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SPC계열 샤니공장서 끼임 사고 또 발생..."같은 공장서 1년간 3번이나"
2023.08.10
스크랩
1
썰리얌.. 이 뉴스 봤지?
며칠 전에 샤니 제빵공장에서
근로자가 크게 다쳤다더라ㅠㅠ
샤니공장서 50대 여성 또 끼임 사고…같은 곳서 1년간 세차례
https://n.news.naver.com
나도 봤어...작년부터
SPC 그룹 공장에선
사고가 끊이질 않네;;
그러니까.. 아직도 근무 환경이
이렇게나 안전하지 않다니...
나 너무 화나는데 오늘 이 사고
자세히 알려줄 수 있어?
크게보기
[스폰지밥]
응응 나도 넘 화난다;;
일단 8일 낮 12시 40분쯤
경기 성남시 샤니공장에서
일하던 50대 근로자 A씨가
이동식 리프트와 설비 사이에
끼이는 사고를 당했어
크게보기
[뉴스1]
일하다가 이게
무슨 날벼락이람ㅠㅠ
A씨는 정확히 어떤 업무를
하다가 사고를 당한 거야?
A씨는 10년 차 숙련 노동자였어..!
평소에는 동료 B씨와 함께 조를 이뤄
원형 스테인리스 통에 든 빵 반죽을
리프트로 올려 다른 통에 넣는
작업을 맡아왔지
헉 숙련 노동자였구나..
당시 A 씨는 리프트 기계 아래쪽에서
원형 통에 달린 부품을 교체하고 있었거든?
웅웅..
크게보기
[쿵푸팬더]
이때 동료 B씨가 A 씨의 위치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기계를
작동하면서 사고가 난 걸로 파악돼
아이고..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없었나 보네;;
아 그리구 A씨가 복부를 크게 다쳐서
심정지 상태였다던데... 지금은 어때?
크게보기
[Pokemon]
일단 A씨는 9일에 수술을 마쳤고,
현재는 중태로 전해지고 있어..!
그래도 정말 다행인 건~
생명에는 지장이 없대
어우 천만다행이네...
근데 정말 유독 SPC 계열사에서
이런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 같아
크게보기
[비즈니스포스트]
맞아...혹시 작년 사고 기억해??
크게보기
[Mashable]
아 작년 10월에 경기 평택 SPL
제빵공장에서 사망 사고 난 거?
그때 전 국민이 분노했었지..
크게보기
[Kelly Clarkson]
맞아.. 20대 여성 노동자가
샌드위치 소스 배합기에 끼어 숨졌잖아
당시 이 노동자는 밤샘 야간 근무
막바지에 혼자 소스를 나르다가
참변을 당한 거였다고 해
크게보기
[연합뉴스]
넘 안타깝고 화난다..ㅠㅠ
안전장치가 없었던 건가?
응응 소스 배합기 덮개를 열면
기계가 자동으로 멈추는 기본적인
안전장치도 없었던 걸로 확인됐지
크게보기
[인사이드 아웃]
와 실화냐.. 이런 데서
불안해서 어떻게 일해...
이에 당시 경찰은 안전조치 의무를
다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강동석 SPL
대표이사를 포함한 공장 관계자 5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했어
크게보기
[뉴데일리]
근데 난 또 충격이었던 게
샤니 제빵공장에서 발생한
사고가 이번이 무려 세 번째라며?
크게보기
[스폰지밥]
맞아;; 지난달인 7월엔 50대 근로자의
손가락이 기계에 끼어 골절됐고,
작년 10월엔 40대 근로자가 기계에
손가락이 끼어 절단됐지 ㄷㄷ
크게보기
[연합뉴스]
사고가 끝이 없네 정말..
근데 작년부터 이런 사고가
터질 때마다 SPC 측의 대응이
늘 논란이었던 것 같아
응응 작년 SPL 사망사고 당시
SPC 측이 태도 논란에 휩싸였지
사고 다음날에도 공장 가동을
이어가고, 고인 빈소에 파리바게뜨
빵을 놓고 가기도 하고...
크게보기
[SBS]
그때 국민적 공분이 엄청 커져서
불매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잖아~
나도 완전 실망했었어ㅡㅡ;;
근데 여기서 끝이 아니었지~
사고 발생 후 엿새째가 돼서야
허영인 SPC 그룹 회장이 대국민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을 내놨으니까...
크게보기
[한국경제]
흠..그럼 SPC 측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선 지금 어떤 입장이야?
크게보기
[Kelly Clarkson]
일단 SPC 그룹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사고를 인지한 즉시 전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어
크게보기
[연합뉴스]
그리구?
그리고 긴급 회의를 통해
현장 CCTV를 분석해서,
사고가 발생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지
으으음;; 근데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말이야... SPC에서만
유독 이런 사고가 반복되는 건
이유가 있을 것 같단 말이지?
크게보기
[배트맨]
오호..
수상한 냄새를 맡은 거니?
크게보기
[인터넷 커뮤니티]
킁킁... 그럼 작년 10월 사망사고 후에
SPC는 어떤 안전 대책을 마련한 거야?
크게보기
[스폰지밥]
아까 사고 발생 후에 허영인 회장이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았다고 했잖아?
웅웅
그때 허영인 회장은 앞으로
3년 동안 '총 1천억 원'을 투자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지
크게보기
[한국경제]
으음.. 그리고?
또, 사실 SPC 측은 올해 3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안전장비 도입과
시설 보수, 작업환경 개선에
약 165억 원을 투자했다고 홍보해왔어
그런데도 SPC 계열사 사고가
끊이질 않는 거야...? 이게 뭐람
크게보기
[1박2일]
응응 그래서 노동계에선
안전관리 시스템의 여부를 넘어,
노동자 산재에 대한 회사 차원의
인식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대...!
지난 7월 샤니 공장 손가락
골절 사고의 경우, 사고 발생 후에
본사인 SPC가 119 신고조차
하지 않은 걸로 알려졌거든
아니 신고를 안 했다고?
도대체 왜...?
크게보기
[THE OFFICE]
119에 신고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체될 수 있으니
그대신 현장 책임자가
빠르게 조치했다는 게
SPC 측의 설명이야
아니 설명을 들어도 이해가 안돼..
이정도로 유사한 사고가
꾸준히 일어나는 건
기업이 노동자 안전을
등한시하는 걸로밖엔..
크게보기
[king of the hill]
그치... 일단 작년 10월
노동자 사망사고의 경우엔
SPL 대표이사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된 상태에 있어
그럼 이번 사건 처벌은 어떻게 돼?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는,
현재 경찰은 기계 오작동이라기보다
안전수칙 미준수에 따른 사고로
보고 있거든?
크게보기
[중앙일보]
웅웅 아까 A씨 동료 B씨가
A씨 위치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기계를 작동시켜서
사고가 났다고 했으니...
맞아! 그래서 공장 관계자를 조사해
혐의가 확인되면, 책임이 있는 자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입건할 계획이래
그렇군... 아 궁금한 점!
이번 사고가 발생한 성남 샤니 공장에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거야?
크게보기
[Tenor]
중대재해법은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또는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인 사업장에서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한 경우에
적용되거든?
웅웅
성남 샤니 공장은 상시노동자가
50명 이상이라 일단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야~ 이에 앞으로
고용노동부가 나서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지
크게보기
[연합뉴스]
에효 그렇구나...암튼 사고가 계속
반복되는 만큼 더 화난다ㅠㅠ
국민들도 반복되는 제빵회사
산재 사고에 분노하고 있지...
온라인에서는 '또 SPC냐',
'불매운동해야 한다', '또 반복될거'라는
등의 부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구..
당분간 SPC 계열 브랜드 제품은
정말 구매하기 꺼려질 것 같아..
크게보기
[king of the hill]
그러게.. 대국민 사과를 했음에도
사고가 재발된 만큼, 책임을
더욱 엄중히 물어서 다시는
제빵공장 사고 소식이
안 들렸으면 좋겠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8일 SPC 계열 '샤니'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기계에 끼이는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번에 사고가 난 성남 샤니 제빵공장의 끼임사고는 세 번째입니다. 지난달엔 50대 근로자 손가락이 기계에 끼어 골절됐고, 작년 10월엔 40대 근로자의 손가락이 절단됐습니다.
작년 10월 SPL 직원 사망사고 이후 허영인 SPC 그룹 회장은 3년 동안 총 1천억 원을 투자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사고가 여전히 반복돼 국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인력난’에 빠진 산업현장 … 고용허가제 개선은 아직
2023.07.26
작업중 노동자 사망에 소비자 분노 ··· 불매운동 확산
2022.10.20
"불길 38층 아파트까지 치솟아"...한국타이어 대전공장 화재, 13시간만에 진화
2023.03.13
SPC계열 샤니공장서 끼임 사고 또 발생..."같은 공장서 1년간 3번이나"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