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3년 뒤 북극 '얼음 없는 날' 온다?
2024.12.10
스크랩
1
악 춥다추워!!!
왜 이렇게 추운거야~..
크게보기
그러니까!!!!
오늘 진짜 춥더라ㅠ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이렇게 추운데 지구온난화가
심각하다니..
자연의 신비란..
그치.. 북극에 있는 빙하는
녹고 있는 실정이라니,,ㅠ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북극해의 해빙 면적은 어느 정도로
줄어들 거라 예상되고 있어??
해빙 면적이 평균 100만㎢ 미만으로
줄어드는 '얼음 없는 날'이 3년 뒤
처음 도래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최근 화제야..!!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100만㎢는 어느 정도의 크기야??
올해 9월 북극해 해빙 면적
최소치의 4분의 1보다 작아.
헉 엄청 줄어든 거네..?
얼음 없는 날이
3년 뒤면 엄청 빠른데..?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그러니까..!
얼음 없는 날은 지구온난화가 진행돼도
녹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캐나다 북쪽
아키펠라고 부근 얼음을 제외한
북극해 해빙이 모두 녹은 상태를 의미해!!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근데 당장 3년 뒤가
확정인 거는 아니지??
웅웅! 전문가는 3년 뒤 얼음 없는 날이
올 확률은 굉장히 낮다고 전했어!
근데 3년 뒤에 얼음 없는 날이
도래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
결과는 어떻게 나왔어??
전체 시뮬레이션의 3% 수준인
극단적인 시뮬레이션 결과라고 해!
아하..! 당장 3년 뒤가 아니라니
조금 안심이 되기는 하지만..
조만간 빙하가 다 녹아버릴 것 같아ㅠㅠ
ㅠㅠ극지의 기후변화가 워낙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2030년대에는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해!!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얼음 없는 날의 예상 시점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는 거지??
맞아.. 북극은 중위도 지역 기상에
큰 영향을 주는데가 기후학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매해 얼음
없는 날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는데,
최근 들어 예상 시점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어.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북극해에도 기온이 오르는 시기와
내려가는 시기가 있지??
웅! 얼음은 매년 북극해를 덮을 만큼
커졌다가, 일부가 녹아서 작아지기를
반복한다고 해.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연중 해빙 면적이 가장 작을 때는
몇 월이야??
연중 해빙 면적이 가장 작을 때는
여름철이 끝난 9월!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 해빙
면적이 작은 날들이 늘어나겠다ㅠㅠ
9월에 얼음 없는 날이 도래하기 시작해
점차 8월, 10월로 얼음 없는 기간이
늘어날 전망이지..
북극의 얼음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어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는
빙하가 줄어들수록 극단적 기상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북극이 상대적으로 따뜻할 때는
어떤 현상이 나타나??
극소용돌이가 붕괴하면서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사행하는 현상이 나타나!!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사행..?
제트기류가 뱀처럼 구불구불해지며
중위도로 내려오는 현상이야!!
제트기류가 중위도까지 내려오면
북극 한파도 내려올 길이
열리는 건가??
최근 한반도가 겨울철마다
북극 한파를 겪은 이유야!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북극 얼음이 줄어들수록
이런 현상이 심화하는 거구나..
맞아.. 이런 현상이 심화하다가,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으면
북극 자체가 따뜻해져,
중위도의 겨울도 따뜻해질 것으로 보여.
우리나라 기상에 큰 영향을 주는
북극해 얼음의 변화 양상은 어때??
영향을 주는 얼음은 바렌츠-카라해
부근 해빙인데 이곳은 이미 대부분
녹았기 때문에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돼!
근데 그럼 폭염, 폭설 같은
극한 기상도 북극해 빙하와
연관이 있어??
웅웅! 제트기류가 심하게 시행하는 게
지속되는 문제인데, 이 경우 제트기류에서
떨어져 나온 절리저기압과 절리고기압이
자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며
폭염, 폭우, 폭설 등 극한 기상이
잦아진다고 해ㅠㅠ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헉..!
진짜 북극해 빙하가 녹는 걸
체감할 수밖에 없는 나날이 지속되겠다ㅠㅠ
그러니까.. 돌이킬 수는 없어도
조금이나마 예방을 해야할텐데..
우리 모두의 마음가짐이
중요할 것 같아..!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북극해의 해빙 면적이 평균 100만㎢ 미만으로 줄어드는 ‘얼음 없는 날’이 3년 뒤 처음 도래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최근 화제입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는 빙하가 줄어들수록 극단적 기상을 겪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전문가는 제트기류가 심하게 사행하는 게 지속되는 문제인데, 이 경우 제트기류에서 떨어져 나온 절리저기압과 절리고기압이 자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며 폭염·폭우·폭설 등 극한 기상도 잦아진다고 말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여름철 전동킥보드 화재 위험 겨울의 2배...해마다 화재도 증가
2024.06.17
멸종위기 산양 277마리 떼죽음...지난 겨울 강원엔 무슨일이
2024.03.07
첫 중동·겨울 월드컵, 유의할 점은 무엇일까?
2022.11.15
3년 뒤 북극 '얼음 없는 날' 온다?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