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90%가 살충제 뚫었다! 말라리아 '좀비 모기' 공포😧
2024.05.30
스크랩
어휴.. 탁!!
뭐야 무슨 소리야~
크게보기
[사진] EBS 자이언트 펭TV
모기 잡는 소리..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아니 벌써 모기가
있단 말이야??
웅.. 그렇더라구
집에 모기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여름이 다가오는 게
실감이 나기 시작하는 것 같아
하.. 말도 안 돼..
나 안 그래도 모기에
잘 물리는 타입이라
여름 내내 고생하는데..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썰리도 모기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구나?
웅웅 ㅠㅠㅠ
더 큰 문제는 뭔지 알아?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뭔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모기 활동이 급증하면서
말라리아 등 모기 매개 질병의
위험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는 거야!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호에??
갑자기 긴장이 엄청 되는걸 ㅠㅠ
특히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살충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보건당국과 지방자치단체들도
긴장하고 있다는 소식..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에에??
살충제를 뚫는다고?
모기가 말이 돼??
에휴.. 지금부터 더 자세하게
이야기해 줄게!! 우선 지난 11일
기준으로 올해 채집 모기 785마리
가운데 말라리아 모기는 34 개체로
나타났거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웅웅 한 4.3%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군!!
맞아!! 보건당국은 지난해 말라리아
감염 환자가 급증해서 더 주의 깊게
말라리아 매개 모기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하네..!
하.. 맞아..
나도 저번에 기사를 봤는데
2023년에 갑자기 747명으로
말라리아 환자의 수가
확 늘었었잖아..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웅웅 말라리아 매개 모기의 활동은
최근 들어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해지고 있는데!
으.. 시러시러!! ㅠㅠ
지난해 6월 말라리아 위험 지역에서
채집한 모기 중 얼룩날개모기의 밀도가
54%로 지난해 대비 2배나 증가했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와.. 이 정도면 진짜
위험한 상황인 것 같은데..
긴장해야겠다..
특히 올해는 봄철의 잦은 비와
기온 상승으로 모기 번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말라리아 매개 모기의 활동이
더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어쩐지 아직 여름이 아닌데도
국내에서는 모기가 전보다
더 많이 보인다 했어..
서울시의 불빛 유도 모기 채집
현황에 따르면 올해 5월 1~3주에
채집한 모기는 429마리로 지난
10년 평균의 2배를 넘었다고 하네?
더 큰 감염병 사태로 번지지 않게
정부에서 예방에 큰 힘을
써줘야 할 것 같아 ㅠㅠ
웅! 질병청은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경기 북부 등 접경 지역에서 올해
서울 13개 구와 서울을 둘러싼 경기
지역으로 확대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대응에 나서기 시작하는 건가?
웅웅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모기 매개 감염병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방식의 모기
조사 사업을 통해 감염병 예방에
힘쓸 예정이라고 밝혔어!!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근데 문제는 국내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살충제에 저항성을
보인다는 점 아니야??
방역이 소용이 없을 것 같은데..
웅웅.. 2022~2023년 경기도
북부 비무장지대 근처에 채집한
말라리아 매개 모기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성충의 90% 이상에서
살충제 내성 유전자형 6종류가 검출됐어
와.. 90% 이상??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웅웅 국내 우점종인 중국얼룩날개모기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주로 발견되는
벨렌얼룩날개모기에게서도
살충제 저항성 유전자가
발견이 되었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KBS 슈퍼맨이돌아왔다
흐어..
그럼 진짜 어떻게 대응해야 하지
막막하네..
크게보기
[사진] tvN 신서유기
중국에서 발견된 것보다 더 많은
종류의 살충제 내성 유전자가
국내에 빠르게 퍼지고 있는 상황에
보건당국도 살충제 저항성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하고 있대
현재로서는 모기 살충제로
쓸 수 이쓴 물질이 많지 않기 때문에
화학적 방제에도 한계가
있을 것 같은데..
웅웅 그래서 질병청 관계자는 매개
모기가 많은 축사 주변에서 최대한
유충을 방제하거나 유문 등으로
유도하는 물리적 방제 등을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어!
에휴.. 화학적 방제 효율성을
다시 한번 검토하고 새로운
방제 전략의 근거를 마련할
계획을 세울 필요도 있겠다..!
크게보기
[사진] EBS 자이언트 펭TV
웅웅!! 그리고
기후변화 늘어난 모기 활동은
전 세계적으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데!!
크게보기
[사진] KBS 슈퍼맨이돌아왔다
헉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크게보기
[사진] MBC 거침없이하이킥
웅웅 ㅠㅠ 세계보건기구는
지난해 11월 보고서에서 2022년
전 세계 말라리아 발병 사례는
2억 4900만 건으로 2019년보다
6.9% 증가했음을 밝혔거든?
헉 웅웅!
기후변화로 말라리아 퇴치가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어!
에휴 정말 큰일이다..
말라리아와 뇌염과 같은
모기 매개 전염병들은
치사율도 매우 높은 병이니까..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웅웅 ㅠㅠ 하루빨리
말라리아 및 전염병 매기
모기들을 확실히 퇴치할 수 있는
살충제가 만들어졌음 해~!
웅웅 ㅠㅠ 이번 여름도
안전하고 평화롭게
보내고 싶다구~ ㅠㅠ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모기 활동이 급증하면서 말라리아 등 모기 매개 질병의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국내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살충제에 내성(저항성)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이에 질병청은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경기 북부 등 접경 지역에서 올해 서울 13개 구와 서울을 둘러싼 경기 지역으로 확대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모기 5, 000방! 연구를 위해 자신의 팔을 바친 남자
2020.10.13
왜 나만 모기에 물릴까? 몰랐던 '이유'는…
2022.07.30
모기 숫자 세는 데 연간 수천만원...부산 지자체 '스마트 기기' 사업 논란
2023.07.11
90%가 살충제 뚫었다! 말라리아 '좀비 모기' 공포😧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