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한반도 118배 구멍 뚫린 오존층…회복되던 중 무슨 일?
2023.10.26
스크랩
3
헤이헤이~
웅??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오늘도 대화 시작 전
간단 상식 테스트가 있겠습니당~
아~ 커몬ㅋ
지구 대기의 네 층 중 하나인
'성층권'에 존재하는
미량 기체층을 뭐라고 하~게??
힌트 사진으로 다줬다ㅋ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정답은요~ 오존층!!!
오존층이 자외선을 흡수하는
보호 가스 방패 역할을 하고,
위험한 양의 단파 자외선으로부터
인간과 생태계를 보호하잖아!
이욜 ㅎㅎㅎ 맞아! 똑똑해 아주ㅋ
나 저번에 오존층 관련 뉴스 봄!
세계 각국이 프레온가스와 같은
오존 파괴 물질 사용을 줄이면서,
훼손된 오존층이 회복되고 있다더라구?
인류가 손잡으니 되는구나…오존층 구멍 점점 작아진다
https://n.news.naver.com
아앗...ㅁ...맞긴 한데
그럼 오늘 알려줄 뉴스는
회복이 더 잘 되고 있다는 내용?><
크게보기
[사진 출처: 무한도전]
크흠 분위기 깨서 미안하지만
오늘 전해줄 소식은
인류의 노력으로 메워지고 있던
오존층에 다시 큰 구멍이 뚫렸단 건디;;
뭬? 이게 웬 밷뉴스야?
크게보기
[사진 출처: 인터넷커뮤니티]
최근 유럽우주국(ESA)이
코페르니쿠스 센티넬-5P 위성으로
측정한 결과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이
거대하게 커졌다고 발표했거든...
아니; 얼마나 크길래 그래?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놀라지 마렴;;
지난달 16일 구멍의 크기는 무려!!!
약 22만㎢인 한반도 면적의
118배에 이르는 2600만㎢에 달했대
크게보기
[사진 출처: 위키백과]
끼에에에엑 2600㎢????
얼마나 넓은지 감도 안 온다 야;;;
ESA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남극 대륙 전체는 물론 주변 바다까지
오존층 구멍 안에 들어와 있지 ㄷㄷ
크게보기
[사진 출처: 유럽우주국]
헉...그러넹;;
올해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은
사상 최대 규모 중 하나라고 해
사상 최대 규모라니...어떡해??
오존층이 얇아지면
자외선이 지구 표면까지 도달해서
백내장과 피부암 등을 유발할 수 있잖아ㅠ
크게보기
[사진 출처: 중앙일보에스]
그치 그치.... 자외선이 빗물이라면,
오존층은 우리에게 우산 같은 존재이지
이기적인 생각인 것 같지만...
저번에 오존층이 회복되고 있다길래
내심 다행이라고 생각했었는데....
흠 왜 이렇게 된 거지??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사실 1980년대 후반에
남극 오존층에 커다란 구멍이
뚫리고 있다는 게 알려지면서,
국제사회가 프레온가스
사용을 줄이기 시작했잖아?
응응 그래서 1987년에
프레온가스 사용을 규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됐지!!
크게보기
[사진 출처: 유엔환경계획(UNEP), 네이버 지식백과 / 몬트리올 의정서]
ㅇㅇ 이런 조치 등 덕분에
1979~2021년 남극 오존층 구멍의
평균적인 크기는 대략 2100만㎢를
넘지 않아 올 수 있었지.....
그래서 최근에는 너가 말한 대로
훼손된 오존층이 회복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한 거구?
그럼 도대체 뭐 때문에
다시 남극 오존층에
커다란 구멍이 난 거야??
크게보기
[사진 출처: 네모바지 스폰지밥]
이제 알려줄게.....
과학자들이 지목한 첫 번째 이유는
화.산. 폭.발이야
화산 폭발..!?
ㅇㅇ 작년 1월에 남태평양
통가 해역에서 화산이 폭발했는데,
이 화산이 분화 당시 위력이 엄청났거든;;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500배가 넘는
강력한 위력을 보였다는 평가도 있지
크게보기
[사진 출처: 로이터 연합뉴스 / 작년 1월 통가 해저 화산 '훈가 통가-훈가 하파이' 분화 모습]
헐 화산 폭발로 방출되는 가스가
성층권으로도 가는 거야???
얼마나 셌길래 ㄷㄷ
크게보기
[사진 출처: 네모바지 스폰지밥]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방출되는 가스가
성층권 아래에 머물러 있는데...
이 폭발은 많은 양의 수증기를
성층권으로 보냈다고 함;;
크게보기
[사진 출처: RAMMB/CIRA/CSU / 우주에서 본 통가 화산 폭발 당시 모습]
아 특이 케이스구나
암튼....그래서???
이 수증기는 화학 반응을 통해서
오존층에 영향을 미치고
가열 속도를 변화시켰대ㅠㅠ
그리고 심지어 수증기에는
오존을 고갈시킬 수 있는
다른 원소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헐 그랬구나;;;
그럼 두 번째 원인은?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무한도전]
다음 원인은... 바로바로..
우주로 발사되는
수많은 로켓과 인공위성의 잔해들이야
크게보기
[사진 출처: AP=연합뉴스]
오..? 이건 진짜 예상 못했는데
근데 지금 우주에 로켓이나
인공위성이 얼마나 있길래??
지금 우주에는
7000여 개의 인공위성이 떠 있어!
근데 2030년까지 5만 개의 위성이
추가로 궤도에 진입할 걸로 예상된대
5만개요...?
크게보기
[사진 출처: MBC 거침없이하이킥]
ㄴ....넵... 최근 미국 연구팀에 따르면
로켓과 인공위성의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마찰열 때문에 표면의 금속이 벗겨지는데
응...
이게 성층권에 남게 된다고 해;;
연구팀은 이런 금속 물질들이
에어로졸(대기 중 미세입자)에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잠재적으로는 오존층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지
우리 지구는 괜찮은 걸까...
크게보기
[사진 출처: 픽사베이]
헤이헤이 너 지금 너무 우울 모드야;;
일단 더 들어보고 판단하라구~~~
유럽우주국(ESA)은 비관적인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은 적다는 입장을 밝혔어!
아 진짜??? 어휴 다행이네
왜냐!? 이유도 알려드림~
사실 오존층을 파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건
프레온가스 배출이잖아?
그래서 전 세계 국가들이
이걸 계속 틀어막으면
앞서 말한 수증기의 역할이
제한적일 걸로 보인대!
오오오오!!!!!!!
그럼 일단 우리가 프레온가스
배출을 계속 막는 수밖에 없겠네
크게보기
[사진 출처: 짱구는 못 말려]
그치 그치~
다만 유럽우주국에 따르면
현대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로
성층권에 수증기가 이렇게
많이 유입된 사례는 없었대ㅠ
그럼 수증기가
남극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군....
고라취 고라취;;;
그리고 우리도 이슈될 때만
오존층에 관심 갖지 말고!
평소에도 환경을 더 생각해야겠지!
웅웅 그래야겠다...
암튼 얘기 고마워 썰리얌...
오존층의 근황을 알게 된 시간이었다ㅎ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최근 유럽우주국(ESA)이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이 사상 최대 규모로 커졌다고 발표했습니다.
구멍 크기는 지난달 16일 한반도 면적의 118배에 이르는 260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작년 1월 남태평양 통가 해역에서 발생한 화산 폭발과 우주로 발사되는 수많은 로켓, 인공위성의 잔해들을 오존층 위협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줄어들던 오존층 구멍이 왜 다시 커졌을까?
2019.05.26
설마했는데... '24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2023.08.23
중국발 오존오염 한반도에 영향...끝없이 올라가는 오염수치
2022.06.20
한반도 118배 구멍 뚫린 오존층…회복되던 중 무슨 일?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