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봄이 제철인데, '철없는 바다'에 꽃게·주꾸미 도망갔다

2025.05.08
speaker
  • 너무 맛있당ㅎㅎ
speaker
  • 뭐 먹어?!!
  • 나도 먹을래!!
speaker
  • 매콤한 주꾸미볶음ㅎㅎ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츄릅.. 맛있겠다!!
  • 근데 요즘 주꾸미 귀하잖아~
speaker
  • 주꾸미가 귀하다고?!
  • 왜?!
speaker
  • 앗!!
  • 봄철 주꾸미 어획량이 급감했거든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헐.. 정말?!
  • 봄이 제철인데 ㅠㅠ
  • 어획량이 얼마나 줄었는데??
speaker
  • 올해 2월 말부터 4월까지
  • 서해안의 주꾸미 위판량은 404톤으로,
  • 2020년 같은 기간의 2,007톤에 비해
  • 약 80%나 줄었어
speaker
  • 허거덩스
  • 80%나 줄었다고?!
  • 다른 지역은 어떤데??
speaker
  • 전북에선 같은 기간 주꾸미 위판량이
  • 151t에서 13t으로 10분의 1
  • 수준까지 쪼그라들었어
speaker
  • 헐..
  • 다른 어종은 괜찮아?!
speaker
  • 주꾸미에 이어 꽃게
  • 어획량도 예년만 못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꽃게도 그렇단 말이야??
  • 내가 꽃게를 얼마나 좋아하는데 ㅠㅠ
speaker
  • 웅ㅋㅋㅋ..
  • 3월 꽃게 어획량은 98t으로
  • 지난해의 4분의 1 수준이라고 해
speaker
  • 와,,
  • 도대체 주꾸미, 꽃게 어획량이
  • 줄어드는 이유가 뭐야?!
speaker
  •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 “늦추위로 수온이 유난히 낮아
  • 난류성 어종인 주꾸미가 제대로
  • 어군을 형성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어
speaker
  • 수온이 낮아졌다고?!!
speaker
  • 웅웅
  •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 서해의 수온은 2월 4~10일
  • 3.6도로 전년 대비 1.5도 낮았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헐 그렇구나
  • 3월에도 저수온 현상이 이어졌어?
speaker
  • 맞아..!
  • 이런 저수온 현상은
  • 3월 이후에도 이어져 4월 서해에는
  • 청수 현상이 15일 넘게 지속하기도 했지
speaker
  • 근데 이렇게 어획량이 줄면
  • 자연스레 수산물 가격도 오르지 않아??
speaker
  • 맞아ㅠㅠ
  • 수산물 유통 플랫폼인
  • 인어교주해적단에 따르면
  • 서해안 암꽃게 1㎏ 소매가격은
  • 3월 평균 6만 6,000원까지 상승했다고 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그럼 얼마나 오른 거지??
speaker
  • 전년 대비 30~40%가량 비싼 정도야!
  • 5월 초인 최근에도 예년보다
  • ㎏당 1만 원 이상 비싸게
  • 거래되고 있어
speaker
  • 이런 저수온 현상이
  • 언제까지 지속될까..??
speaker
  • 수산과학원에 따르면
  • 여름철 고수온,
  • 겨울철 저수온 현상은
  • 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대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이게 다 이상 기후 때문인가?!
speaker
  • 맞아..!!
  • 수산과학원 관계자는
  • “이상 기후로 인한 ‘피시플레이션’
  • 흐름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어
speaker
  • 밥상 물가에 영향을 많이 미치겠네
  • 내 주꾸미~~..
  • 크게보기 [출처] 짱구는 못 말려
speaker
  • 그러게 ㅠㅠ
  • 피시플레이션이 빨리
  • 해소됐으면 좋겠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올해 2월 말부터 4월까지 서해안 지역의 주꾸미 위판량은 404톤으로, 2020년 같은 기간의 2,007톤에 비해 약 80%나 줄었습니다.
  •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늦은 추위로 수온이 예년보다 낮아, 난류성 어종인 주꾸미가 제대로 어군을 이루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이 같은 변화는 밥상 물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데,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이상 기후로 인한 '피시플레이션(수산물+인플레이션)' 현상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습니다.

봄이 제철인데, '철없는 바다'에 꽃게·주꾸미 도망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