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퓨마 가죽' 중고로 등장, 멸종위기종 어떻게?🤷‍♂️

2024.10.28
speaker
  • 으으,,, 너무 춥다
  •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졌어,,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그니깐ㅠㅠ
  • 감기 조심해!
  • 요즘 아침에 엄청 춥더라
speaker
  • 나 그래서 핫팩
  • 들고 다니잖아ㅋㅋㅋ
speaker
  • 엥?! 벌써??
speaker
  • 벌써라니!!
  • 핫팩 있어도 춥다구,,
  • 집도 추운데 러그라도 사야하나ㅠㅠ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러그 좋지ㅎㅎ
  • 크게보기 [사진] 킹오브더힐
speaker
  • 썰리! 러그 살 때 꿀팁 알려주라~
speaker
  • 꿀팁은 모르는데
  • 무조건 피해야 하는 러그는 알지!
speaker
  • 무조건 피해야 한다고?!
  • 대체 어떤 러그인데!!
speaker
  •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에
  • 올라온 러그..!!
speaker
  • 왜!! 안전상에 문제라도 있어?
  •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speaker
  • 그보다 큰 문제지,,
  • 바로 그 러그의 정체가
  • '퓨마 가죽 러그'거든,,
  • 크게보기 [사진] 동물보호단체라이프
speaker
  • 엥?! 진짜 퓨마 가죽 러그라고?!
speaker
  • 지난 8월 말 중고거래 플랫폼에
  • ‘진짜 리얼 퓨마 가죽 러그’라는
  • 제목의 글이 올라왔어...
speaker
  • 헐... 더 자세히 말해주라,,
speaker
  • 해당 게시물에는 퓨마 러그 사진과
  • '발톱 20개 전부 짱짱하고
  • 모피 상태 최상'이라는 글이 있었어,,
speaker
  • 아니 퓨마는 멸종위기종 아냐?
  • 크게보기 [사진]JTBC아는형님
speaker
  • 맞아! 퓨마는 ‘멸종위기에 처한
  •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 멸종위기종 2급으로 분류되고 있어!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그런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거야,,
  • 우리나라도 그 협약을
  • 따르고 있는 게 맞을까?
speaker
  • 웅웅!
  • 한국은 1993년 협약에 가입해서
  • 국제적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고 있어!
speaker
  • 그러면 그 전에 러그가 제작된 건가?
  • 그래서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 러그를 사고팔 수 있는 거야?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CITES 지정 멸종위기종이나
  • 가공품을 수·출입할 땐
  • 반드시 환경부 장관의
  • 허가를 받아야 해...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헉...!!
  • 환경부 장관의 허가를
  •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speaker
  • 웅웅! 그 퓨마 러그처럼
  • 허가받지 않은 멸종위기종 가공품이나
  • 생명체를 양수·양도·진열할 시
  • 2년 이하 징역 또는
  •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돼!
speaker
  • 그래도 처벌 규정이
  • 엄격한 편인 것 같네!!
speaker
  • 그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에선
  • 국제적 멸종위기종의 거래가 활발해,,
speaker
  • 아까 환경부 장관의
  • 허가를 받아야 한다면서!
  • 환경부가 적발해야 하는 거 아냐?
  • 크게보기 [사진] MBC나혼자산다
speaker
  • 안타깝게도 온라인 불법 거래가
  • 만연하지만 관할부처인
  • 환경부의 적발이 전무해,,
  •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speaker
  • 정말로?!?
speaker
  • 웅웅ㅠㅠ
  • 최근 5년간 환경부가 자체적으로
  • 멸종위기종 밀수품 온라인 거래를
  • 적발한 건수는 0건이야,,
speaker
  • '자체적'이라면,,
  • 이외에 적발 건수는 있다는 거야?!
speaker
  • 웅! 관세청에서
  • 멸종위기종 밀수를
  • 적발하고 있거든!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적발 건수를 알려줄 수 있을까?
speaker
  • 2020년 3건에서
  • 2023년 28건으로
  • 9배 넘게 늘었어,,
speaker
  • 허거덩..~
  • 관리, 감독 시스템이
  • 너무 허술한 거 아냐...?
speaker
  • 환경부 관계자에 따르면
  • 오프라인 사업장은 소재지가 명확하지만
  • 온라인은 불분명해서 단속이 어렵나봐,,
speaker
  • 그러면 대책이 없는 거야ㅠㅠ?!
speaker
  • 자체적으로 온라인 불법 거래
  • 모니터링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 계획하고 있는 중이래!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그렇구나!!
speaker
  • 그런데 있잖아,,
  • 이런 온라인 불법 거래뿐만 아니라
  • 멸종위기종을 국내에 들여올 때
  • 필요한 수입 허가증이
  • 의미가 없는 것 같기도 해,,
speaker
  • 엥..?! 왜??
speaker
  • 아까 말했듯 CITES 지정
  • 생물·가공품을 수입하기 위해선
  • 환경부의 허가를 받아야 돼!
speaker
  • 그치..??
  •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speaker
  • 이처럼 허가제인데
  • 신청만 하면 거의 다 받아줘서
  • '신고제'와 다를 바가 없나 봐,,
speaker
  • 자료가 있을까??
speaker
  • 지난해 국제적 멸종위기종
  • 수입 신청 건수 7611건 중
  • 반려된 사례는 7건이었어!
speaker
  • 올해 자료도 있어?
speaker
  • 올해 1~8월까지 접수된 6624건 중
  • 반려된 건 15건뿐이야...ㅋㅋ..
  • 크게보기 [사진] 김주영의원실
speaker
  • 2년이지만, 국제적 멸종위기종
  • 수입 신청서의 99.8%는
  • 단순 제출로 허가증을 받아간 거네,,
  • 크게보기 [사진] 패트와매트
speaker
  • 그러게 말이야,,ㅠㅠ
speaker
  • 국제적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 수입과 출입 관리를 엄격히 하고
  • 온라인 불법 거래를 감시해야 할
  • 체계가 빠르게 만들어져야 할 것 같아..
speaker
  • 그리구 수출 허가증도 남발하지 말고
  • 꼼꼼한 시스템이 필요해보여!
speaker
  • 완전 인정이야ㅠㅠ
speaker
  • 아앗 미안,,
  • 주제가 또 샜다
  • 그래서 러그는 어떻게 할 거야!
speaker
  • 우선 이번 겨울은
  • 러그 없이 보낼랭,,ㅋㅋㅋ
speaker
  • 그래 그래~!!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지난 8월 말 중고거래 플랫폼에 퓨마 가죽 러그를 판매하는 게시물이 올라왔습니다.
  • 퓨마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따라 멸종위기종 2급으로 분류됩니다.
  • 엄격한 처벌 규정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단속이 어려워 온라인 상에선 국제적 멸종위기종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퓨마 가죽' 중고로 등장, 멸종위기종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