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노산에 '이른둥이' 증가했지만 기저귀가 없다?🍼
2025.06.18
스크랩
썰리! 요즘 주변에
미숙아가 많은 것 같아..
미숙아들이 진짜 많아졌어!
요즘 고령 출산이 증가하면서
조산아가 많아졌는데 문제는
이 애기들한테 맞는
기저귀가 부족하대...
조산아? 그냥 조기 출산한
아이들이잖아!
일반 기저귀를 쓰면 안되는 거야?
안돼! 이른둥이는 보통
37주 이전에 태어나서
2.5kg도 안되는 애기들이라
보통 애기들보다 체구가 훨씬 작아!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그렇구나..!
그러면 이른둥이한테는
일반 기저귀가 안맞는 거야?
그치.. 너무 커서
소변이 새거나, 피부가 헐어서
심하면 감염 위험까지 있대..
엥.. 기저귀때문에
감염까지 될 수 있어..?
웅웅.. 피부가 얇고 약하니까
배설물이 조금만 새도
바로 피부 질환이나
패혈증과 같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헉.. 패혈증이라니..
그래서 전용 기저귀가
반드시 필요한데,
문제는 그걸 만드는 업체가
국내에 유한킴벌리밖에 없다는 거야..
크게보기
[사진] 유한킴벌리
아니 기저귀 만드는 업체가
그렇~게나 많은데 전용 기저귀를
만드는 곳이 한 곳 뿐이라고??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유한킴벌리도 처음엔
만들지 않았다고 해..
에엥!? 진짜루??
어쩌다가 만들게 된거야?
2017년에 NICU 간호사가
“이른둥이한테 맞는 기저귀가 없다”고
회사에 메일 보낸 게 계기였대!
유한킴벌리가 그 메일을 보고
제품을 개발하게 된 거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오오~ 감동인데?
그럼 지금은 유한킴벌리에서
많이 생산하고 있대??
그건 또 아냐..ㅠㅠ
왜..?!
워낙 작은 제품이라 기계도
정밀하게 세팅해야 하고
생산성이 낮아서, 유한킴벌리는
두 달에 한 번 공장을 멈추고
전용 기저귀를 그때만 생산한대..
크게보기
[사진] 유한킴벌리
헉.. 그렇구나..
그래도 유한킴벌리는
그렇게 만든 기저귀를
전국 병원에 기부하거나
자사몰에서 무료로 나눠준대!
정말 좋은 기업이다!
그래도 기저귀 하나 구하기가
이렇게나 힘들 줄이야...
실제로 이른둥이를 낳은 엄마들이
기저귀를 못 구해서 중고거래로
급하게 구했다는 얘기가 많아.
조리원 들어갈 때 갑자기 필요해서
난감했다는 경험담도 있구ㅠㅠ
진짜 제도적인 지원이 없으면
너무 막막하겠다..
이른둥이 자체도 힘든데ㅠㅠ
그치..이른둥이도 많아지고 있는데
전용 기저귀가 부족하다는 것은
진짜 문제인 것 같아..
이른둥이가 많아지고 있다구?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2011년에는 출생아 중 6%가
이른둥이였는데, 2021년에는
9.2%로 늘었고 올해는
이른둥이가 차지하는 비율이
10% 가까이 될 거라고 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갑자기 그렇게 늘어난 이유가 뭐야?!
가장 큰 이유는 산모 고령화야!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35세 이상 산모 비중도
10년 사이에 27%에서 36%로 늘었대!
산모의 고령화랑 미숙아 사이에
무슨 연관성이 있어?!
이 나이대는 임신성 고혈압이나
당뇨, 임신중독증 같은 합병증
가능성도 크고, 조산율도 높아!
크게보기
[사진] 신서유기
그렇구나..
그러고보니 요즘
난임 시술도 많이 하지 않아..?!
그것도 영향이 커..!
난임 시술할 때 보통 배아를
여러 개 이식하잖아!
웅웅!
그래서 쌍둥이 출산이 많아지는데,
다태아는 산모의 영양분을
더 빨리 소모해서 조산율이 훨씬 높아!
크게보기
[사진] 미지의서울
헉.. 진짜루?!
통계를 보면 단태아 조산율은 8%,
쌍둥이는 53%, 세쌍둥이는 92%야!
헉.. 세쌍둥이는 거의
대부분이 조산이네..!
그런 셈이지..
허.. 그러면 미숙아 기저귀 문제는
거의 사회적인 문제인 거네..
민간에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잖아..!!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그래서 전문가들도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기저귀를 만드는 기업에
손해만 감수하라고 할 수는 없잖아..
그치 그치..
채권 발행 같은 방식으로
기업 부담을 줄여주고,
시민들이 기저귀를 살 때는
지원금을 주는 등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거지!
듣고 보니까 이건 진짜
대책이 필요하겠다..!
생명하고 직결되는 문제인데..
작은 기저귀지만 이게 없으면
아이 생존에 영향을 주니까,
보건복지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때가 온 거 같아!!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이른둥이(조산아) 비율이 고령출산과 난임 시술 증가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전용 기저귀가 꼭 필요하지만, 국내에서 생산하는 업체는 유한킴벌리 단 한 곳뿐입니다.
공공의료 및 정부 지원 없이 민간에만 맡기기엔 한계가 커서, 제도적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성별 낙태는 옛말? ‘성별 공개 금지법’ 위헌 결정
2025.03.22
드디어 '결혼할 결심'… 출생아 수 5년 만에 최대치
2025.01.24
결혼 NO, 양육 YES인 20대 43%👩👦
2024.11.26
노산에 '이른둥이' 증가했지만 기저귀가 없다?🍼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