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전안법! 대체 누굴 위한 법입니까아아아아!!!!
2018.01.05
스크랩
있잖아 궁금한 게 있는데
울 엄마가 전안법 개정안이 통과됐다고 엄청 좋아하던데…
전안법이 뭐야?
크게보기
엄마가 가게 하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을 줄여서
전안법이라 함
울 엄마 옷 파시는데 어케 알았냠?
그리고 그렇게 말하면 엄마가 왜 좋아했는지
내가 어케 알어-_-
그래서? 그래서?
ㅋㅋㅋㅋ나의 이 박학다식함을 또 뽐낼 수 밖에 없구먼
크게보기
전안법은 원래 있었던 ‘전기용품안전관리법’과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을 합친 법인데
2016년도 1월에 국회에서 통과됐걸랑?
근데 통과되자마자 소상공인들이 반발하고 난리 남
크게보기
그래서 1년 유예기간을 둠
왜??
그래서? 그래서?
너 KC인증 마크 본 적 있어?
크게보기
이것이 KC인증마크 되시겠다...
앗 이 마크 나의 사랑스런 고데기님께 찍혀있는 걸 본 것 같음
ㅋㅋㅋ응응 제품이 안전 규정에 맞게
만들어졌다는 걸 확인하는 절차로
KC 인증 마크를 찍는데 의무사항이야
근데 왜 반발했어?
그래서? 그래서?
왜냐! 인증을 받는 데 돈이 들어가거든!
크게보기
출처:다음 블로그
돈이 들어가??
소상공인들은 직접
인증을 받을 수 없으니까 대행업체를 써
소상공인들은 안전검사 장비가 없단 말이야!
하긴 울 엄마가 가게를 버려두고
인증 받으러 다닐 순 없으니까…
그래서? 그래서?
그래 그러면 대행업체는 공짜로 일을 해주겠니?
당근 인증비를 받겠지ㅠㅠ
근데 소상공인들한텐 인증비 내는 게 부담일 거 아냐…
크게보기
나쁜 법이네!!! 왜 중간 과정은 다 건너뛰고
맨 마지막에 파는 소상공인더러
인증 의무를 맡으라는 거야?!
흠…법에 정확히 소상공인이
인증을 해야 한다고 써있진 않아
뭐야뭐야 헷갈려!
제대로 알려줘 봐!
그래서? 그래서?
먼저 KC인증은 3종류야
안전 ‘인증’ 대상
안전 ‘확인’ 대상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
뭐가 다른 거야?
안전 인증 대상은 참트루 의미의 인증임
KC마크 밑에 인증번호도 박아야 하고
비용도 수십에서 수백만 원까지 듦
비비탄총이나 압력밥솥 같은 거가 인증 대상임
크게보기
해외에서 인기많은 쿠쿠 압력밥솥
그래서? 그래서?
안전 확인 대상은?
여기는 건전지나 도어락 등이 해당하는데
크게보기
건전지
검사 기관의 안전성 ‘확인’만 받으면 돼
그래서 인증번호도 필요 없고 신고 번호만 있음 됨
첫 번째보단 덜 위험해 보이는 물건들이네
비용도 위에보단 더 쌀 테고
그래서? 그래서?
고러치!! 자 마지막은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임
이건 제조자가 혼자 만들고 혼자 안전성 검사하는 거야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의류 품목이 여기에 해당해
내가 만들고 어떻게 내가 혼자 검사를 해?
크게보기
그래서? 그래서?
스스로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은
국가기술표준원에 자세히 나와있어
국가기술표준원 공급자적합성확인
kats.go.kr
다만 이 과정도 돈이 들어간다는 게 문제지!!
크게보기
옷 같은 경우는 원단 하나 당 6~7만원 정도 든대!
수십 만원까진 아니지만 왤케 비싸?!
옷 팔아서 버는 것보다 검사비가 더 나가겠다!
크게보기
야 근데 계속 묻잖아 그걸 다 소상공인이 해야 한다는 거야?
그래서? 그래서?
음 결과적으로 소상공인이 할 가능성이 높아져
원단의 안전성 검사는 원단 업체가 해야 하지만
법에 원단 업체 의무라고 적혀있진 않거든
근데 제조업체는 전안법 대상임
크게보기
그러니까 원단 업체가 검사를 안 하고 미루면
어쩔 수 없이 소상공인들이 검사를 해야 한다는 거네?
그래서? 그래서?
그렇지 안 하면 범법자 되거든 ㅠㅠ
3년 이하 징역을 살거나 3000만원 이하 벌금 내야 함
의무 사항이라 KC 인증 안 받은 용품들은 팔 수 없어
크게보기
어휴 울 엄마 안 그래도 할 일 많은데
진짜 화날 만 하네!!!
그래서? 그래서?
근데 위에 안전 인증 대상, 확인 대상 보면
의류 가게만 대상이 아니잖아
근데 왜 의류가 제일 문제가 되고 있어?
아맞다 이 얘길 까먹었네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게
'전안법에 의류까지 포함됐다'고 많이들 알고 있는데
내가 아까 전안법이 법 2개를 합친 거랬잖아?
원래 법에 의류도 포함되어 있었음
고로 의류가 '새로운' 대상이 된 건 아냐
[팩트체크] '전안법' 논란, 뒤섞인 루머-사실 따져보니
news.jtbc.joins.com
그래서? 그래서?
그건 알겠는데!
그러면 왜 의류 분야가 제일 뜨거운 감자냐니까?!
생각해봐
양말 한짝, 장갑 한짝까지 검사받으라는 게 말이 돼?
의류 부분이 제일 어이가 없고
비현실적이니까 그런 거지 왜긴 왜야
아하!! 그렇고만~
그나저나 2018년이 되기 전에 개정안이 통과돼서 그나마 다행이야
크게보기
법은 어떻게 개정됐어?
그래서? 그래서?
원래 있었던 공급자적합성 확인대상 생활용품 있잖아
그 중에서 사고 발생 가능성이나 위험성이 낮은 제품들은
따로 분류해서 KC인증을 면제해줬어
크게보기
크게보기
그래-_- 양말까지 검사할 필욘 없잖아…
그래서? 그래서?
그리고 소상공인들은 KC인증 의무를 면제해준 대신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제품을 만들도록 했고
그 제품에 모델명이랑 만든 국가랑 만든 날짜 같은 걸 표시해야 함
그래그래 안 그래도 소상공인들
힘든데 더 괴롭히지 말라 그래
크게보기
그래서? 그래서?
그 대신 소비자 피해 관련 책임은 여전히 소상공인 몫이야
큼큼 …야 근데 원단 만든 회사나
의류 제작한 회사가 한 잘못을
물건을 판 상인한테 책임지라면 말이 안 되잖아?
그래서 여전히 문제라고 지적 받고 있어
전안법 만들 때 공청회도 안 했다던데 ...
크게보기
그래서? 그래서?
뭐야 공청회도 안했어?
그럼 법안이 어떻게 통과됐어?
전자 공청회로 퉁쳤어...
후...앞으로는 국회가 관련자들 얘기 좀 듣고
법 좀 만들었으면 좋겠다 제발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전안법은 전기용품과 생활용품의 KC인증을 의무화한 법. 2016년 1월 국회를 통과했으나 워낙 반발이 심해 1년 유예기간을 둠
문제는 소상공인들은 일일이 인증을 받을 수 없기에 대행업체를 쓰고 인증비를 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됨
소상공인들의 인증 의무를 면제한 개정안이 2017년 9월 발의돼 12월 마지막 국회에서 가까스로 통과됨. 앞으로는 괜한 시민들 울게 만들지 말고 미리 얘기 들으면서 법안 발의하시길
전안법! 대체 누굴 위한 법입니까아아아아!!!!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