면서 만들어진
색깔이라는 말이구나... 대박
응응 금속의 산화 작용은
물기가 있을 때 더 빠르게 진행되는데
자유의 여신상은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산화 작용이 더욱 가속화되었다고 하네
크게보기
사진 [자유의여신상]
와우... 그렇구나 그런데 녹이 슬었다고
하기엔 너무 자연스럽고 예쁜 듯? ㅋㅋ
크게보기
사진 [네모바지 스폰지밥]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인 '황산'까지
더해지면서 현재의 푸른색으로 변한 거래
뉴욕에서는 자유의 여신상을 구리색으로
복원하기 위한 사업을 여러 번 추진했지만..
에에 정말? 솔직히 지금 푸른색이 더 나은데
구리색으로 복원하면 조금 아쉬울 것 같아
뉴욕의 시민들도 푸른 동상이 더 좋았나 봐
여러 반대에 부딪혀 현재 모습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전해지네~
아하 다행이다~ 그런데 듣다 보니 재밌네!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처럼 원래의 색을
잃어버린 건축물이 또 있을까?
웅웅! 그 대표적인 건물은
바로 인도의 '타지마할' 사원이야
크게보기
사진 [위키백과, 타지마할]
오~ 타지마할
인도 아그라에 위치한 무굴 제국의
대표적인 무던 건축물로 유명하잖아
응응 타지마할은 순백색의 대리석과
보석만을 사용해 지어진 건물로
1983년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며 세계 여행객들에게 사랑받았지
그러니까~ 그런 타지마할이
본래의 색을 잃어 간다는 말이야?
웅웅 최근 들어 타지마할의 정체성인
'순백의 하얀색'이 노란색으로 변했대
크게보기
사진 [AP=연합뉴스]
....뭐라고? 그 귀한 하얀색 대리석과
보석들로만 만들어진 타지마할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거야!
엄청난 인구로 유명한 인도는
최악의 공기질을 가진 나라로
뽑히는 곳인 거 알지?
크게보기
사진 [AP=연합뉴스]
어엉 ;; 대기오염이 심각하다지
설마... 이 대기오염과 미세먼지로
순백의 하얀색이 누~래지고 있는 거야?
맞아 ㅠㅠ 게다가 인도에 위치한
야무나 강이 하수로 오염되면서
생긴 벌레들이 타지마할 외벽에
녹색 배설물을 분비하기도 한다네
크게보기
사진 [BBC]
하... 영상으로 보기만 해도
아름다운 세계 유산이 망가진다니
너무 마음이 아픈데 복원도 안 한대?
타지마할을 관리하는 인도 ASI는
진흙을 건물에 발라 말린 후,
부드러운 나일론 붓으로 벗기고
증류수로 오염물질을 씻기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타지마할 변색을 못 막는대
하긴... 그 방법은 일시적이겠네
타지마할을 지키기 위해서는
청결한 강과 공기 정화가
필수일 것 같아 ㅠㅠㅠ
인정... 마지막으로 소개해 줄 건축물은
바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피라미드야!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엥... 피라미드의 색도 변한 거라고?
피라미드는 당연히 갈색, 금색 아냐?
땡~ 미국 과학전문 매체에 따르면
이집트 피라미드는 처음 세워졌을 때
지금의 황토색이 아닌 흰색에 가까웠대
크게보기
사진 [버짓 다이렉트]
와우~ 솔직히 왕의 무덤인 피라미드니
황색이 아닌 금색이었대!라고 생각했는데
하얀색이라니 정말 예상에서 비껴간 답이네
피라미드 외부는 석회암이었다고 해
석회암이라... 아무리 생각해도 의외야
물론, 피라미드에서 석회암 외벽이
소실되기 시작한 시기가 '투탕카맨'이
재위하던 시대라고 하니까 정말 오래됐지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와우 그러네... 석회암으로 지어졌던
피라미드가 바뀐 이유가 있었을까?
시간이 지나면서 피라미드의
용도가 살짝씩 변하기도 했고
석회암 외벽이 약탈되기도 했었대
오우... 그렇구나 진짜 신기하다
하얀색 피라미드는 상상도 안 가
스코틀랜드 국립박물관으로 가면
대피라미드의 석회암 외벽을
직접 구경할 수 있다고 하네!
크게보기
사진 [스코틀랜드 국립박물관]
이야 대박이다....
나중에 꼭 가서 보고 와야겠어!
더 여행가 고 싶어졌어.. ㅋㅋㅋ
오늘은 여기까지!
내가 알려 준 자유의 여신상,
타지마할, 피라미드는 세계적인
건축물이니 잘 기억해 뒀다가
여행 갔을 때 아는 체해 봐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자유의 여신상이 처음 만들어졌을 땐 청색이 아닌 '갈색'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구리로 만들어져 산소와 만나 녹이 슬기 시작해 지금은 청색으로 변색되었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피라미드 역시 '석회암'으로 외벽이 지어져 원래는 '하얀색'이었습니다.
인도의 타지마할은 순백색의 하얀색과 반짝이는 보석으로 유명하지만, 대기오염과 하수 오염으로 인해 변색되고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총 예산 710조원 … 사우디의 미래도시 프로젝트 ‘네옴시티'
2023.05.23
'빛과 콘크리트의 거장' ... 안도 다다오의 건축 세계
2023.04.10
에너지 절감의 시작, ‘녹색 건축’ … 그린 리모델링은 기후 위기의 짝꿍
2023.02.27
자유의 여신상, 원래는 갈색이었다고?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