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스타링크 ‘졸속 승인’ 논란

2025.10.14
speaker
  • 우주로 가고 싶다!!
  • 스페이스X 요즘 뭐하려나~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갑자기ㅋㅋㅋ??
  • 그나저나 스페이스X의 한국 지사인
  • 스타링크코리아가 완전 논란이야..
speaker
  • 왜 스타링크코리아가 논란이야?
speaker
  •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이하 과기정통부)가 5월에
  • 스타링크코리아의
  • ‘국경 간 공급협정’을 승인했거든.
speaker
  • 오~ 그러면 잘된 거 아냐?
speaker
  • 정작 시장 파급·보안 영향 등을
  • 따지는 연구용역은 9월에야 공고했거든.
speaker
  • 아.. 승인을 먼저 하고
  • 영향평가를 나중에 한 거네?
  •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speaker
  • 웅.. 그래서 일각에선
  • 이를 '졸속 승인'으로 보고 있어.
speaker
  • 원래는 어떻게 해야 돼?
speaker
  • 전기통신사업법상 스타링크코리아가
  • ‘스페이스X’로부터 저궤도 위성통신
  • 서비스를 공급받아 국내에 보급하려면
  • ‘국경 간 공급협정’을 체결하고 이를
  • 과기정통부로부터 승인 받아야 돼!
speaker
  • 웅웅!
speaker
  • 그런데 이 과정에서 과기정통부가
  • 통신 서비스의 안정성, 국내 시장에
  • 미치는 파급효과, 정보 보호 조치
  • 여부 등을 평가해야 되거든..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이와 관련된 연구를 이미 승인이
  • 4개월이나 지난 시점인
  • 9월에 공고해서 문제인 거구나..
  • 절차가 완전 거꾸로 됐네ㅠㅠ
  • 과기정통부는 뭐라고 해??
speaker
  •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기획과장은
  • '기술적 하자가 없어 승인했고
  • 연구 용역은 파생 기술이 나오면
  • 이에 발맞춰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 공고한 것'이라고 설명했어.
speaker
  • 속도감 있게 승인하기
  • 위한 거였구나..!!
  • 크게보기 [사진] 나루토
speaker
  • 웅웅. 빠르게 승인하기 위해
  • 4월엔 전파법 시행령도 개정해서
  •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도입과
  • 통신 단말 개설절차도 간소화했어.
speaker
  • 흠.. 스타링크를 빠르게
  • 승인해야 했던 이유가 있을까?
speaker
  • 저궤도 위성 때문이야!
  • 저궤도 위성은 고도 20~2000km의
  • 위성으로 인터넷을 공급하는 서비스야.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지금 인터넷 잘 되잖아!
  • 크게보기 [사진] 곰돌이푸
speaker
  • 위성망이라 지연이 짧고 안정적이야.
  • UAM, 자율주행 같은 미래 산업 기반
  • 통신이고 지상망을 거치지 않는
  • NTN(비지상 네트워크)로 5G를
  • 보완하고 6G개발에도 연결돼.
speaker
  • 아하! 그렇구나~
speaker
  • 스타링크는 이미 저궤도 위성
  • 7000기를 운용하고 있는데
  • 한국의 경우, 2030년까지 총
  • 3006억원을 들여서 한국형 저궤도
  • 위성 2기를 쏘아 올릴 계획이거든..
  •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speaker
  • 격차가 꽤 크네ㅠㅠ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그러니깐.. 그나저나 국회입법조사처는
  • 국외 저궤도 위성통신사업자가
  • 국내에 진출할 경우 이용자
  • 정보 보호가 어렵고 국가 안보까지
  •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어.
speaker
  • 정부가 직접 검증하면 되지 않아?
speaker
  • 그게 좀 까다로워..ㅠㅠ
  • 국외 위성통신 사업자다보니깐
  • 정부가 직접 보안 검증을 하기 어려워.
speaker
  • 흠.. 그렇구나..
  • 업계 분위기는 어때?
speaker
  • 방산업계는 '초기 시장을
  • 외국 기업에 내주면 앞으로
  • 영영 종속될 가능성이
  • 크다'며 우려했어.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초기 시장 선점이 중요하긴 하지..
speaker
  • 반대로 한국이 저궤도 위성 시장의
  • 후발주자이니깐 부가 서비스
  • 시장이라도 빠르게 선점해야
  • 한다는 주장도 있어~
speaker
  • 고것도 맞는 말이지.
  • 근데 이미 승인됐으니
  • 어쩔 수 없는 거 아냐??
  • 크게보기 [사진] 무한도전
speaker
  • 승인은 했으니 지금이라도
  • 보안·데이터 가이드를 세우고
  • 접속·상호운용·재판매 조건,
  • 비상시 통제권 등을 촘촘히
  • 만들어야 할 것 같아.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과기정통부가 스타링크 국경 간 공급협정을 5월 승인하고 시장·보안 영향 연구를 9월 공고해 졸속 승인 논란이 제기되었습니다.
  • 전기통신사업법상 스타링크코리아가 ‘스페이스X’로부터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공급받아 국내에 보급하려면 ‘국경 간 공급협정’을 체결하고 이를 과기정통부로부터 승인 받아야 합니다.
  • 저궤도 위성은 지연이 짧고 안정적이어서 UAM·자율주행 등 미래 산업의 기반이지만, 해외 처리·검증 한계로 보안·데이터 주권 우려가 큽니다.

스타링크 ‘졸속 승인’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