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쓰레기 459t' 감소한 이유가 장례식장서 바꾼 이것 때문?
2025.10.18
스크랩
최근에 장례식장에 다녀왔어..
크게보기
[사진] 집보는에비츄
아이고..
마음은 좀 괜찮아?
웅웅..
그나저나 식기가
조금 바뀐 것 같더라..??
올 1월부터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안에 있는 14개 빈소에서
일회용품을 다회용기로 바꿨대.
크게보기
[사진] 서울시
헉.. 그게 정말이야?
수저·젓가락·물잔, 그리고
식탁보까지 일회용품을
일절 사용하지 않는대.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오~ 그렇구나!
상주와 조문객 반응은 어때?
'일회용품이 아니어서 더 정성스럽게
느껴졌다'는 반응이 많았다고 해~
치우느라 번거롭진 않았으려나..?
각 병원 장례식장에서 사용한
다회용기는 전문업체가 수거 후
세척해서 다시 공급한대.
서울시는 민간 기준보다 10배
엄격한 미생물 검사 기준까지 마련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갑자기 서울시가 왜 나와?
크게보기
[사진]JTBC아는형님
서울시와 함께한 사업이거든.
서울시가 도입한 '친환경 장례문화
(2023~)'에 3개의 시립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참여하고 있어.
성과는 나타났어??
4개 병원 37개실 빈소에서
일회용 쓰레기가
459t 정도 줄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459t이면 어느 정도야?
크게보기
[사진] 도라에몽
100L 종량제봉투
26,500장에 해당하는 양이야.
헉.. 엄청 많이 줄었구나!
그러면 원래 장례식장에선
일회용품이 얼마나 많이 쓰였던 거야?
전국 장례식장에서 한 해 동안
배출되는 일회용품 쓰레기는
3억 7000만개로 2300t 규모야.
와.. 장례식장에선 원래
일회용품을 많이 쓰나?
엄청 쓰지.. 짧은 시간 동안
빈소에 수십~수백 명이 몰리니
2인상만 차려도 20개 이상의
일회용품 쓰레기가 버려져..
그렇구먼.. 이번에 다회용기로
바꾼 게 정말 좋은 선택인 것 같네!
그런데 왜 4개의 병원만 참여를 하는 거야?
법과 현실의 장벽때문이야.
현행 자원재활용법은 조리·세척 시설을
갖춘 경우에만 일회용품 제공을
금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장례식장은
이런 시설이 없어서 강제력이 약해.
크게보기
[사진] 김해시 제공
조리·세척 시설을 갖춘
장례식장이 많이 없구나..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그리고 회사·단체가 상주에게
‘일회용 상조세트’를 제공하는
관행도 커서 장례식장이 다회용을 써도
외부 반입 일회용품은 막기 어려워.
크게보기
[사진] 침착맨
다회용기 도입이 필요하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긴 하겠다..
앞으로의 대책은 있을까?
내년부터 서울시는 장례식장이
자체 세척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래.
그렇구나! 단순 시범 사업이 아니라
'일회용품 없는 사회'를 향한
출발점이었으면 좋겠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서울시와 삼성서울병원·시립병원 3곳이 장례식장에 다회용기를 도입해 일회용 쓰레기 459t을 줄였습니다.
장례식장은 일회용 사용 비중이 매우 높아(연 3억7000만 개, 접시의 20%가 장례식장) 감축 효과가 큽니다.
세척시설 요건·상조세트 관행 등 확산 장애를 해소하려고, 서울시는 내년부터 세척시설 구축 예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친환경' 이제 안먹힌다…사라지는 화장품·세제 리필매장
2025.02.14
지난해 카페·패스트푸드점서 쓴 일회용컵 9억 4000만개!
2024.05.15
야구 팬이라면 주목! 일회용기 없는 야구장? ⚾
2024.04.20
'쓰레기 459t' 감소한 이유가 장례식장서 바꾼 이것 때문?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