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1
공유
“자식 교육 성공했네” 이 말의 의미, 10년간 어떻게 달라졌나
2022.05.06
스크랩
8
크게보기
어제는 잘 쉬었어!?
어린이날이었잖아~!
당연하지~~! 꿀 휴일 ㅎㅎ
날씨도 좋아가지고
여기저기 사람이 진짜 많더라구
ㅎㅎ 맞아 맞아ㅠ
나 궁금한 게 있는데!
만약 너가 자녀가 생기면~
자녀 교육에 성공했다는 의미가 뭘 것 같아?
크게보기
잉?? 갑자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흐음 감정이입이 잘 안되긴 하는데....
아무래도 명문대 진학이나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거 아닐까?
크게보기
오~~~ㅎㅎ
실제로 너가 말한 두 항목 다
여론조사 결과에 있어 ㅋㅋ ㅎㅎ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당신에게 '자녀 교육에 성공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라는
설문조사를 진행했어!
아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교육정책포럼을
열어서 '교육에 대한 국민인식 변화'를
발표했다는 소식은 들었는데!
결과가 어땠대?!
매년 실시하는 거라
여론조사 결과를 비교해서
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했다고 하더라구 ㅎㅎ
10년 동안 가장 눈에 띄게 변화한 부분은
'성공한 자녀교육'에 대한 잣대야!
크게보기
사진출처_중앙일보
2010년 여론조사 때는
'명문대 진학' 및 '자녀가 인격을 갖춘 사람'
'자녀가 좋은 직장에 취직했다'까지가
TOP 3였네??
응응 맞아 특히
'명문대 진학'을 꼽은 응답자가
22.1%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2021 여론조사 결과 '명문대 진학'을
성공의 잣대로 꼽은 응답자는
8.7%에 불과했대!!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오 진짜??? 인식이 많이 변했네?
명문대 진학 대신
'자녀가 좋아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가
23.7%로 크게 늘었네 ㅎㅎ
맞아~~
2010년에는 그 항목을
성공의 의미로 꼽은 응답자가
13.5%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조사에서는
'인격을 갖춘 사람으로 컸다' 가
24.1%로 그다음으로 많은 비율이었어
오오 신기하다
불과 10년 만에 인식이 많이 변했네!
이전에는 대학 네임 밸류나
좋은 직장 등이 중요했다면
이젠 자녀의 자아실현이 중요한 시대가 된거군!
그니까 ㅎㅎ
명문대 졸업장이 사회적 성공을
담보하던 시절은 지난 거지!
이렇게 인식이 달라진 데에 대해
교육 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놨어!
오옹 ㅎㅎ
일단 많은 사람들이 학벌이 아닌
다른 성공의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네~~
크게보기
사진출처_아는형님
응응 ㅎㅎ
옛날에는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이런 느낌이었지만 요즘에는
내 자신이 가장 중요한 세대가 됐잖아!
맞아 맞아
서울 한 고등학교 진학교사는
10년 전만 해도 학부모의
진학 상담 주제가 백이면 백 다
'어떻게 하면 인서울 명문 대학을
갈 수 있느냐'였는데 지금은
'우리 아이가 장래에 뭘 하며 사는 게
가장 행복할까'를 묻는 학부모가 늘었대!!
실제로 KEDI 여론조사에서
'대학 서열화에 대한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2011년엔 32.4% 가
심화할 것이라고 했는데
2021년엔 26.4%로 그 비율이 줄었네 ㅎ
크게보기
사진 무한도전
그니까! 반대로
대학 서열화가 '약화할 것'이라는 응답은
2011년 5.4%에서 2021년 11.4%로
비중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게 신기해!
ㅋㅋㅋㅇㅈㅇㅈ!!
이렇게 인식이 바뀌면서
대학 졸업장 유무에 따른 차별에 대한
인식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나 봐
이젠 졸업장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는 거지!
근데 반면에 이런 인식 변화의
배경을 살펴보면 마냥 이걸
긍정적으로 보지만은 않는
분석들도 있더라구...!
교육이 사회적 계층 이동 사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예전보다
줄었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어..
하긴 이 조사만으로 학벌주의가
쇠퇴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긴 해
대학의 서열화, 학벌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이며 각 계층별 삶의 영역에서
주관적 만족을 추구하게 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어..ㅎ
크게보기
사진출처_중앙일보
이런 해석을 뒷받침하는 표야!
교육이 사회적 지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영향이 크다고
응답한 사람 비율이 크게 줄었어!
크게보기
그러네ㅠ
전반적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의
효용가치가 지난 10년간 상당히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자아실현을 중시하는 교육관을
가진 국민이 증가한 것인지,
여전히 타인과의 비교, 경쟁 중심의
교육관이 유지되고 있는 것인지는
심도 있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
어떤 맥락으로 이런 교육관이
형성되고 변하는지 파악해서
교육 정책을 마련하면 좋을 거 같넹 ㅎㅎ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당신에게 ‘자녀 교육에 성공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이 질문에 2010년에는 ‘명문대학 진학’을 꼽은 사람이 많았다. 11년이 지난 지금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성공한 자녀교육’의 잣대다.
2010년 여론조사 때는 ‘명문대 진학’을 꼽은 응답자(22.1%)가 많았다. 하지만 2021년 여론조사 결과 ‘명문대 진학’을 성공이 잣대로 꼽은 응답자는 8.7%에 불과했다. 대신 ‘자녀가 좋아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가 23.7%로 크게 늘었다.
이 같은 인식 변화의 배경을 살펴보면 마냥 긍정적으로만 볼 수만은 없다는 분석도 있다. 교육이 사회적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예전보다 줄었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어 이번 조사만으로 학벌주의가 쇠퇴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중2병' 이유 밝혀졌다…"엄마보다 다른 여성 목소리에 반응"
2022.05.03
대학가 편의점 김밥 매대 '텅'…학식 오르자 '캠퍼스 물가 난민'
2022.05.03
어린이날 100주년, 30만원 레고도, 미미도 완판…어린이날에 더 신난 어른들
2022.05.05
“자식 교육 성공했네” 이 말의 의미, 10년간 어떻게 달라졌나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