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반환율 70% 올렸는데…‘일회용 컵 보증금제 철회’
2023.09.19
스크랩
3
하이 친구~
늦은 휴가 잘 보내고 있는가?
웅 ㅎㅎ
나 제주도로 여행 왔잖아~
크게보기
사진 [다음kakao]
들을 때마다 부럽네 ㅠㅠ
제주도 카페 투어 간다며?
지금까지 어땠어? ㅎㅎㅎ
제대로 힐링하고 있당~
근데 되게 신기한 거 있어
크게보기
사진 [제주신문]
오?! 이게 뭐야??
제주도 카페에서는
테이크아웃 커피를
이런 컵에 주더라?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헐 혹시 일회용 컵 반환 코너인가?
어떻게 알았어!? 역시.. ㅎㅎ
암튼 이 컵으로 포장을 해서 그런지
추가 금액도 따로 받더라 ㅠㅠㅠ
아 맞다~! 생각났다
300원 정도를 추가로 받지?
크게보기
사진 [뉴시스]
엉... 아까운 내 돈 😥
그래도 여러 번 쓸 수 있는 컵을
단돈 300원으로 샀다고 생각하면
괜찮은 것 같기도 함! ㅎㅎ
크게보기
사진 [디즈니 겨울왕국]
엥?? 그거 반납하는 컵인데
설마 모르고 있었던 거야!??
...이걸 반납하는 거라구?
나 이거만 10개 모았는데..
아고 친구야~! 이거 반납하면
너가 냈던 300원 돌려받는다구
오... 그래? 몰랐네 ㅋㅋㅋ
제주도는 역시 힙하구만~
음?? 사실 이건 환경부에서
추진했던 일회용 컵 보증금제임!
크게보기
사진 [국민일보]
아 진짜로?? 몰랐네...
그게 뭔지 알려줄 수 있엉? ㅎㅎ
당연하지~
크게보기
[짱구는 못말려]
일회용 컵 보증금제는
식음료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일회용 컵을 제공할 때 300원을 받고
반납할 시 이걸 돌려주는 제도야~
크게보기
사진 [MBC 뉴스]
오오~! 이걸 실행함으로써
증가하는 일회용 컵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줄이겠다는 취지인가?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그렇지~ 너가 다녀왔던
제주도에서 이 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한 거야
아하 그랬구나! 근데 제주도는
자발적으로 운영했었던 거야?
음... 아니? ㅎㅎ 사실 환경부에서
반강제적으로 제주도와 세종시에게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시켰었거든
크게보기
사진 [환경부]
헉... 그때 반응은 어땠어??
제도를 정착시키는 게
쉽진 않았을 것 같은데..
크게보기
사진 [MBC 나혼자산다]
그치 사실 처음에는 반발이 심했어
반납 절차가 복잡한 것도 문제였지만
가맹점마다 인건비가 추가됐거든 ㅠㅠ
특히 바쁜 매장들은 더욱 그랬겠다...
그런데도 잘 자리를 잡고 있는 거지?
취지는 좋은 것 같아서 유지됐음 하는데..
그니까.. 취지는 참 좋은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대 ㅠㅠ
허걱... 어떤 문제가 있는 거야?
크게보기
사진 [MBC 아빠어디가]
얼마 전에 환경부가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철회했거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뭐!?? 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그 좋은 제도를 철회한 거야..??
사실 이 제도가 실효성 측면에서
비판받은 부분도 있었거든?
응응 근데 시범 시행했던 지자체의
많은 노력으로 극복했던 거 아니야..?
맞아~ 특히 제주도의 경우에는
이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엄청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줬거든
그래! 그게 내 눈으로도 보이더라
지난 6월부터는 보증금제 미참여 카페에
별도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도 했다는데...
크게보기
사진 [한국일보]
응응 그것도 그렇고
보증금제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면서
컵 반환율을 64% 이상 상승시켰거든
크게보기
사진 [환경부]
헐~ 제주도... 진짜 대단한 동네구만?
그건 그렇고, 이렇게 시범 지자체에서
성공적으로 해냈는데 대체 뭐가 문제야
문제는 또 하나의 시범 지자체인
세종시에서 발생하게 되었지... ㅠ
음... 세종시 상황은 어떤데?
같은 선도지역인 세종시의 경우
일회용 컵 반환율이 45%에 그쳤어
아하... 큰 변화가 없었구나...
응응 ㅠㅠ 게다가 세종시에는
환경부가 자리 잡고 있는데...
반환율이 이 정도로 낮으니까 ㅠㅠ
크게보기
사진 [세종매일]
아 그래서 이 제도를 성공시킨
제주도가 특수한 경우인 거고
다른 지자체에서도 쉽지 않을 거다..?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결론적으로 보면 그런 입장이지
사실 지난달에는
환경부 감사가 있었거든?
응응 지난달이 감사 시즌이긴 했지..
크게보기
사진 [감사원]
감사원이 환경부에게
일회용 컵 보증금제 취지를 살리도록
전국 확대 시행 방안을 마련하라고 했는데
응응 그럼 성공시킨 제주도를
롤모델 삼아 연구하면 되지 않나..?
그치 사실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환경부에서는 그냥 이걸 철회시키고
보증금제를 지자체 자율에 맡겨버렸어ㅎ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오잉... 솔직히 말하자면 좀 어이없다
어떻게 보면 환경부라는 정부 기관에서도
관리하기 어려운걸.. 어떻게 지자체에서 해
그치 그래서 이 문제를 두고
다양한 단체에서 우려를 표현하고 있어
아고.. ㅠㅠ 그렇겠구나...
환경부는 어떤 의견이야?
사실 환경부에서도 아무 논리 없이
이 제도를 철회한 거라고 할 순 없는 게
보증금제에 대한 문제가 있긴 했거든??
불편한 거 말고 또 다른 문제가 있었어?
응응...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하기 위해서
꼭 선구매해야 하는 '보증라벨'이 있는데
이게 1장당 317원이거든
크게보기
사진 [제주투데이]
헐... 300원이 넘는 가격인 거네?
가맹점이나 개인 카페에서는
너무 부담스러운 비용인 듯....
웅웅... 이 문제는 대형 프렌차이즈와
소상공인 사이의 차별로 이어지기도 했고
에휴... 그런 걸 고려해 봤을 때
강제적으로 시행하는 건 조금
비현실적이었던 것 같기도 하네..
그래서 환경부는 기존 제도를
철회하고, 조금 더 유연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거야
음... 근데 있잖아
귀찮은 제도를 자율에 맡겨버리면
지키는 지자체가 얼마나 있을까?
그래~ 내 말이 바로 그거야!
환경단체가 걱정하고 있는 것도 그거고
이 제도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제주도 입장에서도 좀 서운할 것 같아
맞아, 보증금제 철회에 대해서
제주도가 크게 반대하고 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솔직히 제주도도 처음엔 쉽지 않았을 텐데
네 말대로 제주도에서도
추가 비용을 감수했었고
매장과 고객 간의 마찰도 있었지..
그러니까, 그걸 어느 정도 해결하고
반환율도 반 이상 올려놓으니까
갑자기 철회하겠다니.. 말도 안 돼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그치 ㅠㅠ 사실 제도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도 있잖아
그렇지.. 준비 기간도 있어야 하고
시민들이 인지하는 시간도 필요하지
녹색연합에서는 제도가 안착되고 있는데
정부가 일회용품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규제 권한을 포기한 거라 비판하고 있어
크게보기
사진 [녹색연합]
응응 그 말이 맞네~!
일회용품 문제로 인한 보증금제는
지난 정부부터 이어져 온 국정과제였다며...
크게보기
사진 [그리니엄]
그치 ㅠㅠ 근데 또 소상공인들은
보증금 제도로 인한 부담을
덜 수 있다며 철회를 반기고 있지...
하... 이게 좀 어려운 문제이긴 한데
우리가 계속해서 환경 문제를
외면할 수 있는 것도 아니잖아
맞아, 사실 이 제도를 끝까지 책임지고
소상공인이 받을 피해를 최소화하여
안착시키는 게 제일 좋은 방법이긴 해
크게보기
사진 [녹색연합]
근데 이미 환경부에서 철회한 상태인데
여기서 더 바뀔 수 있는 게 있을까....??
너무 좋은 제도였는데 많이 아쉽네 ㅠㅠ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철회와 관련하여 많은 단체에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어떻게 될진 지켜봐야지..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추진했던 환경부가 이를 갑작스럽게 철회하며 보증금제가 사실상 백지화되었습니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는 일회용 컵을 사용할 때 300원을 지불하고, 이를 반납했을 때 다시 돌려받도록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가 철회되며, 시범 시행하던 제주도와 더불어 많은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일회용컵, 플라스틱 빨대 "다시 금지"...다회용기는 '무인회수기'에 반납
2022.03.25
코로나 시대에 일회용기 폐기물은 얼마나 늘었나
2021.08.16
코로나 발 일회용품 포화상태, 해결방법은?
2020.07.08
반환율 70% 올렸는데…‘일회용 컵 보증금제 철회’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