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교실로 들어온 정치, 대선 주목하는 고3 유권자
2025.05.30
스크랩
이번 21대 대선
진짜 얼마 안 남았다..!!
크게보기
[출처] 무한도전
그러게!
이번에 처음 투표하는
유권자들은 꽤 떨릴 것 같아
진짜ㅎㅎ
고3부터 투표할 수 있었나??
맞아!
2019년에 선거 연령이
만 18세로 내려가면서,
만 18세인 고3도 투표권을 갖게 됐어
그럼 이번에 투표하는
만 18세 유권자는 몇 명 정도야??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만 18세
학생 유권자는 19만 2,439명으로,
전체 고3 학생(45만 3,812명)
중 42.3%에 달한대!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생각보다 많네!
근데 그 친구들도
이번 선거에 관심이 있을까?
당연하지ㅎㅎ
학교 현장에서도 정치에 대한
관심이 정말 높다고 해
정말?!!
이유가 있어?
계엄, 탄핵 같은
큰 정치적 사건들을 겪어오면서
자연스럽게 대선에도 관심이 이어진 거지!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그럴 수 있겠다!
그런 사건들을 직접
보며 자란 세대니까
웅웅
학교 안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 온라인상에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해
온라인에서는 어떤
얘기들이 오가는데??
대선 후보 공약 비교표를
개인 SNS에 직접 올리기도 하고,
대선 관련 숏폼 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하는 고3도 있었어
우와ㅎㅎ
역시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네!
한 유튜브에 영상을 올린 학생은
“누군가는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사회가 조금이라도 나아질 것
같아서 시작했다”고 말했대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근데 한편으로는 걱정되는 게
SNS에서 혐오 표현이 너무 쉽게 퍼지잖아
그런 문화도 학생들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을까?
그게 진짜 문제야!
일부 학생들은 특정 정당을
지지하면서 반대 의견을 가진 친구들을
‘1찍’, ‘2찍’이라고 부르거나,
특정 후보를 ‘틀딱’ 같은
말로 조롱하기도 한대
헉..
크게보기
[출처] 무한도전
한 교사는 이런 현상에 대해
“학생들이 정치를 장난처럼 소비하면서
조롱 위주의 커뮤니티 문화를 그대로
교실에 가져오고 있다”고 지적했어.
결국 어른들의 ‘혐오 정치’
문화를 답습하는 셈이지
정치 혐오 표현을
무비판적으로 쓰는 건
정말 걱정되는데 ㅠㅠ
그러게
심지어 일부 학생들은
선거법을 잘 몰라서
범법 행위에 연루되기도 했어
선거법을 몰라서??
웅 최근 제주에서는
초·중학생들이 선거 벽보를
불태우는 사건이 있었는데,
제주경찰청이 “미성년자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고
도교육청에 경고했대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벽보 훼손은 명백한 범죄잖아
이런 일 보면 학생들에게
선거 교육이 꼭 필요해 보인다..!!
교육 전문가들도
이런 문제가 ‘교육의 부재’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어
근데 왜 학교에서는
정치나 선거에 대한
교육을 안 하는 거야??
교사는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고
학교는 정해진 수업일수를
채워야 한다는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사실상 선거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거야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그럼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박남기 광주교대 명예교수는
“민주시민교육의 핵심은 투표 참여”라며,
“교육청이 수업 자료를 학교에 제공하고,
학교는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어
근데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정치적 중립 문제가 걸리면
어려울 수 있잖아..
맞아..!!
그래서 김경회 명지대 석좌교수는
“중립성 문제가 걸림돌이라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같은 기관이 나서서
학생 유권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어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그렇구나ㅎㅎ
결국 올바른 선거 교육을 통해
학생들도 책임 있는 유권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겠네!!
나도 공감해!!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대통령 선거가 열흘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고3 학생들 사이에서 정치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하지만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수업일수 제한 등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선거 교육은 사실상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전문가는 “교육청이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은 자료를 제공하고, 학교는 이를 바탕으로 전교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이번 대선 벽보, 재미 없는 까닭
2025.05.25
6·3 대선 유권자 86% “반드시 투표”…20대서 대폭 증가
2025.05.19
개표 직관하고 20만원 주는 대선 ‘꿀알바’ 인기
2025.05.14
교실로 들어온 정치, 대선 주목하는 고3 유권자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