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2
공유
포스트 홍콩은 누구? "도쿄는 자연재해, 서울은 규제가 걸림돌"
2020.07.22
스크랩
27
크게보기
뉴욕타임즈 홍콩지국 에디터, 기자들이
지난주부터 서울 부동산 시세를
알아보고 있대.
14일, 뉴욕타임즈가
홍콩 주재 인력 일부를 한국으로
이전한다고 발표했잖아!
NYT, 보안법에 디지털뉴스팀 홍콩서 철수…서울로 옮긴다
https://news.joins.com
디지털 뉴스 운영을 옮긴다며!
ㅇㅇ.
이달 초부터 시행된
홍콩 국가보안법이 언론 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는 이유임.
크게보기
홍콩보안법
이런 '탈홍콩'이 뉴욕타임즈만이 아닌가봐.
'홍콩 엑소더스'가 가시화 되고 있대.
크게보기
그럼 홍콩이 이제껏 누렸던
아시아 경제 중심지 지위는
어느 나라가 차지하게 되는 건데?
아시아의 각국이 경쟁 중이야.
현재로썬 싱가포르가 선점하고 있고.
일본은 총력전 태세임!
일본은 코로나19로
도쿄 올림픽이 연기되고 있으니
'포스트 홍콩'에 더 사활을 걸겠다.
크게보기
아베신조 일본 총리. [AP]
맞아. 아베 총리도 11일,
'금융 중심지로서 도쿄의 매력을 강조하겠다'
'외국 인력 유치에 적극 나서겠다' 말했어.
비자 간소화, 국제학교와 의료환경 정비 등
구체적 방안도 마련했대.
그러면 한국은?
뉴욕타임즈 까지 이전했으면
서울이 경제 허브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거 아닌가?
아직 그렇다 할 대책은 없대.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홍콩 상황과 관련한 전략을 두고
검토, 추진 중인 것은 없다고 말했지.
세계가 탈홍콩 유치 총력전, 한국은 NYT 온다니 됐다?
https://news.joins.com
한국의 규제가 외국 금융인들 사이에서
악명이 높다던데,,
법인세율과 소득세율이 높고
복잡하다더라구.
ㅇㅇ.
크게보기
스티브 허먼
미국의 스티브 허먼 기자도
'도쿄는 자연재해, 서울은 규제 때문에 어렵다'
는 평가를 했어.
크게보기
서울·도쿄 모두
홍콩을 대체하기엔
역부족이라는 건가?
크게보기
스티븐 허먼기자 문답
ㅇㅇ 도쿄는 영어가 잘 통하지 않고
외국인 비율이 낮다는 점,
그리고 서울은 엄격한 규제와
언제 도발할지 모르는 북한이
근거리에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꼽았어.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은 어때?
크게보기
에반 람스타드
전 월스트리트 저널의
서울지국장이었던 에반 람스타드도
비슷한 의견이야.
당장 '포스트 홍콩'이 되긴 어렵지만
문화의 매력이 큰 장점이라는 평가임.
우리나라가 최근 몇 년간
대중문화적으로 큰 발전이 있긴 했지.
크게보기
봉준호
크게보기
방탄소년단
에반 람스타드도
"일본엔 영화 ‘기생충’도, BTS(방탄소년단)도,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도 없다."
라며, 서울의 문화적 강점을
활용하라는 말을 전했어.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14일, 뉴욕타임즈가 홍콩 국가보안법을 이유로 홍콩 주재 인력 일부를 한국으로 이전한다고 발표.
홍콩이 누렸던 아시아 경제 중심지 지위를 놓고 아시아 각국이 경쟁 중.
외국의 금융인과 언론인들은 서울이 제 2의 홍콩이 되기엔, 외국인에게 폐쇄적인 규제가 가장 큰 문제라는 입장.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이번엔 '국가보안법' 홍콩이 다시 최루탄으로 덮였다
2020.05.25
물대포 맞자 2m 날아갔다, '홍콩보안법' 첫 시행
2020.07.02
못 박았다고 도배를 요구하는 집주인을 만났다면?
2020.07.18
포스트 홍콩은 누구? "도쿄는 자연재해, 서울은 규제가 걸림돌"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