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암보다 생존율 낮은데, 세계 1위 증가율
2025.10.04
스크랩
요즘 주변에 신장 질환이
있다는 사람이 많은 것 같아ㅠㅠ
내 착각인가..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실제로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이 많아ㅠㅠ
WHO가 올해 처음으로 ‘신장
건강 결의안’을 채택할 정도였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왜 '신장 건강 결의안'을
채택한 거야??
고령화, 고혈압, 당뇨병이
확산되면서 전 세계 만성콩팥병
환자가 약 6억 7천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어서 채택된 것 같아.
한국도 상황이 안 좋아?
꽤 심각해..
2020년 대비 2024년에
만성콩팥병 환자가 33.7% 늘었고
혈액투석 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
남성이 여성보다 약 1.6배 많았구..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투석이 심각한 거야?
크게보기
[사진] JTBC아는형님
말기신부전(투석·이식 단계)
5년 생존율이 약 62%로
주요 암 평균(72.9%)보다 낮아..
특히 ‘당뇨로 인한’ 말기신부전
증가율은 세계 1위 수준이야..
크게보기
[사진] 신서유기
말기라면..
꽤 나중에 발견되는 확률이
많은 것 같은데 왜 이렇게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거야?
증상이 거의 없어서 식욕저하,
구역·구토, 부종, 거품뇨 같은
신호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땐 이미 기능 손상이 큰 경우가 많아.
그래서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려.
헉.. 그렇구나
평소에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건강검진표에서 ‘사구체여과율
(eGFR)’을 꼭 보는 게 좋아.
90점 이상 정상, 60~89는 경계,
30~59는 만성콩팥병 단계야.
헉.. 60미만이면 어떻게 해야돼?
신장내과 상담을 하는 게 좋고
단백뇨가 있으면 추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지..!!
그렇구나..
크게보기
[사진] MBC진짜사나이
WHO도 법·재정·보건체계 기반을 갖춰
치료 옵션을 넓히라고 권고했고
학회는 환자 등록·지속 관리가
가능한 ‘만성신장병 관리법’ 같은
제도화를 제안했다고 해!
조기검진과 생활습관 관리를
위해 그런 방안을 제안하고 있구나!
그렇지! 그래도 본인이 먼저
나서서 eGFR이나 단백뇨를
확인하고 혈압이나 혈당을 관리해야돼!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한국의 만성콩팥병과 말기신부전이 빠르게 증가해 생존율이 암보다 낮아지는 등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건강검진의 사구체여과율(eGFR)과 단백뇨 확인으로 조기발견이 가능하며, eGFR 60 미만이면 신장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국가적 제도화와 함께 개인의 혈압·혈당·염분 관리가 핵심이며, 조기검진 확대와 지속 관리 체계가 시급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뇌사자에 돼지 신장 이식 후 32일째 정상 기능 … ‘역대 최장 기록’
2023.08.18
KT 인터넷 '먹통'!!! 삶이 85분 동안 멈췄다
2021.10.26
구글도 유튜브도 이제 한국어를 써야 한다!
2020.12.22
암보다 생존율 낮은데, 세계 1위 증가율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