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트위터 완전히 ‘X’ 됐다…58조에 산 머스크의 굴욕

2024.03.05
speaker
  • 헬로!!
  • 왓 이즈 유어 네임?
speaker
  • 뭐야..
  • 왜 갑자기
  • 영어를..?
speaker
  • 비커즈 아이 원트 투
  • 스픽 잉글리시 플루언트리!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아.. 예!!
  • 그렇군용 ㅎㅎㅎ
speaker
  • 아 뭐야!! 썰리~
  • 영어로 받아줘야지~~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ㅋㅋㅋㅋㅋㅋㅋ
  • 아.. 나는 영어를
  • 잘 못해서 말이지..ㅎㅎ
speaker
  • 글로벌 리더가 되려면
  • 영어를 잘해야 한다구!
  •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speaker
  • ㅋㅋㅋㅋ
  • 글로벌 리더가 되고 싶어??
speaker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 웅웅!! 나는 외국계 소셜미디어
  • 회사에 들어가서 더 넓은 세상에서
  • 소통하고 싶어!!
speaker
  • 오호.. 멋진 꿈이 생겼군 ㅎㅎ
speaker
  • 웅웅 ㅎㅎ
  • 그리고 최근에 머스크가 트위터를
  • 인수하면서 새롭게 리뉴얼된
  • 'X'에 대한 이슈가 뜨거운 것 같더라고?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우웅 맞아!!
  • 트위터는 2006년에 만들어진
  •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의
  • 원조인데! 머스크가 인수한 뒤에
  • 수익모델을 도입했거든!!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오오 그래??
  • 원래 트위터의 상황은
  • 어땠는데??
speaker
  • 트위터는 초창기 이용자가
  • 시시콜콜한 자기 일상을 공유할 수 있어서
  • 인기를 끌었고! 이로 인해
  • 다른 미디어까지 일상을 공유하는
  • 문화가 퍼지게 되었지 ㅎㅎ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아하!! 어떻게 보면
  • 지금의 SNS의 조상이라고
  • 할 수 있네 ㅋㅋㅋㅋㅋ
speaker
  • 근데 문제는 창업자인
  • 잭 도시 CEO 등 트위터 경영진이
  • 기업을 제대로 경영할 줄 몰랐다는 거야ㅠ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speaker
  • 오잉?? 진짜??
  • 그래서 머스크가 두 팔을 걷고
  • 인수하기로 한 건가..
speaker
  • 웅웅 ㅠㅠ 2020년 트위터의
  • 일간 활성이용자는 1억 9300만 명으로
  • 당시 페이스북(18억 4000만 명)과
  • 약 20배 차이가 났거든..
speaker
  • 우와.. 차이가 진짜 크긴 하다 ㅠㅠ
  • 머스크가 인수한 뒤로
  • 결과가 달라졌을 것 같은데..
speaker
  • 흠.. 아니야!!
  • 머스크가 인수한 뒤 트위터는 X라고
  • 이름을 바꾸고 대량해고를 한 뒤
  • 수익모델을 도입했지만..
  • 경영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거든..
speaker
  • 헐.. 진짜??
  •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펭수
speaker
  • 웅웅 오히려 활성이용자는 경쟁
  •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모두 상승할 동안
  • 홀로 16% 감소했고, 기업가지는 72%
  • 폭락했거든..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speaker
  • 대체 이유가 뭐지..?
speaker
  • 흠.. 이용자들이 머스크 개인이나
  • X의 소셜미디어 정책에 반감을
  • 가지고 떠났기 때문이야!!
speaker
  • 반감을 가질 만한
  • 정책이 있어???
speaker
  • 웅웅..ㅠㅠ 이용자들이
  • 반감을 가진 대표적인 정책은
  • 바로 '검열 포기'야!
  • 머스크는 유해 콘텐츠 검열 인력을
  • 대량으로 해고했었거든?
  •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펭수
speaker
  • 웅웅..
speaker
  • 그와 동시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나
  • 9·11 테러 음모론자 등의
  • 계정 정지를 풀었어..
speaker
  • 이용자들의 반감을
  • 살 만하네..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speaker
  • 또 유명인 사칭을 막기 위해
  • 인증 계정에 무료로 달아주던
  • 블루체크 기능도 유료화하면서
  • 가짜뉴스 검열 기능은 줄이되
  • 그 자리에 수익모델을 채워 넣은 거지..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요즘 미디어 플랫폼들이
  • 유료화 시스템을 점차 갖추고 있다는 건
  • 알고 있었지만..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에겐
  • SNS가 일상을 공유하는 플랫폼이 아닌
  • 하나의 상품처럼 다가왔을 것 같아 ㅠ
speaker
  • 맞아 ㅠㅠ 물론 X가 하향세를
  • 타게 된 이유를 오로지 머스크 탓으로만
  • 돌릴 수는 없어.. 글의 형태로 일상을
  • 공유하거나 의견을 표출하는 SNS 플랫폼이
  • 내리막길을 걷고 있거든..
speaker
  • 헉.. SNS 플랫폼들이
  • 전체적으로 하향세를
  • 겪고 있다는 말이야??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웅웅 요즘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 영상과 사진, 틱톡의 숏폼 콘텐츠가
  • 인기를 얻으면서, 글을 읽으려는
  • 이용자가 줄었거든..
speaker
  • 헉.. 그러고 보니
  • 나도 짧은 영상 위주로
  • SNS를 탐색했던 것 같아!
speaker
  • 강정수 전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은
  • 텍스트 중심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던
  • 밀레니얼 세대가 늙어버린 탓에
  •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소수의 이용자만
  • 남게 되었다고 이야기했어!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speaker
  • 그렇네..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 니치마켓 즉 틈새시장으로
  • 전락하는 시대가 오다니..
speaker
  • 더불어 이용자는 줄었는데
  • 규제가 늘어나고 있어!!
  •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 AI 기술의 개발을 정부가 통제하는
  • 행정 명령에 서명하기도 했어!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아 맞아! 유럽연합(EU)도
  • 지난해 8월부터 가짜뉴스와
  • 허위 콘텐츠 유포의 책임을
  • 플랫폼에 묻는 디지털서비스법을
  • 시행하기도 했잖아!!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맞아 ㅠㅠ 그러니
  • 이용자들이 당연히 소셜미디어를
  • 떠나갈 수밖에,,
speaker
  • 그렇다면 X를 비롯한
  •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 이러한 가시밭길을
  • 어떻게 헤쳐 나가고 있어?
speaker
  • 우선 가짜뉴스 확산 방지를
  • 최우선 과제로 삼았어!!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아하?!
  • 심지어 올해는 전 세계 50개국에서
  • 선거가 치러지니까!
  • 더 중요한 사안이겠네..!
speaker
  • 웅웅! 올해 X를 제외한 페이스북,
  • 틱톡 등은 가짜뉴스 검열 기능을
  • 강화하고 있는데! 다만 이 정책이
  • 실효성이 있는지는 불확실해..ㅎㅎ
speaker
  • 그래도! 허위 콘텐츠를 유통하는
  • 플랫폼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 규제는 반드시 필요하니까!
speaker
  • 웅웅 ㅎㅎ 또한 소셜미디어는
  • 새로운 캐시카우 발굴에 적극적으로
  • 나서고 있어!
  • 아래 표를 한번 볼래?
  •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speaker
  • 오옹!!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는
  • 소셜미디어와 결합할 잠재적
  • 캐시카우를 AI로 정했군 ㅎㅎ
speaker
  • 웅웅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 지난달 1일 콘퍼런스콜에서
  • 자사 제품 내의 차별화된 데이터로
  • AI를 학습시키는 것이
  • 차후 계획임을 밝혔어!!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물론 논란이 일어날 우려가 크지만..
  • AI와 결합한 소셜미디어로 어떤
  • 비즈니스를 만들지 관심이 가는군..!!
speaker
  • ㅎㅎ 메타는 또 인스타그램 쇼핑을
  • 통해 이커머스 시장도 키워가고 있어!
  • 플랫폼 내 인플루언서로부터 물건을
  • 구입하고, 수수료를 벌 수 있는 사업 구조를
  • 만들겠다는 계획이지!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speaker
  • 틱톡도 최근 '틱톡샵'을 열어서
  • 이커머스 시장을 노리고 있던데!
  • 불꽃 튀는 경쟁이 예상되는군!!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X도 새로운 캐시카우로 지난해
  • 11월 자신의 소유 기업 xAI가 출시한
  • 챗봇 서비스인 그록을 결합했어!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오잉?? 그럼 무슨 서비스를
  • 제공하는 건데??
speaker
  • 유료 구독자를 대상으로
  • 음성,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 서비스를 내놓고, 전화번호를
  • 없앤 뒤 X로만 통화하는 시대가
  • 올 것을 예고하기도 했대..!!
speaker
  • ㅋㅋㅋ 상상이 안 되긴 하지만
  • 기대는 되는군!!
  • 그럼 앞으로 X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펭수
speaker
  • 흠.. 앞으로의 X를 바라보는
  • 관전 포인트는 세 가지 정도로
  • 나뉠 것 같은데!!
  • 크게보기 [사진] KBS 스타골든벨
speaker
  • 오호!! 궁금하군 ㅎㅎ
speaker
  • 일단 일론 머스크의 기행이
  • X의 가장 큰 위험 요소라고
  • 할 수 있어..!!
  • 지난해 11월 유대인을 차별하는
  • X 개시글에 동의 댓글을 달았었거든..
speaker
  • 아이쿠..
speaker
  • 이 사건 이후에 각종 기업이
  • X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겠다고
  • 선언했었지.. 미래를 만들면서
  • 동시에 앞길을 막아서는 사람이랄까..?
speaker
  • 그러네 ㅋㅋㅋㅋ
speaker
  • 또한 140자로 제한된 단문을
  • 올리는 X의 사업에 미래가 있는지도
  • 불확실하다는 점을 살펴봐야 해!
  • 크게보기 [사진] 바비힐
speaker
  • 웅웅
  • 서비스의 측면에는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 점차 마케팅 용도의 광고 플랫폼으로
  • 진화할 가능성이 높겠다 ㅠㅠ
speaker
  • 웅웅! 마지막으로 표현의 자유를 앞세워서
  • 가짜뉴스 검열을 등한시하는 머스크의
  • 기조도 지켜봐야 해! 이미 선거 등을
  • 앞두고 가짜뉴스 검열에 손을 높은
  • X를 백악관과 언론이 질타하고 있거든..!
  • 크게보기 [사진] MBC 복면가왕
speaker
  • 허허.. 소셜미디어로서 X의 위치가
  • 점차 무너지는 것 같군..
  • 크게보기 자이언트펭TV 펭수
speaker
  • ㅠㅠ SNS의 입지가 하향세를 타는 만큼
  • X의 행보도 앞으로 더 개선된 방향으로
  • 나아가면 좋을 것 같아 ㅠㅠ
speaker
  • 옳소옳소!!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2022년 10월, 일론 머스크는 440억 달러(약 58조 5000억 원)에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X는 어려움에 처했습니다.
  • 이는 X의 이용자들이 머스크 개인이나 X의 소셜미디어 정책에 반감을 가지고 떠났기 때문입니다.
  • 글의 형태로 일상을 공유하거나 개인의 의견을 표출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하향세를 보임에 따라 새로운 캐시카우를 도입하여 위기를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트위터 완전히 ‘X’ 됐다…58조에 산 머스크의 굴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