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3년 뒤 북극 '얼음 없는 날' 온다?

2024.12.10
speaker
  • 악 춥다추워!!!
  • 왜 이렇게 추운거야~..
  • 크게보기
speaker
  • 그러니까!!!!
  • 오늘 진짜 춥더라ㅠㅠ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이렇게 추운데 지구온난화가
  • 심각하다니..
  • 자연의 신비란..
speaker
  • 그치.. 북극에 있는 빙하는
  • 녹고 있는 실정이라니,,ㅠㅠ
  •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eaker
  • 북극해의 해빙 면적은 어느 정도로
  • 줄어들 거라 예상되고 있어??
speaker
  • 해빙 면적이 평균 100만㎢ 미만으로
  • 줄어드는 '얼음 없는 날'이 3년 뒤
  • 처음 도래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 결과가 최근 화제야..!!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100만㎢는 어느 정도의 크기야??
speaker
  • 올해 9월 북극해 해빙 면적
  • 최소치의 4분의 1보다 작아.
speaker
  • 헉 엄청 줄어든 거네..?
  • 얼음 없는 날이
  • 3년 뒤면 엄청 빠른데..?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그러니까..!
  • 얼음 없는 날은 지구온난화가 진행돼도
  • 녹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캐나다 북쪽
  • 아키펠라고 부근 얼음을 제외한
  • 북극해 해빙이 모두 녹은 상태를 의미해!!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근데 당장 3년 뒤가
  • 확정인 거는 아니지??
speaker
  • 웅웅! 전문가는 3년 뒤 얼음 없는 날이
  • 올 확률은 굉장히 낮다고 전했어!
speaker
  • 근데 3년 뒤에 얼음 없는 날이
  • 도래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
  • 결과는 어떻게 나왔어??
speaker
  • 전체 시뮬레이션의 3% 수준인
  • 극단적인 시뮬레이션 결과라고 해!
speaker
  • 아하..! 당장 3년 뒤가 아니라니
  • 조금 안심이 되기는 하지만..
  • 조만간 빙하가 다 녹아버릴 것 같아ㅠㅠ
speaker
  • ㅠㅠ극지의 기후변화가 워낙 빠르게
  •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2030년대에는
  •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해!!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얼음 없는 날의 예상 시점이
  • 점점 앞당겨지고 있는 거지??
speaker
  • 맞아.. 북극은 중위도 지역 기상에
  • 큰 영향을 주는데가 기후학적으로도
  •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매해 얼음
  • 없는 날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는데,
  • 최근 들어 예상 시점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어.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북극해에도 기온이 오르는 시기와
  • 내려가는 시기가 있지??
speaker
  • 웅! 얼음은 매년 북극해를 덮을 만큼
  • 커졌다가, 일부가 녹아서 작아지기를
  • 반복한다고 해.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연중 해빙 면적이 가장 작을 때는
  • 몇 월이야??
speaker
  • 연중 해빙 면적이 가장 작을 때는
  • 여름철이 끝난 9월!
speaker
  •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 해빙
  • 면적이 작은 날들이 늘어나겠다ㅠㅠ
speaker
  • 9월에 얼음 없는 날이 도래하기 시작해
  • 점차 8월, 10월로 얼음 없는 기간이
  • 늘어날 전망이지..
speaker
  • 북극의 얼음이 우리나라에
  • 미치는 영향은 어때??
speaker
  •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는
  • 빙하가 줄어들수록 극단적 기상을
  •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speaker
  • 북극이 상대적으로 따뜻할 때는
  • 어떤 현상이 나타나??
speaker
  • 극소용돌이가 붕괴하면서 북극의
  • 찬 공기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 사행하는 현상이 나타나!!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사행..?
speaker
  • 제트기류가 뱀처럼 구불구불해지며
  • 중위도로 내려오는 현상이야!!
speaker
  • 제트기류가 중위도까지 내려오면
  • 북극 한파도 내려올 길이
  • 열리는 건가??
speaker
  • 최근 한반도가 겨울철마다
  • 북극 한파를 겪은 이유야!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북극 얼음이 줄어들수록
  • 이런 현상이 심화하는 거구나..
speaker
  • 맞아.. 이런 현상이 심화하다가,
  •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으면
  • 북극 자체가 따뜻해져,
  • 중위도의 겨울도 따뜻해질 것으로 보여.
speaker
  • 우리나라 기상에 큰 영향을 주는
  • 북극해 얼음의 변화 양상은 어때??
speaker
  • 영향을 주는 얼음은 바렌츠-카라해
  • 부근 해빙인데 이곳은 이미 대부분
  • 녹았기 때문에 당분간 큰 변화는
  • 없을 것으로 예상돼!
speaker
  • 근데 그럼 폭염, 폭설 같은
  • 극한 기상도 북극해 빙하와
  • 연관이 있어??
speaker
  • 웅웅! 제트기류가 심하게 시행하는 게
  • 지속되는 문제인데, 이 경우 제트기류에서
  • 떨어져 나온 절리저기압과 절리고기압이
  • 자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며
  • 폭염, 폭우, 폭설 등 극한 기상이
  • 잦아진다고 해ㅠㅠ
  •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speaker
  • 헉..!
  • 진짜 북극해 빙하가 녹는 걸
  • 체감할 수밖에 없는 나날이 지속되겠다ㅠㅠ
speaker
  • 그러니까.. 돌이킬 수는 없어도
  • 조금이나마 예방을 해야할텐데..
  • 우리 모두의 마음가짐이
  • 중요할 것 같아..!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북극해의 해빙 면적이 평균 100만㎢ 미만으로 줄어드는 ‘얼음 없는 날’이 3년 뒤 처음 도래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최근 화제입니다.
  •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는 빙하가 줄어들수록 극단적 기상을 겪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전문가는 제트기류가 심하게 사행하는 게 지속되는 문제인데, 이 경우 제트기류에서 떨어져 나온 절리저기압과 절리고기압이 자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며 폭염·폭우·폭설 등 극한 기상도 잦아진다고 말했습니다.

3년 뒤 북극 '얼음 없는 날'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