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트위터 완전히 ‘X’ 됐다…58조에 산 머스크의 굴욕
2024.03.05
스크랩
4
헬로!!
왓 이즈 유어 네임?
뭐야..
왜 갑자기
영어를..?
비커즈 아이 원트 투
스픽 잉글리시 플루언트리!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아.. 예!!
그렇군용 ㅎㅎㅎ
아 뭐야!! 썰리~
영어로 받아줘야지~~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ㅋㅋㅋㅋㅋㅋㅋ
아.. 나는 영어를
잘 못해서 말이지..ㅎㅎ
글로벌 리더가 되려면
영어를 잘해야 한다구!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ㅋㅋㅋㅋ
글로벌 리더가 되고 싶어??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웅웅!! 나는 외국계 소셜미디어
회사에 들어가서 더 넓은 세상에서
소통하고 싶어!!
오호.. 멋진 꿈이 생겼군 ㅎㅎ
웅웅 ㅎㅎ
그리고 최근에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하면서 새롭게 리뉴얼된
'X'에 대한 이슈가 뜨거운 것 같더라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우웅 맞아!!
트위터는 2006년에 만들어진
마이크로블로깅 플랫폼의
원조인데! 머스크가 인수한 뒤에
수익모델을 도입했거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오오 그래??
원래 트위터의 상황은
어땠는데??
트위터는 초창기 이용자가
시시콜콜한 자기 일상을 공유할 수 있어서
인기를 끌었고! 이로 인해
다른 미디어까지 일상을 공유하는
문화가 퍼지게 되었지 ㅎㅎ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아하!! 어떻게 보면
지금의 SNS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네 ㅋㅋㅋㅋㅋ
근데 문제는 창업자인
잭 도시 CEO 등 트위터 경영진이
기업을 제대로 경영할 줄 몰랐다는 거야ㅠ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오잉?? 진짜??
그래서 머스크가 두 팔을 걷고
인수하기로 한 건가..
웅웅 ㅠㅠ 2020년 트위터의
일간 활성이용자는 1억 9300만 명으로
당시 페이스북(18억 4000만 명)과
약 20배 차이가 났거든..
우와.. 차이가 진짜 크긴 하다 ㅠㅠ
머스크가 인수한 뒤로
결과가 달라졌을 것 같은데..
흠.. 아니야!!
머스크가 인수한 뒤 트위터는 X라고
이름을 바꾸고 대량해고를 한 뒤
수익모델을 도입했지만..
경영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거든..
헐.. 진짜??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펭수
웅웅 오히려 활성이용자는 경쟁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모두 상승할 동안
홀로 16% 감소했고, 기업가지는 72%
폭락했거든..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대체 이유가 뭐지..?
흠.. 이용자들이 머스크 개인이나
X의 소셜미디어 정책에 반감을
가지고 떠났기 때문이야!!
반감을 가질 만한
정책이 있어???
웅웅..ㅠㅠ 이용자들이
반감을 가진 대표적인 정책은
바로 '검열 포기'야!
머스크는 유해 콘텐츠 검열 인력을
대량으로 해고했었거든?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펭수
웅웅..
그와 동시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나
9·11 테러 음모론자 등의
계정 정지를 풀었어..
이용자들의 반감을
살 만하네..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또 유명인 사칭을 막기 위해
인증 계정에 무료로 달아주던
블루체크 기능도 유료화하면서
가짜뉴스 검열 기능은 줄이되
그 자리에 수익모델을 채워 넣은 거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요즘 미디어 플랫폼들이
유료화 시스템을 점차 갖추고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에겐
SNS가 일상을 공유하는 플랫폼이 아닌
하나의 상품처럼 다가왔을 것 같아 ㅠ
맞아 ㅠㅠ 물론 X가 하향세를
타게 된 이유를 오로지 머스크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어.. 글의 형태로 일상을
공유하거나 의견을 표출하는 SNS 플랫폼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거든..
헉.. SNS 플랫폼들이
전체적으로 하향세를
겪고 있다는 말이야??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웅웅 요즘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영상과 사진, 틱톡의 숏폼 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면서, 글을 읽으려는
이용자가 줄었거든..
헉.. 그러고 보니
나도 짧은 영상 위주로
SNS를 탐색했던 것 같아!
강정수 전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은
텍스트 중심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던
밀레니얼 세대가 늙어버린 탓에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소수의 이용자만
남게 되었다고 이야기했어!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그렇네..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니치마켓 즉 틈새시장으로
전락하는 시대가 오다니..
더불어 이용자는 줄었는데
규제가 늘어나고 있어!!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AI 기술의 개발을 정부가 통제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기도 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아 맞아! 유럽연합(EU)도
지난해 8월부터 가짜뉴스와
허위 콘텐츠 유포의 책임을
플랫폼에 묻는 디지털서비스법을
시행하기도 했잖아!!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맞아 ㅠㅠ 그러니
이용자들이 당연히 소셜미디어를
떠나갈 수밖에,,
그렇다면 X를 비롯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이러한 가시밭길을
어떻게 헤쳐 나가고 있어?
우선 가짜뉴스 확산 방지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어!!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아하?!
심지어 올해는 전 세계 50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지니까!
더 중요한 사안이겠네..!
웅웅! 올해 X를 제외한 페이스북,
틱톡 등은 가짜뉴스 검열 기능을
강화하고 있는데! 다만 이 정책이
실효성이 있는지는 불확실해..ㅎㅎ
그래도! 허위 콘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규제는 반드시 필요하니까!
웅웅 ㅎㅎ 또한 소셜미디어는
새로운 캐시카우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아래 표를 한번 볼래?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오옹!!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는
소셜미디어와 결합할 잠재적
캐시카우를 AI로 정했군 ㅎㅎ
웅웅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지난달 1일 콘퍼런스콜에서
자사 제품 내의 차별화된 데이터로
AI를 학습시키는 것이
차후 계획임을 밝혔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물론 논란이 일어날 우려가 크지만..
AI와 결합한 소셜미디어로 어떤
비즈니스를 만들지 관심이 가는군..!!
ㅎㅎ 메타는 또 인스타그램 쇼핑을
통해 이커머스 시장도 키워가고 있어!
플랫폼 내 인플루언서로부터 물건을
구입하고, 수수료를 벌 수 있는 사업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지!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틱톡도 최근 '틱톡샵'을 열어서
이커머스 시장을 노리고 있던데!
불꽃 튀는 경쟁이 예상되는군!!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X도 새로운 캐시카우로 지난해
11월 자신의 소유 기업 xAI가 출시한
챗봇 서비스인 그록을 결합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오잉?? 그럼 무슨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데??
유료 구독자를 대상으로
음성,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내놓고, 전화번호를
없앤 뒤 X로만 통화하는 시대가
올 것을 예고하기도 했대..!!
ㅋㅋㅋ 상상이 안 되긴 하지만
기대는 되는군!!
그럼 앞으로 X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펭수
흠.. 앞으로의 X를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는 세 가지 정도로
나뉠 것 같은데!!
크게보기
[사진] KBS 스타골든벨
오호!! 궁금하군 ㅎㅎ
일단 일론 머스크의 기행이
X의 가장 큰 위험 요소라고
할 수 있어..!!
지난해 11월 유대인을 차별하는
X 개시글에 동의 댓글을 달았었거든..
아이쿠..
이 사건 이후에 각종 기업이
X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었지.. 미래를 만들면서
동시에 앞길을 막아서는 사람이랄까..?
그러네 ㅋㅋㅋㅋ
또한 140자로 제한된 단문을
올리는 X의 사업에 미래가 있는지도
불확실하다는 점을 살펴봐야 해!
크게보기
[사진] 바비힐
웅웅
서비스의 측면에는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점차 마케팅 용도의 광고 플랫폼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겠다 ㅠㅠ
웅웅! 마지막으로 표현의 자유를 앞세워서
가짜뉴스 검열을 등한시하는 머스크의
기조도 지켜봐야 해! 이미 선거 등을
앞두고 가짜뉴스 검열에 손을 높은
X를 백악관과 언론이 질타하고 있거든..!
크게보기
[사진] MBC 복면가왕
허허.. 소셜미디어로서 X의 위치가
점차 무너지는 것 같군..
크게보기
자이언트펭TV 펭수
ㅠㅠ SNS의 입지가 하향세를 타는 만큼
X의 행보도 앞으로 더 개선된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을 것 같아 ㅠㅠ
옳소옳소!!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2022년 10월, 일론 머스크는 440억 달러(약 58조 5000억 원)에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X는 어려움에 처했습니다.
이는 X의 이용자들이 머스크 개인이나 X의 소셜미디어 정책에 반감을 가지고 떠났기 때문입니다.
글의 형태로 일상을 공유하거나 개인의 의견을 표출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하향세를 보임에 따라 새로운 캐시카우를 도입하여 위기를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트위터의 미래…제2의 테슬라냐, 머스크의 개인 확성기냐
2022.04.28
"아동포르노 옆에 우리 광고가?"... 트위터 손절한 유명브랜드
2022.10.05
저커버그·머스크 설전 부른 SNS '스레드' 출시...트위터 넘을까?
2023.07.05
트위터 완전히 ‘X’ 됐다…58조에 산 머스크의 굴욕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