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기후변화 방치하면 금융권 “최대 46조원” 손실?
2025.03.20
스크랩
썰리야,,ㅠㅠ
이번에 세계기상기구에서 발표한
'2024 세계 기후 현황' 보고서 봤어?
아 봤지!!
지난해 전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5도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잖아
그러니까,,
지난 175년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라며?
웅웅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상
오른 건 지난해가 처음이었어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지구 기온 말고
다른 지표들도
일제히 정점을 찍었던데!
잘 알고 있네ㅎㅎ
대기 중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메탄, 아산화질소는
지난 80만 년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어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걱정되네 흑흑,,
기후 대응 대책을
하루 빨리 마련해야 할 텐데!
맞아!!
며칠 전에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관련 내용이 있었지
어떤 내용이었어??
한은은 정부의 기후 대응
정책 도입 강도와 도입 시기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기후변화 보고서를 발표했거든
크게보기
[출처] 연합뉴스
웅웅
기후 정책 도입을 지연하거나
무대응으로 일관하면
금융권의 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어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헉 정말?!
손실 규모가 어느 정도로 예측됐는데?
지연 대응 때는 급격한 탄소 감축에
따른 전환 리스크 확대 등으로
예상 손실 규모가 약 40조 원까지 늘어났고
무대응에 따른 예상 손실 규모는
45조 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어
와,, 40조가 넘는 손실이라니
어마어마하다
그치,,
은행은 신용 손실이
전체 예상 손실의
95% 이상을 차지했대
아,, 신용 손실이 크구나
그럼 은행권 말고
다른 금융권 업계의
피해 예상 규모는 어때?
보험사의 경우 신용 위험
노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기후 리스크로 인한 자본 적정성 저하는
은행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해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우와 그렇구나
기후 대응에 따른 금융기관들의
손실이 클 수도 있다는 게 새롭네!
그치ㅎㅎ
오늘도 잘 들었엉
크게보기
[출처] 동상이몽 너는 내 운명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한국은행은 정부의 기후 대응 정책 도입 강도와 도입 시기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네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했습니다.
기후 정책 도입을 지연하거나 무대응으로 일관하면 금융권의 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은 신용 손실이 전체 예상 손실의 95%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얼음으로 겨우 버티는 12살... 절박한 '기후격차'🌡
2024.08.16
기후 위기 대응 촉구 … 이탈리아 환경단체의 ‘먹물 테러’
2023.05.22
에너지 절감의 시작, ‘녹색 건축’ … 그린 리모델링은 기후 위기의 짝꿍
2023.02.27
기후변화 방치하면 금융권 “최대 46조원” 손실?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