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교사도 무서운 교실👩🏫
2025.05.09
스크랩
썰리~ 내 친구가
지금 교사거든..
오~ 멋지다잉!
그런데 요즘 교권 침해가
진짜 심각하다고 해서..
최근에 교권을 침해하는
일이 있었어?!
크게보기
[출처] 마루는 강쥐
5월 15일이 무슨 날이게~?!
크게보기
[사진] 무한도전
엥 갑자기 퀴즈?!
스승의 날 아니야..?!
크게보기
[사진] 무한도전
맞아! 스승의 날을 앞두고
교사들이 교권 침해에 대한
현실을 토로하고 있어..
교권 침해가 그렇게 심각해?!
현재 단순 교실 내
소란 수준이 아니라,
물리적 폭력까지
빈번해지고 있어서 문제야..
헉..! 폭력까지 일어나고 있다구?!
크게보기
[사진] 내형제의연인들
대표적인 사건이
지난달 28일에 있었어!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17살 학생이 흉기를 휘둘러
교장 등 6명이 다쳤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진짜로..??
웅웅.. 심지어 범행 이후에
인근 공원으로 도망가서
행인 2명도 공격했다고 해..
학생이 왜 그런 짓을 했대?
경찰 조사에 따르면,
그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자였고
학교생활 적응 문제, 가정 형편,
진로까지 복합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었대ㅠㅠ
특수교육 대상자라고 해도..
학교에서 그런 범행이 일어났다니
교사들이 정말 불안하겠다..ㅠㅠ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아무래도 그렇지.. 한 특수교사는
“학생이 공격적인 행동을 해도
교사가 직접 제지하기 어렵다”고 했어..
왜 제지하기 어려워..?!
요즘 아동 학대 논란이 많잖아..
그러한 논란 때문에
적극적인 제지가 힘든 상황이야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그렇구나..ㅠㅠ
크게보기
[사진] 집보는에비츄
지난달 10일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도
3학년 학생이 수업 시간에
핸드폰으로 게임을 하다 지적을 받자
교사 얼굴을 핸드폰을 쥔 손으로
가격하는 일도 있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와... 너무 무섭다..ㅠㅠ
적극적인 제지가 힘든데
폭력이 벌어지는 상황에선
교사가 뭘 할 수 있어?
교육부의 ‘교육활동 보호 매뉴얼’에 따르면
교사가 교권 침해를 당했다고 호소할 경우
학생과 분리될 수 있어!!
크게보기
[사진] 한국교육신문
우왓! 다행이다~!!
문제는 분리되기까지
보통 한 달 이상이 걸린다는 점이야..
엥..?! 한 달..?!
사건 발생 21일 이내에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리고,
조치가 결정되면 결정일로부터
14일 이내에 관련 당사자에게
결과를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절차가 복잡하구나..
그래서 학교전담경찰관, SPO 제도를
강화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SPO 제도..?! 그게 뭔데?
SPO는 학교폭력 예방하고
청소년을 선도하는 경찰관인데,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에 1133명뿐이야..
그래도 1000명이 넘네!!
좋은 게 아니야..
학교가 얼마나 많은데ㅠㅠ
1인당 평균 10개가 넘는
학교를 맡고 있다더라..
크게보기
[사진] 오구
홀뤼.. 1인당 10개가 넘는다구..?
그렇게 해서 대응이 되겠어?
인력을 충원해야 하는 거 아냐?
단순 인력 충원으로는
해결되지 않을 문제인 것 같아..
왜 그렇게 생각해?!
한 SPO가 “면담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관리하는
학생 수가 누적되기만 한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거든..
단순히 인력을 늘리는 게 아닌,
학교별 특성과 현실에 맞춘
전문 시스템이 필요한 것 같네..
그치..ㅠㅠ
교권 침해에 대해 얘기하다보니
갑자기 궁금한 게 있는데
실제로 폭력을 당한 교사가 많아?
엄청 많아..
교사노조가 한 설문조사에서
교사 중 76.8%가 폭력 지도 중
위협을 느꼈다고 답했고,
22.9%는 실제로 폭행을 당했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헉... 그렇구나!
욕설을 들은 경우는
67.7%나 된다고 해..!!
그런데 교사 중 89.3%가
폭력을 당한 경우 교권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가 없었다고 답했어..
어휴.. 숫자만 봐도 심각하네ㅠㅠ
법과 제도의 보완이
필요한 것 같아..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오는 15일 스승의 날을 앞두고, 교권 침해의 심각성을 호소하는 교사들이 늘고 있습니다.
지난달 28일 충북 한 고등학교에서 재학생 A군이 흉기를 휘두른 사건 등, 교사들은 교육 현장에서 강도 높은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사의 안전을 위한 대책으로 학교전담경찰관(SPO) 제도를 보완하고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영유 쌤에 100만원 상품권"…학교밖 교사가 더 대접받는 사회
2024.05.17
학폭 가해자, 교사 못 한다…2026학년도부터 교대 지원 제한
2024.05.09
'선크림 공지' 안 하면 학대? 교사 98% "초 1∙2 체육 부활 반대"
2024.05.07
교사도 무서운 교실👩🏫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