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썩은내 진동..제주 뒤덮은 초록 물체의 정체
2020.06.17
스크랩
11
친구.
크게보기
우리 작년 이맘때쯤
제주도에 바다 보러 간 거 기억나?
당연하지~ 되게 좋았는데..
크게보기
아 여행 가고 싶다 ㅠㅠ
나 그때 바닷가에 있던
초록색 해조류의 정체를 알아냈어!
크게보기
지난 11일 오전 제주시 조천읍 해안가
쟤네 바위 뒤덮고 있던 애들맞지!
잔뜩 쌓여서 악취 풍기던!
응. 이름이 '구멍갈파래' 래!
동부연안 위주로 발생하는데,
제때 수거되지 않으면 더위에 썩으면서
악취를 풍기고 해충을 키운대.
크게보기
에휴... 맞아맞아. 벌레들도 꼬여있었음.
그때는 초록색이랑 하얀색이
같이 섞여 있던 걸로 기억하는데?
크게보기
구멍갈파래가 육지에서 말라 하얗게 변해 미관을 헤치고 있다. 최충일 기자
갈파래가 물에선 초록색이었다
뭍으로 올라와 며칠이 지나면
햇빛에 건조돼서 하얗게 변한대.
크게보기
미관상에도 굉장히 안 좋아서
제주도가 골머리를 앓고 있나 봐.
물놀이 할 때도 미끄덩한 촉감 때문에
꺼림칙 하긴 했어 ㅠㅠ
날카로운 플라스틱 같은 게
숨겨져 있어도 모를 것 같아서
맨발로 다니기도 겁나고...
크게보기
그래도 해조류니깐
함부로 수거 하면 안 되지 않아?
ㄴㄴ. 갈파래가 영양 염류 흡수율이 높아서
인근에 다른 해조류가 자라는 걸 방해한대.
크게보기
영양 염류
거기다 악취도 풍기고 해충을 키우면서
해양생태계를 파괴한다고 해.
크게보기
이런 해조류가 갑자기
왜 생겨난 걸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몰라.
높은 수온, 방파제 건설,
해류 정체지역의 특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될 뿐임..
제주도는 그 해조류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어?
제주도도 마을회와 함께 수거활동을
진행 중이야. 제주지역에서만
2018년 3300t, 작년엔 2405t을 수거했지.
크게보기
[연합뉴스]
어마어마한 양이네...
크게보기
수거 외에 다른 수가 없을까?
식품으로 개발한다거나..
양식장 어류의 사료로 쓴다거나!!
제주도가 양식 넙치, 전복의
배합사료 활용 연구와
크게보기
참고이미지
화장품 등 코스메틱 산업화를 추진했었는데..
크게보기
참고이미지 [이니스프리]
결과물의 성과가 좋진 않았어.
매년 이맘때면 상황이 되풀이 되고 있지만
수거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대.
그렇구나...
그래도 이런 해조류를
화장품과 비료에 활용하기 위한
산업화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고
있으니 기다려 보자구!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제주 동부연안을 위주로 발생하는 '구멍갈파래'가 악취와 해충을 키우며, 해안가 환경오염을 일으킴.
제주도는 수거활동을 진행 중이라 전함. 제주지역 갈파래 수거량은 2018년 3300t, 2019년 2405t 임.
현재까지는 정확한 발생원인과 수거 외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음.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올 여름 다양한 레시피로 '수박' 즐기는 방법!
2020.05.26
호주 잿더미 속에서 핀 희망, 아기 코알라의 탄생
2020.06.07
밍크는 코로나가 밉다. 가죽 벗기는 것도 모자라 집단도살
2020.06.12
썩은내 진동..제주 뒤덮은 초록 물체의 정체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