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한국 영화, 최악의 보릿고개🎥
2025.04.24
스크랩
썰리! 요즘 왜 이렇게
한국 영화 신작이 없는 거야?
극장 가도 별로 보고 싶은 게 없어...
크게보기
[사진] 심슨네가족들
사실 한국 영화 산업은
지금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어..
헉... 왜..?!
코로나 엔데믹 이후
영화 업계는 코로나 때
개봉하지 못 하고 쌓아뒀던
이른바 ‘창고 영화’들을 개봉하면서
시장을 겨우 버티고 있었거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웅웅..!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근데 이제 그 창고가
완전히 바닥났어..
크게보기
헐... 그나저나 썰리,,
창고 영화라는 말을
처음 들어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
최근에 개봉한 영화는
전부 예전 거였던 거야?
웅웅,, 예전엔 이미 찍어놓고
개봉만 못 했던 영화들이 많았어..
혹시 통계적 수치
같은 것도 있을까..?
영화진흥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이던 2019년에는
45편에 달했던 한국 상업영화가
코로나19로 2021년 17편까지 줄었다가,
2022년 이후 35편 이상으로 다시 늘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포토
창고 영화가 많이 개봉되면서
늘어났던거구나..!!
크게보기
[사진] 자이언트펭TV
웅웅ㅎㅎ 그런데..
이제 그런 영화들이 모두 개봉되면서
당분간 대형 상업 영화의 신작은
보기 어려울 것 같아..ㅠㅠ
헉... 코로나 때 영화 제작이
거의 멈췄기 때문인가..!?
맞아..ㅠㅠ 그래서 업계에선
내년부터 한국 영화의 보릿고개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걱정하고 있어..
그래도 극장에선
계속 뭔가 상영되고 있지 않아..?
웅... 그렇긴 한데...
지금은 스크린을 채우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재개봉작을 늘리고 있어...
작년엔 무려 228편이 재개봉됐는데,
전년보다 80편이나 늘어난 수치래~
크게보기
[사진] 중앙포토
228편..?!
재개봉작이 상당히 많네..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로
최대치라고 해..ㅠㅠ
근데 문제가 더 있어..
무슨 문제..?!
바로 흥행작이
안나온다는 거야..
그게 왜 문제야..?
흥행작이 나와야 수익이 생기고,
그 수익으로 새로운 영화에
재투자할 수 있잖아!
크게보기
[사진] JTBC 아는형님
그렇네...!!
크게보기
[사진] KBS2 꽃보다남자
근데 작년만 봐도 상업영화 37편 중에서
손익분기점을 넘긴 게 10편뿐이래..
관객 수도 코로나 이전 관객 수에 비하면
절반 수준밖에 안 돼..ㅠㅠ
와... 진짜 심각하네ㅠㅠ
제작도 안 되고
투자도 안 되는 거잖아..
그래서 지금은 투자사들도
거의 손을 놓은 상황이래!
심지어 CJ ENM도
올해 개봉한 영화가 고작 두 편이야..
크게보기
[사진] cj enm
헐.. 거기 시장 점유율 1위 아니야?
맞아ㅠㅠ
이러다보니 다른 투자사들도
새로운 작품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더욱 신중해졌어..ㅠㅠ
크게보기
사진 [tvn 신서유기]
원래 신중해야 하는 거 아냐?
신중한 결정으로 인해
투자가 결정되는 편수가
코로나 이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대..
헐... 그러면 중소 제작사들은
더 힘들겠다..ㅠㅠ
타격 제대로 입었지ㅠㅠ
이미 폐업하는 제작사들도 늘고 있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어떡해ㅠㅠㅠ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되면 콘텐츠 질이 떨어지면서
한국 영화의 경쟁력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거야..~
헐,, 그러고보니
이번 칸 국제영화에제
한국 실사 영화는 단 한편도
초청을 못받지 않았어..?
맞아ㅠㅠ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것 같네...
안그래도 지금 업계에선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어!
정부가?!
지금까지는 민간 자본에 의존했는데
이젠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는 거지!
정부가 뭘 할 수있는 거야?!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를 연장하거나,
모태펀드 규제를 완화해서 대기업 계열
영화사에도 자금이 흘러갈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도 있어.
크게보기
[사진] 돈
그런 거라면 정부가
해줄 수도 있지 않아?
현실은 그게 쉽지 않아..
올해 문체부가 중예산 영화에
10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거든!
뭐야!! 지원도 해주잖아!
그런데 영화 한 편의 마케팅 비용만
10억~15억이라서 과연 몇 편이나
실제 수혜를 받을지 의문이야...
그렇구나...
현 시점에서 한국 영화 생태계를
다시 설계하고, 기획·제작 단계부터
체계적인 지원을 해주는 것이
가장 필요한 것 같아!
중소 제작사, 투자사, 극장 모두가
지속 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말이지?
웅웅!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코로나 시기 개봉 연기됐던 ‘창고 영화’들이 소진되며 한국 영화 신작 제작이 침체에 빠지고 있습니다.
흥행 저조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내년부터 영화산업의 위기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업계는 민간 투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과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영화 티켓 3% 부과금 폐지, 입장료 내려갈까
2024.03.30
프리퀄? 스핀오프? 영화관 가서 아는 척 하는 법
2023.11.18
원주시가 뿔났다... 공포영화 치악산, 대체 뭐길래?
2023.08.30
한국 영화, 최악의 보릿고개🎥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