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제로클릭 시대, 지식 공유 플랫폼의 몰락🤖
2025.06.04
스크랩
흐음.. 요즘 위키피디아나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이트를
잘 안 쓰게 되더라..?
크게보기
[사진] 무한도전
너만 그런 거 아냐!
지금 그런 전통적인 지식 공유 플랫폼들이
전반적으로 몰락하고 있는 추세야!
진짜루?
웅웅! 챗GPT처럼 AI 챗봇이
생기면서 사람들이
질문할 이유 자체가 달라졌대!
엥.. 무슨 말이야?
질문은.. 그냥 질문 아니야?
예전엔 지식인에 글을 올려놓고
누가 답변 달아주길 기다려야 했잖아!
위키피디아도 일일이 문서에
검색해서 정보를 찾아야 했구!
크게보기
아무래도 그랬지!
크게보기
[사진] KBS2 꽃보다남자
근데 지금은 AI한테 묻기만 하면
즉각적으로, 그것도 요점끄아쥐
정리해서 알려주잖아~
기다릴 필요가 없으니까 훨씬 편하지!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아하..! 시간도 절약되고,
요약도 해주는 구나!
그렇지~
근데 이런 현상이
네이버 지식인에서만
나타나는 게 아니야..
그러면 다른 곳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개발자들 사이에서 유명했던
스택오버플로우도 최근 몇 년 사이에
게시글 수가 1/4로 줄었대~
크게보기
[사진] 스택오버플로우
스택오버플로우면
개발자 커뮤니티 사이트 아니야?
거기도 게시글이 줄고 있다구?
원래는 매달 20만 개 이상의
질문과 답변이 오갔는데,
GPT가 출시되고 나서
사람들이 굳이 질문을
올릴 필요를 못 느끼고 있대..!
오옹.. 위키피디아는
좀 다르지 않아?
다 같이 집단 지성으로
쌓는 백과사전인데...
거기도 마찬가지야ㅠㅠ
위키피디아 트래픽도
2022년 이후 10억 건 이상 줄었대!
일일 방문자 수도 3천만 명 넘게 빠졌구..
크게보기
[사진] 위키피디아
헉.. 지식인은
상황이 어때?
지식인도 2022년에
2천4백만 개였던 질문 수가
2024년에 1천5백만 개로 뚝 떨어졌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흠.. 어떻게 보면
사람들이 AI에 적응을
빠르게 한 거네?
그렇지.. 그래서 요즘은
‘제로클릭’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어!
'제로클릭'...?!
원래는 검색 결과를 클릭해서
사이트에 들어가서 읽었는데,
이젠 그냥 검색창에 물어보면
AI가 다 알려주니까 클릭할
필요가 없어졌다는 거야~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기존 정보 사이트 입장에선
큰 타격이었겠네..
크게보기
[사진 유튜브채널 자이언트펭tv]
아무래도 그렇지..
그리고 AI에 적응을 하는 게
완전히 좋은 것도 아니야..
왜?!
생각 없이 AI가 주는
정보만 받게 되는 거잖아!
오.. 그럴 수도 있겠다..
김주호 KAIST 교수에 따르면
AI는 통계적으로 가장 흔한 의견을
보여주니깐 정치나 사회 문제처럼
다양한 관점이 필요한 이슈에 대해선
편향된 의견을 제공할 수 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AI가 주는 정보만 받으면
정보 비교 없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어서
사고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거구나!
그런 셈이지!
AI가 모든 질문에 답을 주는 건 맞지만,
어떤 질문은 정답이 아니라
관점이 중요한 경우가 많거든~
아직 사람들끼리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플랫폼이 필요한 것 같긴 하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위키피디아·지식인·스택오버플로우 같은 전통 지식 공유 플랫폼은 AI 등장 이후 이용량이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AI는 빠른 응답과 질문 의도 파악 등 편의성 면에서 우위에 있지만, 제로클릭 현상으로 기존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AI의 정보는 통계 기반이라 편향 가능성이 있으며, 복잡한 이슈에선 인간 중심의 판단과 토론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Z세대의 돈 모으는 재미, 도파민 뱅킹의 시대💰
2025.05.27
中서 첫 휴머노이드 격투대회🥊
2025.05.26
AI 선장님, 배 몰고 태평양 건넜다🚢
2025.05.23
제로클릭 시대, 지식 공유 플랫폼의 몰락🤖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