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불황때 더 잘 팔린다…명품백 대신 누리는 '작은 사치'

2025.03.10
speaker
  • 아휴,,
  • 월급은 그대론데
  • 물가는 계속 오르네
  • 크게보기 [출처] MBC 무한도전
speaker
  • 그러게ㅠㅠ
  •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고
  • 있어서 걱정이야,,
speaker
  • 경기가 좋지 않을 때
  • 나타나는 무슨 효과 있지 않았나??
speaker
  • 립스틱 효과??
  • 경기가 좋지 않을 때
  • 립스틱 판매가 증가한다는
  • '립스틱 효과'가 다시 주목받고 있지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맞아맞아!
  • 고가의 가방 대신에
  • 상대적으로 저가인 화장품이
  • 인기를 끄는 현상이었지?
speaker
  • 웅 정확해ㅎㅎ
  • 명품 시장에서 고가의 가방이나
  • 옷 등 패션 제품 판매가 둔화하고
  • 립스틱 등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실제로 요즘
  • 명품 브랜드의 화장품
  • 매출이 증가한 거야??
speaker
  • 웅웅ㅎㅎ
  •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3사에서
  • 지난해 프라다와 에르메스, 지방시 등
  • 명품 브랜드의 화장품 매장 매출
  • 증가율은 16∼24%로 나타났대
speaker
  • 우와~
  • 증가율이 꽤 높네!!
  • 백화점별로 보면 어때??
speaker
  • 백화점별로 보면 지난해 화장품 매출은
  • 롯데백화점은 20%, 신세계백화점은 16%,
  • 현대백화점은 24% 각각 증가했다고 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모두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네~
  • 그럼 화장품 말고 패션 매출은??
speaker
  • 같은 기간 각 백화점의
  • 명품 패션 부문 매출 증가율은
  • 약 5%, 6.2%, 11.7%에 머물렀대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그럼 명품 화장품 매출 증가율이
  • 패션 대비 두 배에서 최대
  • 네 배까지 높은 거네
speaker
  • 웅웅 맞아
  •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 명품 뷰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 '스몰 럭셔리'를 선호하는 트렌드가
  •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백화점에서도 립스틱 효과를
  • 매출 증가의 원인으로
  • 보고 있는 거네?
speaker
  • 그치!!
  • 현대백화점 관계자도
  • 불경기 속 립스틱 효과가
  • 이들 브랜드의 매출 신장세와
  •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아~
  • 근데 립스틱 효과 왜 나타나는 거야??
speaker
  • 돈을 최대한 아끼면서도
  • 품위를 유지하고 심리적 만족을
  • 추구하는 소비 성향으로 분석돼ㅎㅎ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경기 침체기에 수백만 원에서
  • 수천만 원에 이르는 고가의 명품 가방
  • 대신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낮은
  • 립스틱을 구매하면서 만족을 얻는 거구나!
speaker
  • 맞아ㅎㅎ
speaker
  • 언제 립스틱 효과라는
  • 용어가 생기게 된 거야?
speaker
  • 1930년대 미국 대공황 시절
  • 경제 불황 속 립스틱 매출만은 오르는
  • 기현상을 두고 경제학자들이 붙인 용어지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오오 재밌네ㅎㅎ
  • 또 립스틱 효과가 나타났던 시기가 있어?
speaker
  • 9·11 테러를 겪은 2001년 가을에도
  • 미국의 립스틱 판매는 11% 증가했고
  •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에도
  • 화장품 업체의 매출이 증가했었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이런 현상을 알고 나니
  • 또 다르게 보이네ㅎㅎ
speaker
  • 다행이다!!
  • 오늘도 잘 들어줘서 고마워 :)
  • 크게보기 [출처] 짱구는 못 말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경기 불황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오히려 립스틱 판매가 증가한다는 '립스틱 효과'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명품 시장에서 고가의 가방이나 옷 등 패션 제품 판매가 둔화하고 립스틱 등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입니다.
  • 돈을 최대한 아끼면서도 품위를 유지하고 심리적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 성향으로 분석됩니다.

불황때 더 잘 팔린다…명품백 대신 누리는 '작은 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