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챗GPT로 심리상담 받는 MZ들, 괜찮을까?

2025.03.30
speaker
  • 썰리,,
  • 요즘 인생이 지치네
  • 크게보기
speaker
  • 앗!!
  • 요즘 많이 힘들구나ㅠㅠ
speaker
  • 웅,, 나 그래서
  • 요즘 챗GPT한테
  • 심리상담도 받잖아ㅋㅋㅋ
speaker
  • 안 그래도 최근에
  • MZ세대 사이에서 '챗GPT'를
  • 상담 상대로 활용한다는 얘기 들었어
  • 크게보기 [출처] 중
speaker
  • 웅ㅎㅎ
  • SNS에 ‘상담용 챗GPT 프롬프트'를
  •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어
speaker
  • 프롬프트는 챗GPT의 수행 역할을
  • 심리 상담 전문가로 지정하고,
  • 사용자의 상황과 감정을 해석하고
  • 따뜻하게 공감해 달라는 등
  • 대화 지침을 명령하는 식이더라고!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맞아!!
  • 지난해 12월 올라온 해당 프롬프트는
  • 1700회 넘게 공유됐다고 들었어
speaker
  • 일기를 쓰면 키워드를 추출해서
  • 작성자에게 맞춤형 조언을
  • 해주는 프롬프트도 있대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오호~ 그런 프롬프트도 있구나
speaker
  • AI를 활용한 정신상담은
  • 공교육에도 활용되고 있어
speaker
  • 공교육에도??
speaker
  • 웅웅
  • 심리학 방법론을 적용한
  • AI 기반 청소년 정서 상담 챗봇
  • 앱 ‘상냥이’는 전국 50여 개
  • 학교에서 제휴를 맺어 활용 중이야
  • 크게보기 [출처] 중앙포토
speaker
  • 학교에서도 AI 상담을 이용하다니!!
  • 세상이 많이 변했다ㅋㅋㅋ
speaker
  • 그치ㅋㅋㅋㅋ
  • 지난달 서울 서초구 청소년 상담
  • 시설 6곳엔 고민 상담 기능이 탑재된
  • AI 정신건강 키오스크가 설치되기도 했어
speaker
  • AI가 정신건강 분야까지
  • 확장되고 있는 거네ㅎㅎ
speaker
  • 정신건강 분야 AI 시장 규모는
  • 지난해 15억 달러에서
  • 2030년 51억 달러까지
  • 오를 전망이라고 해
speaker
  • 규모가 어마어마하네
  • 근데 정신상담을
  • AI에 맡겨도 괜찮은 걸까??
  • 뭔가 기분이 오묘한걸,,
speaker
  • 전문가들은 AI 정신상담을
  •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 지나치게 의존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야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더 자세히 말해줘!!
  • 긍정적인 점은 뭔데?
speaker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 AI와 상담하면서 본인의 상태를
  •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 정식 치료로 나아가는
  • 문턱을 낮출 수 있단 점은
  •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어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그럼 반대로 우려되는 점은 뭐야?
speaker
  • 전문의들은 텍스트로만 이뤄지는
  • AI와의 상담이 비언어적 요소를 동반하는
  • 대인 상담을 대체할 순 없다고 봤어
  • 또 AI는 아직 환각의 위험성이 있고 했지
  •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speaker
  • AI에만 의존하기보단
  • 내 상태를 살펴보며 나아가는
  • 수단으로 활용하는 게 건강하겠네
speaker
  • 웅웅
  • 맞아 ㅎㅎ
  • 크게보기 [출처] 피카츄
speaker
  • 오늘도 잘 들었어~~!!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는 ‘상담용 챗GPT 프롬프트(명령어)’를 공유하는 글이 여럿 올라왔습니다.
  • 챗GPT의 수행 역할을 심리 상담 전문가로 지정하고, 사용자의 상황과 감정을 해석하고 따뜻하게 공감해 달라는 등 구체적인 대화 지침을 명령하는 식입니다.
  • 전문가들은 AI 정신상담을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지나치게 의존하면 안 된단 입장입니다.

챗GPT로 심리상담 받는 MZ들, 괜찮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