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370억의 선거 공보물, 여전히 필요할까?
2025.06.03
스크랩
1
썰리! 드디어 대선이야~
크게보기
[사진] 아따맘마
그러게~
시간 진짜 빠르다잉!
흠.. 그런데
눈에 띄는 게 있어..!
뭔데?
선거철만 되면 아파트 우편함에
선거 공보물이 그냥 꽂혀 있다가
그대로 분리수거장으로 가더라..
분리수거장에 뜯지도 않은
봉투가 수두룩했어ㅠㅠ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아.. 그거 진짜 요즘 문제인 것 같아..
공보물 제작비도 그렇지만,
발송비만 무려 370억 원 들었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370억??
제작 비용을 합친 것도 아니고
발송 비용만 370억이라고??
웅웅.. 전국에 2400만 부를
돌렸는데 실제로 읽히는 건 극히 일부래.
요즘 사람들은 대통령 후보 공약은
SNS나 유튜브에서 이미 다 접하고 있잖아..!
헉.. 그렇구나..!
그래서 한 번도 안 뜯긴 공보물이
아파트 복도랑 재활용 수거장에
쌓이는 게 이제 흔한 풍경이 됐대..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그래서 그렇게 버려졌던 거구나..
그런데 다들 유튜브로
후보 정보를 보곤 해?
거의 다 유튜브로 볼 걸?
2022년 선관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중 34.5%가
SNS나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는다고 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34.5%..?!
낮은 수치 아닌가?
노놉! TV 토론이나
언론 보도보다도 높은 수치야!
헉 진짜루..?!
유명 유튜브 채널에
후보들이 나와서 예능처럼 출연한 영상이
벌써 수백만 조회수를 찍고 있어!
예능으로 이미지를 전달하는 게
또 하나의 공약 홍보 방식이 된 거지~
크게보기
[사진] snl
오옹! 나도 그 영상 본 적 있어!
흠.. 그럼 종이 공보물은
그냥 시대에 뒤처진 방식이 된 거네?
정치 평론가에 따르면
디지털 시대 속 낡은 홍보 방식에
큰 예산을 쓰는 건 비효율이래~
환경 부담도 크고
실효성도 없으니깐!
그러면 어떻게 홍보를 해야돼..?
그래서 나온 제안이 있는데
신청자한테만 종이 공보물을 보내고
나머지는 전자우편이나
모바일 알림으로 대체하는 거야!
근데.. 노년층은
그런 전자 방식을 불편해하지 않아?
바로 그 점이 지적됐어..!
75세 이상 어르신들 중에는
공보물로만 투표소 위치나
후보 정보를 아는 경우도 있어서
당장 종이를 없앨 수는 없대~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그렇구나ㅠㅠ!!
그래서 단계적으로 전환하며,
디지털 소외계층을 배려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
오옹 좋은 생각이네!
정보 전달 방식이 바꼈으니
정책도 따라가야지ㅎㅎ
그치 그치ㅎㅎ
예전처럼 읽히는 종이가 아니라
지금은 영상이나 피드가
유권자 판단의 기준이 된 거니까!
크게보기
[사진] 무한도전
이젠 편리함과 실효성,
환경과 접근성까지
몽땅 고려해서 홍보 방식을
새로 짤 필요가 있겠어~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유권자 다수가 SNS·유튜브로 후보 정보를 얻으면서, 발송비만 370억 원이 드는 종이 선거 공보물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공보물이 뜯지도 않고 버려지며, 환경 부담과 예산 낭비 문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지만, 정보 소외계층에 대한 고려와 단계적 접근이 함께 논의되어야 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대선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치 출발🗳️
2025.05.29
교실로 들어온 정치, 대선 주목하는 고3 유권자
2025.05.30
6·3 대선 유권자 86% “반드시 투표”…20대서 대폭 증가
2025.05.19
370억의 선거 공보물, 여전히 필요할까?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