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80대 부모부터 30대 자녀... 다 돌보는 젊은 노인👨🦳
2024.08.26
스크랩
1
흐음...~
넌 60대 퇴직 선물로
뭐가 좋은 것 같아?!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무난한 케이크?
스킨 로션?
주변에 누구 퇴직하셔?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우리 아부지...
30년 근속하시구
이제 정년퇴임하셔...
30년~?!!?
정말 대단하시다...
크게보기
[사진] 내형제의연인들
그치ㅠㅠ
근데 요즘 주변에서
퇴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정년 퇴임 하시는 분들이?!
그냥 사표를 쓰시는 분도
많은 것 같아서...
최근 중소기업에서 일하던 분은
40년 가까이 다니던 직장에 사표를 냈대
크게보기
[사진] 해리포터
이유를 알 수 있을까?!
요양병원에 어머니가 입원했는데
병간호를 책임질 사람이 없었나봐ㅠㅠ
허억... 그랬구나...
그런데 퇴직을 하면
수입이 줄어들잖아...
크게보기
사진 [네모바지 스폰지밥]
그치~?!
그 분은 아직 취업을 못한
30대 중반의 둘째 아들에게
한달 70만원 정도 생활비까지 지원하고 있대...
크게보기
[사진] 네모바지스폰지밥
어이구야...
'더블 케어'의 사례구만...
크게보기
[사진] 문상훈인스타그램
'더블 케어'?!
그게 뭐야?!
'더블 케어'란 은퇴 후에도
부모와 자녀 모두를
경제적으로 부양해야 하는 것을 말해
오늘 내가 말한 사례랑 똑같잖아?
그치...ㅎㅎ
이런 현상은 최근 노년층으로 진입한
60대 신(新)노년층에게 자주 보이고 있어
60대 신노년층~?!
얼마나 많이
더블케어를 하고 있는데!?
1960년대생 남녀 980명 중
15%가 더블케어를 하고 있대!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허억~?!
150명 가량이잖아!!
이중 케어를 하면
돈은 얼마나 쓸까...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하는
이중 돌봄 상태에 있는 이들은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하고 있대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지난 1분기 가구주 연령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경상소득은 358만원으로 들었는데...
케어 비용이 수입의 절반이네...
그러게 말이야ㅠㅠ
그런데 있잖아...
이러한 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세대로
60대 신노년층을 콕 찝어서
얘기한 이유가 있을까?
부모 세대의 노후 준비 부족,
자녀의 늦은 사회 진출 때문이지...
크엉... 썰리!!
조금 더 자세히 얘기해줄 수 있을까?
당연하지!!
지금 중장년층은 고도성장기를 거치며
자산 축적 기회가 많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편이야!
크게보기
[사진] 네모바지스폰지밥
웅웅! 지금 청년들은~?!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서
청년들의 사회 진출은
계속 지연될 수밖에 없어...
크게보기
[사진] SNL
그 와중에 집값도 높아지구
들어갈 비용이 많아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거구나...
맞아...
신노년층에게 자녀에 대한
부담은 알겠는데
부모 부양은 왜 부담이 되는 거야?
평균 수명 증가로
부모 부양 기간이
과거보다 길어졌기 때문이야!
크게보기
[사진]짱구는못말려
허억... 그래도
그 분들이 노후 대비를 위해
자산을 축적하지 않았을가?
크게보기
사진 [심슨가족]
신노년층의 부모 세대들은
상대적으로 자산 축적 기회가 적고,
국민연금 혜택도 받지 못해
노후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크게보기
[사진] Xman
왜 자산 축적 기회가 적어?!
1930년대 후반~1940년대 후반에
태어난 노인들의 빈곤율은
1950년대 전반~1950년대 후반에
출생한 노인과 비교해 2배가 넘게 높았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노인빈곤율이 뭐야?!
노인빈곤율이란
전체 중위소득 절반 이하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고령층 비율을 의미해!
헉... 그렇구나!
부모 세대 경제력이 떨어지니까
이들의 노후 생활비도
신노년층이 계속 부담해야 하는 거네...
맞아... 실제로 부모의 생활비를
‘부모 스스로 해결한다’고 응답한
65~69세의 비율은 30.4%에 불과했대...
흐어엉...
이런 현상이 언제까지 나타날까...
현재 60대인 신노년층에 집중된
‘돌봄 독박’의 부담은 다른 연령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으엥~?! 왜?!
공적 연금으로 노후 준비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니깐
자식이 부모 노후 자금 일부를
책임지는 상황이 계속될 수밖에 없어...
크게보기
[사진] 무릎팍도사
그렇구먼...
헉...!!
왜 그래?!
너가 저번에 얘기했던
'쉬었음 인구'가 생각나서...!!
크게보기
[사진] MBC진짜사나이
그냥 쉬는 인구?
크게보기
[사진] MBC아빠어디가
바로 이거야!
2030대 쉬었음 인구가
70만명을 넘었잖아!
이것도 이 현상의
원인이 되는 거야?
웅웅! 일자리 여건이 악화되면서
청년들의 사회 진출이 늦어지고,
늦게 취업해도 낮은 임금과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두 원인 중 하나지...
하ㅏ... 그렇구나...
이런 현상이
빨리 사라졌으면 좋겠다...
크게보기
[사진] 대성마이맥
안타깝게도 이 현상은
이미 신노년층에서
아래 세대인 중장년층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엙!? 왜?!
한 논문에서 가족 돌봄 부담에 있으면서
노후준비도 안한 사람의 비율은
X세대(1975년~77년생)가 18.1%로,
1차 베이비붐세대(9.6%)보다
더 많게 나타났거든...
크게보기
[사진] 집보는에비츄
ㅠㅠㅠ 현재 신노년층은 교육을 통해
성공한 경험이 있으니 자식 세대의
교육에도 많은 투자를 하지 않았어?
하지만 자녀 세대는
과거와 달리 대학을 나와도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낮아졌잖아...
크게보기
[사진] 대학일기
그렇긴 하지...ㅠㅠ
이렇게 가족 부양 부담은 느는데
중장년층의 은퇴 시기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어ㅠㅠ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시급해 보이는데...?!
그치ㅠㅠ
어서 빨리 '독박 돌봄'이
사라졌으면 좋겠어...
완전 동감이야ㅠㅠ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은퇴 후에도 부모와 자녀 모두를 경제적으로 부양해야 하는 '더블 케어'의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만혼화 현상과 취업난에 경제적 여유가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끊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신노년층'은 자녀뿐 아니라, 평균 수명 증가로 부모 부양에 대한 부담도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15층 계단 오르다 기절할 뻔…그 아파트는 '노인 감옥' 됐다
2024.06.20
노인 자산 40% 육박, 대한민국 부가 늙어간다
2024.05.14
'나혼자 산다' 노인 385만명, 더 쓸쓸한 어버이날 🌺
2024.05.08
80대 부모부터 30대 자녀... 다 돌보는 젊은 노인👨🦳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