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지진 속 통곡의 미얀마😢
2025.03.31
스크랩
며칠 전에
미얀마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면서...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맞아..
28일 낮 12시 50분에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헉.. 7.7?
생각보다 훨씬
심하잖아?
이번 지진은 최대 7.9로 추정되는
1912년 메묘 지진 이후
미얀마에서 113년 만의
최대 지진이라고 해..
113년 만의 최대 지진이라니..
피해 규모도
상당하겠는 걸ㅠㅠ
미얀마 군정은 이번 강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사망자만 144명..?!
부상자는 732명이라고??
웅웅..
그래서 10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응급실 밖에선
부상자가 줄을 서서 치료 받고 있고,
의료용 솜도 거의 떨어져가고 있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심각하구먼..
그래서 미얀마 군정은
네피도, 사가잉, 만달레이,
바고, 마궤, 샨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 사회에 지원을 요청했어!
미얀마에서도
한인들이 살지 않아..?
한인 피해 규모는 어떻게 돼ㅠㅠ
그나마 다행히도 한인들은
주로 피해가 적은
미얀마 남부 양곤에
거주하고 있대..!
그럼 피해가 없는 거야?!
크게보기
[사진]그놈이그놈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접수된 우리나라 국민의
인적피해는 없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진짜 그나마 다행이다..
이번 지진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얘기해줄 수 있어?
크게보기
[출처] 스펀지밥
이번 지진은 미얀마의 수도인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km,
인구 120만의 제 2도시인
만달레이에서 서남쪽으로
33km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그렇구먼~
진원 깊이는 10km였는데
여진이 이어졌다고 해..
여진의 규모는
어느정도였어?!
6.4,,,
그래서 미얀마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했대ㅠㅠ
여진인데도
규모가 그렇게 크단 말야?!
웅웅..
이번 지진의 여파로
약 1000km 이상 떨어진
태국의 수도인 방콕에선
공사 중이던 빌딩이 무너졌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빌딩이 무너졌다고?!
몇층 규모인데??
30층..
인부 수십여명이 매몰돼서
태국 총리는 수도 방콕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해..
아이고야...
이번 지진은 왜 난거야?
전문가에 따르면
미얀마가 여러 지각판이
교차하는 곳에 있어서
지진에 취약하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지각판이
교차하는 곳에 있다구?
웅! 미얀마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 순다판,
버마판 등 최소 4개의
지각판 사이에 끼어 있어!
허걱.. 지각판 사이에
끼어있으면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잖아..
그치.. 거기에 수도 네피도 등
주요 도시가 단층의 경계인
'사가잉 단층' 위에
놓여져 있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사가잉 단층'..?!
어디서 들어봤는데...
이 단층은 1946년
규모 7.7 강진과
2012년 규모 6.8 강진 등
미얀마에서 발생한
주요 강진의 원인으로 지목돼
그렇구나...
그나저나 미얀마 정부가
운영하는 비자 사이트에 들어가봤는데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화면만 떠...ㅠㅠ
크게보기
[사진] 곰돌이푸
의도적으로 군부에서
막았을 수도 있어..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기면
통상 인터넷 통제와 같은
조치를 취하곤 한대
아하..
하루빨리 미얀마가
피해를 복구했으면 좋겠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28일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해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편 이번 지진의 원인은 미얀마가 여러 지각판이 교차하는 곳에 있는 점과, 주요 도시 아래에 놓여진 '사가잉 단층'으로 꼽힙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2주간 '지진 6000건' 1만 여명 대탈출 공포
2025.02.10
태풍이 덮친 日…'대지진 주의'는 해제?🌪
2024.08.13
“쿵 굉음 뒤 건물 흔들렸다”… 지각 가장 안정된 호남서 강진
2024.06.13
지진 속 통곡의 미얀마😢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