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추석 성묘 후 고열…감기몸살인가 했더니 '치명률 18.5%' 이 병
2025.10.08
스크랩
썰리! 넌 시골에
언제 내려가??
아마 추석 주간에 가지 않을까??
너는 언제 내려가?
크게보기
[사진] MBC아빠어디가
추석 때 조금 바쁠 것 같아서
이번 주에 성묘를 미리 다녀오려구!
크게보기
[사진] 말괄량이삐삐
그렇구먼!
그러면 진드기를 조심해!
크게보기
[사진] SBS화신
에이~ 지금까지 그냥
성묘해도 아무 일 없었어!
돈 워리~~
이번에 질병청이 진드기 매개
감염병 경고까지 냈어!!
헉.. 그정도야??
9~11월에 발생한 환자 4명
중 3명(약 74%)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거든ㅠ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뭐가 있어ㅠㅠ?
대표적으로 SFTS(중증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이랑
쯔쯔가무시증이 있어.
이름은 들어봤는데
뭐가 위험한 거야?
SFTS의 경우, 치명률이
18.5%인데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서 특히 조심해야 돼..
물리면 5~14일의 잠복기 후에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대.
헉.. 그렇구나!
SFTS는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데
올해도 8월 말까지 167명 나왔고
작년 같은 기간보다 약 88% 늘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감염됐네..
크게보기
[사진] MBC무한도전
가을엔 일조량·활동량이
늘어서 노출이 쉬우니까 조심해!
오키! 쯔쯔가무시증도 설명해줘!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이
옮기는데 이 유충은 보통 평균
기온이 20도 이하로 낮아지는
9~11월에 증가한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앗 그래서 추석 연휴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거구나!
웅웅!
물린 자리에 검은 딱지(가피)가
형성되는 게 특징인데 쯔쯔가무시증도
고열과 오한이 동반된다고 해.
아오.. 그렇구나..ㅠㅠ
올해 8월 말 기준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202명이지만, 전년 동기(963명)에
비하면 크게 줄었어!!
그래도 추석 무렵엔 털진드기가
금방 느니깐 조심해야겠다..
어떻게 조심해야하지..ㅠㅠ
야외 활동을 조심해야 돼!
작년에 환자 6438명을
분석한 결과, 63%가 농작업과
제초를 포함한 야외활동이
원인이었다고 해ㅠ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성묘랑 벌초가 딱 그거네..
그러면 성묘갈 때
뭘 준비하면 되는 거야?
추석 성묘·벌초를 할 땐
긴 옷을 입고 기피제를
쓰는 게 좋아~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웅웅!
그리고 귀가 후엔
바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할 필요가 있지!
혹시 다녀온 뒤에
몸이 으슬으슬하면 어떡해?
바로 병원에 가서 성묘나
벌초 등 야외 활동 이력을
알리고 진료받는 게 중요해!
알겠어! 준비물 챙기고
다녀와서도 바로 씻고 체크할게!
크게보기
[사진]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
좋아좋아!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가을철에는 SFTS와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 집중 발생하므로 성묘·벌초 시 노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SFTS는 치명률 18.5%로 백신과 특효약이 없어 긴팔·긴바지, 기피제, 귀가 후 샤워·고온 세탁 등 기본 수칙 준수가 핵심입니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구토·설사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야외활동 이력을 알려야 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콜레스테롤, 너무 부족해도 병이 생긴다?
2025.09.27
시골에서 새벽 5시에 오픈런하는 곳🏃
2025.06.28
제주서 올해 첫 참진드기 사망자 나왔다
2022.08.18
추석 성묘 후 고열…감기몸살인가 했더니 '치명률 18.5%' 이 병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