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산불 방지위해 늙은 나무, 교체가 시급하다🏔️
2025.04.24
스크랩
요즘 산불이 자주 나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 숲이 왜 이렇게
불에 취약한 걸까..?!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못말려
지난달 경북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을 보고 말하는 거지?!
크게보기
[출처] 중앙일보
웅웅..
한국 숲 구조때문일지도 몰라..
한국 숲의 구조..!?
1973년, 한국은 숲에
나무를 심는 육림 사업을 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포토
왜 나무를 심는 사업을 한 거야?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으로
황폐해진 숲을 회복하기 위해
해당 사업을 시작했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그랬구나..!
그런데 이게 왜 문제야?
1970년대에 조성한 숲이다보니
나무의 수령이 50년을 넘어서 고령화됐고,
나무들이 촘촘히 자라다 보니까
산불에 취약한 구조가 된 것 같아..
나무가 많으면
오히려 더 안전하지 않아..?!
노놉! 강원대 채희문 교수에 따르면,
나무 간격이 좁고 마른 가지나 덩굴류가
나무에 감겨 있으면 불이 밑에서부터
꼭대기까지 층층이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이른바 ‘사다리 연료’가 된대!
헉.. 그렇구나!
그리고 나무가 빽빽하면
헬기로 물을 뿌려도
땅바닥까지 도달하지 않는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나무의 간격이
넓으면 괜찮은 거야?
웅웅ㅎㅎ '숲 가꾸기' 사업을
진행한 구역은 나무간 간격이
약 6m로 넓고 곧게 자라 있어!
'숲 가꾸기'...?!
'숲 가꾸기' 사업은 산림청이
2000년대부터 7~8년 주기로
나무의 30%를 솎아내는 사업이야~
오옹~ 간격도 넓고
나무를 주기적으로 솎아주면
산불 진화가 쉽겠다!
맞아ㅎㅎ 산불도 쉽게 끌 수 있고
병충해 위험도 줄어든대~
크게보기
[사진] 중앙포토
'숲 가꾸기'를 진행한 구역에서
산불 진화에 대한
효과가 있었는지도 궁금해!
숲 가꾸기를 한 지역은 헬기로
물을 뿌렸을 때 진화 효율이 75%로,
방치한 숲의 29~35%보다 훨씬 높았어!
크게보기
[사진] 킹오브더힐
오오~ 대박이다!
나무 성장을 봐도,
같은 나이의 나무라도
솎아준 곳이 더 굵게 잘 자랐대ㅎㅎ
그러면 무조건
'숲 가꾸기'가 필요하겠네~
꼭 그런 건 아니야!
비판하는 의견도 있거든,,~
어떤 의견인데..?!
일부 전문가들은 이게
소나무와 활엽수의 비율을
망가뜨린다고 해..
헉... 그럴 수도 있겠다..
또 경북의 산불을 보면 산불이
도로를 통해 번진 사례도 있으니까,
임도가 없어서 산불이 커졌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어!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그래도 전반적으로는
‘숲 가꾸기’가 더 나은 방향
같아 보이는데?
나도 그렇게 생각해ㅎㅎ
산림청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서
2028년까지 138만 ha를
숲 가꾸기할 계획이래~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우와~ 진짜로?!
웅웅ㅎㅎ 여기에 1조 8천억 넘는
예산도 투입되는데 중요한 건
벌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이고,
나무를 잘라내고 다시 심는
'순환적 임업'이 필요하다는 거야~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1970년대 조림한 한국 숲이 고령화되면서, 나무 간격이 좁고 마른 가지가 많아 산불에 취약해졌습니다.
나무를 솎아내고 간격을 넓히는 ‘숲 가꾸기’는 산불 확산을 막고 진화를 쉽게 하며, 나무 생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가꾸기 정책’이 수종 구성을 왜곡하는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비판도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괴물 산불 키운 '3월의 강풍'🔥
2025.03.28
희생된 산불현장 진화대, 왜 모두 60대였나?
2025.03.24
LA, 지옥으로 변했다…최악 산불 이어 홍수
2025.02.18
산불 방지위해 늙은 나무, 교체가 시급하다🏔️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