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절망사' 국내에도 나타났다 ··· 韓 위험해진 3가지 지표는?

2022.07.01
speaker
speaker
  • 웅 봤지...
  • 이 사건 어떻게 됐나
  • 계속 기사 찾아봤는데
  • 발견됐다 하더라고
speaker
  • 나도
  • 일단 타살 흔적은
  • 없다고 나와있네
speaker
  • 크게보기 뉴시스
  • 응응
  • 실종되기 전에
  • '루나 코인 '수면제'등을 검색해서
  • 암호화폐의 투자 실패가 배경이 되어
  •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 같다고
  • 추측하고 있나 봐
speaker
  • 크게보기 중앙일보_법원 특별 우편 송달 안내 포스트잇이 붙어있다.
  • 루나 코인의
  • 대폭락 사태로
  • 생활고를 겪은 것 같아
  • 집에는 카드 대금 독촉장이 쌓여있고
  • 월세도 내지 못했다고 그러더라고
  • 요즘 자살과 약물 · 알코올 중독으로
  • 사망하는 사람들이 많네...
speaker
  • 크게보기 픽사베이
  • 응응
  • 그걸 '절망사'라고 부르는데
  • 최근 한국에서도 위험수위에 다다랐대
  • 사회적 고립감이 높아지고
  •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는 게
  • 원인인가 봐
speaker
  • 크게보기 [짱구는 못말려 사진]
  • 헉...
  • 미국의
  • 저소득 · 저학력 백인 노동자 계층에서
  • 절망사가 많이 발생한다는
  • 기사를 봤는데
  • 우리나라에서도
  • 위험 수위에 다다랐구나
speaker
  • 크게보기 중앙일보
  • 응응 맞아
  • 한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 중이야
  • 우리나라가 OECD 회원국 중
  • 자살률 1위인건 알지?
speaker
  • 응응 알고있지
  • 우리나라에서
  • OECD 38개국 평균의
  • 두 배가 넘는 사람들이
  • 자살을 선택한대
speaker
  • 응응
  • 자살이 10 · 20 · 30대의
  • 사망원인 1위더라..
speaker
  •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 자살을 선택하는 걸까?
speaker
  • 이건 계층별로 이유가 조금씩 달라
  • 20대는
  • 가족ㆍ친구ㆍ연인 등과의 반복되는 갈등
  • 30대는
  • 업무 관련 스트레스와 부채
  • 40대는
  • 경제적 위기와 빈약한 사회적 지지기반
  • 50대는
  • 물질 관련 문제, 가족 문제로
  •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대
speaker
  • 크게보기 [무한도전 사진 정형돈]
  •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서
  •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 늘고 있는 것 같아
speaker
  • 맞아
  • 절망사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 3가지 지표가 있는데
  • 첫 번째는 알코올 관련 지표야
  • 크게보기 중앙일보
  • 최근에 알코올 관련
  • 사망 추이가 급격하게 상승했어
speaker
  • 헐 2020년도에
  • 급격하게 상승했네
speaker
  • 크게보기 뉴스 1
  • 응응
  • 알코올성 간 질환
  • 알코올성 심장근육벽증 등
  • 알코올 관련 사망이 심각해지고 있어
  • 2020년에는 알코올 관련 사망자가
  • 전년대비 461명 증가했어
speaker
  • 크게보기
  • 그렇네
  • 2000과 비교하면
  • 2020년에 사망자 수가
  • 거의 두 배가 됐네
  • 찾아보니까 2020년 기준
  • 알코올 중독 추정 환자 수는
  • 약 152만 명에 이르렀대
speaker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말려
  • 맞아
  • 그리고 여성과 20~30대의
  • 젊은 계층에서
  • 알코올 관련 진료가 증가 중이야
speaker
  • 흠...
  •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게
  • 심각한 문제인 것 같다
  • 두 번째 지표는?
speaker
  • 크게보기 픽사베이
  • 두 번째 지표는 약물 관련 지표야
  • 약물 관련 사망은 수치상으로는 미미해
  • 하지만, 마약 · 약물 중독과 관련해서
  • 한국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야
speaker
  • 왜??
speaker
  • 크게보기 중앙일보
  • 지난해 마약사범이
  • 1만 6153명이었거근
  • 마약사범의 적발 수를
  • '마약범죄계수'라고하는데
  • 인구 10만 명당
  • 마약범죄계수가 20을 넘으면
  • 마약 확산 위험이 크다고 보는데,
  • 지난해 이 수치가 31.2에 달했어
speaker
  • 크게보기 [무한도전 사진 박명수]
  • 헉... 마약 확산 위험이
  • 엄청 큰 수치네
  • 마약까지 확산되면 진짜 끔찍하다
  • 미국에서도 마약 때문에
  • 죽는 사람이 많던데
  • 최근 태국에서도 마약이
  • 합법화되서인지 더 걱정되네..
speaker
  • 그니까
  • 이제 마지막 지표인데
  • 사회계층 이동에 대한
  • 가능성 인식 지표야
speaker
  • 크게보기 [무한도전 사진 유재석]
  • 음 사회계층 이동에 관한 거라면
  • 사회적 고립과 연관이 있는 건가?
speaker
  • 맞아
  • 최근 10년간 조사를 진행했는데
  • 사회계증 이동에 대한
  • 기대치가 낮고
  • 사회적 고립감이
  • 높아지는 추세인 걸 확인했어
  • 그리고 이 추세가
  • 한국의 절망사와
  • 연관이 있는 것으로 봤어
speaker
  • 사회 계층 이동에 대한
  • 가능성 인식이 어떻게
  • 변화했는데?
speaker
  • 크게보기 중앙일보
  • 본인의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해
  • 2011년에는 응답자의 32.8%가
  • 긍정적으로 봤지만
  • 2021년에는 26.7%로 줄었어
  •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은
  • 54.0%에서 58.0%로 늘었고
  • 사회적 고립을 느낀다고
  • 응답한 비율은
  • 2011년부터 2017년까지는 감소했지만
  • 그 이후 계속 상승 중이야
speaker
  • 부정적인 인식이 상승했네..
  •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는
  • 선진국이지만
  •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을
  • 가지고 있네...
speaker
  • 크게보기 픽사베이
  • 그치..
  • 그리고 부의 양극화로
  • 더 이상의 발전을
  • 기대하기 어려운
  • '수축 사회'로 전락 중이야
  • 이는 이미 한국 사회가
  • 절망사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의미해
speaker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말려
  • 그렇네
  • 절망사에 대한 연구와
  • 향후 정책적 대응 마련이
  •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 같아
speaker
  • 맞아
  • 한 전문가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 대책을 마련하는 게
  • 효율적이라고 조언해
speaker
  • 아무래도
  • 10~30대 자살자와 알코올 중독자가
  •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 마약 유통이 활성화되면
  • 젊은 층이 마약 · 약물에
  • 노출되는 사례가 늘어서인가 봐
speaker
  • 크게보기 포토뉴스
  • 웅웅
  • 취업이나 내 집 마련 등에 있어서
  •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는 것도 이유지
  • 이 점은 백인 노동자의 절망사와도
  • 맞닿아있어
speaker
  • 음 맞아
  • 요즘 sns를 통해서
  •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는
  • 사람들이 많아졌더라고
speaker
  • 우웅
  • 대도시 과밀화나
  • sns 대중화등
  • 타인과 온오프라인 접촉이 늘어서
  • 타인과 비교하게 되니
  • 주관적 상실감이 커진 것 같아
speaker
  • 크게보기 [뽀롱뽀롱 뽀로로 사진]
  • 10~ 30대면
  • 왕성한 꿈을 갖고 생산할 때인데
  • 절망사를 한다는 건
  • 청년층의 사회 여건에 문제가 있다고
  • 생각할 수밖에 없다
speaker
  • 맞아
  • 정말 청년층의 경제적 · 사회적 안전망에
  •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온 것 같아
speaker
  • 크게보기 [아는형님 사진 최유정]
  • 빠른 시일 내에
  • 경제적 · 사회적 안전망에
  • 변화가 생기고
  • 해결책을 마련해서
  • 절망사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speaker
  • 크게보기 [네모네모 스펀지밥 사진]
  • 그러게
  • 사람들이 사회적 고립감에서
  • 벗어날 수 있는 길을
  • 모두 함께 고민해보자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 자살과 약물ㆍ알코올 중독에 따른 사망을 뜻하는 ‘절망사’가 한국에서도 위험 수위에 다다랐습니다. 사회적 고립감이 높아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하는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 절망사가 위험수위에 다다른 것을 보여주는 3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첫째, 알코올성 사망이 2020년에 전년대비 461명이 증가했으며 알코올 중독 추정 환자 수는 152만명에 이르렀습니다. 둘째, 마약사범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셋째, 사회적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줄어들고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늘어났습니다.
  • 청년층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가장 왕성한 꿈을 갖고 생산해야할때 절망사한다는 것은 청년층의 사회 여건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 지적하며 청년층의 경제적 · 사회적 안전망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절망사' 국내에도 나타났다 ··· 韓 위험해진 3가지 지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