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YOLO 즐기다 골로 갔다...청년 '신용불량' 심각
2023.10.16
스크랩
1
썰리야~ 이거 봤어?
20대의 빚이 엄청 늘어났대..!
고금리에 당했나, 무계획이 망쳤나…41% 빚 늘어난 20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0618
응응, 안 그래도
요즘 청년들의 신용 불량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상황이라
너랑 같이 이야기해 보고 싶었는데~!
오오, 나랑 마음이 통했네?
안 그래도.. 이런 현상이
왜 생겼는지 궁금했걸랑 🤔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그럼 오늘은 청년 신용 불량이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하자~ ㅎㅎ
좋아!
청년이라면.. 20~30대일 텐데
대부분이 사회초년생 아니야..??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응응, 그렇지
아니 사회초년생이
빚이 있어 봤자 얼마나 된다고..
이번에도 나라에서 오바하는 거 아님?
ㄴㄴ... 한국신용정보원에 따르면
6월 기준, 30대 이하 채무 불이행자가
약 23만 1천200명이나 된다고 하더라 😥
엥? 내가 지금 잘못 본 건가... ;;
20대 신용불량자가 그렇게 많다고?
엉... 나도 처음 들었을 땐 안 믿었는데 ㅠ
지난해인 2022년 말과 비교했을 때
6개월간 약 1만 7000명이나 증가한 거래..!
크게보기
사진 [진선미 의원실 제공]
헐.. 6개월동안 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ㅇ
그건 차근차근 설명해 주도록 하지!
일단, 한 가지 단어를 알려줄게 😊
응응!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내가 앞으로 이야가 하는 동안엔
신용불량자를 '금융채무 불이행자'
혹은 '채무 불이행자'라는 단어로
바꿔서 설명해 줄 거야~ 😎
크게보기
사진 [데일리포스트]
오홍~
신용불량자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어쨌든 똑같은 의미인 거지?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그렇진 않아
신용불량자 제도는 2005년에 폐지됐거든
아하..! 신용불량자 제도 대신해서
금융채무 불이행자 제도가 생긴거?
웅웅
금융채무불이행자는 3개월 이상
금액 납부를 연체한 사람을 말하고
이땐, 금융거래가 전면 중단되고 있어
크게보기
사진 [브런치스토리_시시콜콜]
아아, 완전 이해했음! ㅎㅎ
그나저나, 금융거래를 못 하는 청년이
23만명이나 된다니 너무 충격적인데?
더 심각한 건 채무 불이행자가 늘면서
'등록 금액'도 함께 증가한다는 거야
흠... 등록 금액이 뭔데?
등록 금액은
채무 불이행자의 잔여 대출 원금이야
아하... 잔여 대출 금액이 늘어나다니
당장 작년과 비교하면 어떤데?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29세 이하 채무 불이행자의 경우
지난해 2천150만원이던 등록 금액이
올해 6월, 2천 370만원으로 늘었어
크게보기
사진 [신용정보원, 진선미 의원실]
오호.. 그렇게 많이 는 것 같진 않지만
어쨌든 늘어났다는 것만 집중해 보면
심각한 지표인 것 같긴 하다.. ;;
맞아, 그리고 30대의 경우에도
3천460만원에서 3천900만원으로
늘어난 상황이야 ㅠㅠ
크게보기
[사진 꼬마펭귄 핑구 ]
오우.. 그나저나, 돈이 제일 무섭잖아 😣
솔직히 채무 불이행자 되기 쉽지 않은데
청년들은 돈을 빌려놓고도 안 갚는다는 거?
크게보기
[사진 JTBC 아는형님]
사실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고금리가 지속되며 경기 회복이 안 되잖아..
그래서 이자가 엄청나게 불어나고 있거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앗...!
이자를 감당 못 한 청년들이
신용 불량 상태에 빠지는 거구나 ㅠㅠ
웅웅..
근데 말이야.. ㅠㅠ
이제 막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청년들이
어마어마한 대출 빚을 언제 다 갚아...? 😑
그 부분에 대해서도 할 말이 너무 많다..ㅜ
아직 경제에 미숙한 청년들 사이에서
'카드깡' 유혹이 퍼지고 있어 참 문제야..
크게보기
사진 [아주경제]
잉? 카드깡은 또 뭐야...
카드깡이란, 신용카드를 이용해서
현금을 만들고 유통하는 행위를 말하거든?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와우 그건 또 뭐람?
딱 봐도 불법일 것 같은데... ㄷㄷ
맞아! 이건 명백한 불법행위야
여신전문금융법을 위반한 혐의로
3년 이하의 징역과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정도라구..!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헐.. 근데 그게 청년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다니 ;; 너무 무서운데..
크게보기
사진 [MBC 아빠어디가?]
카드깡을 하게 되면
한국신용정보원에 등록되어서
5년간 대출과 금융거래에 제한되기도 해
크게보기
사진 [한국신용정보원]
빚이 너무 많아서 부담된다고 하더라도
카드깡은 진짜 하면 안 될 것 같네.. ;;
카드깡은 신용도가 너무 낮아서
은행,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활용하는 게 대부분이라고 해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아하..! 그럼 젊은 세대들이
많이 쓰는 방법이 따로 있는 거야?
응응 젊은 세대들은 '개인회생'을 하더라구
엥,, 개인회생? 그건 또 뭔디!??
개인회생이란, 과도한 채무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서
법원이 강제로 채무를 재조정하며
그들의 파산을 구제하는 걸 말해
크게보기
사진 [대한민국법원 전자민원센터]
흠... 개인회생은 그럼 불법도 아니고
빚 때문에 고통 받는 사람이면
무조건 다 할 수 있는 거야??
무조건 다 할 수 있는 제도는 아냐!
개인회생을 할 수 있는 조건이 있거든
오... 어떤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건데?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파산의 염려가 있는 경우와 더불어
재산보다 채무가 많고
지속적인 수입이 예상될 때 가능해
아아, 생각보다 조건이
까다롭지는 않네?
앗, 이거 하나 빼먹었다!!
담보대출이 10억 이하거나
무담보대출이 5억 이하여야 해
그 조건이 충족된 사람들은
개인회생을 신청해서 구제되는 겨?
응응, 일정 기간 동안 법원이
조정한 금액을 변제함으로써
나머지 원금과 이자에 대한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어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아하...! 한마디로
과도한 빚을 조정해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거네!
예아~! 그렇지
흠... 괜찮은 것 같긴 한데
개인회생을 신청하는
청년들이 얼마나 돼?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최근 3년간 개인회생 현황을 보면
올해 상반기에 진행된
청년 개인회생 건수만
2만 5천244건이라고 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헐... 상반기에만
그정도라니...ㅜ
생각보다 엄청나구나
21년과 22년의 청년 개인회생은
각각 3만6천, 4만4백 건 정도였거든?
이를 고려하면 올해도 지난해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거지 ㅠㅠ
오호라... 근데 전체적으로 봤을 땐
내가 걱정한 것보다 심각하지 않은 듯?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음.. 한국은행에 따르면
30대 이하 연체율 자체는
지난해 0.41%에서 올해 0.58%로
소폭 상승한 게 맞긴 하거든?
이야~ 거봐!
객관적인 수치로만 보면
완전 조금 오른 거 아냐?
숫자로만 보면 당장 와닿지 않겠지만
우리가 조금 더 집중해서 봐야할게
바로 '30대 이하 취약차주 연체율'이야
크게보기
사진 [한국은행]
아놔 너무 어렵네 ;;;
취약 차주 연체율은 또 뭔데!
취약차주 연체율이란
3개 이상 금융기관의 채무자이면서
저소득, 저신용을 지닌 차주를 말해
와우~..;; 시한폭탄 그 자체 아니야?
돈을 갚을 능력도 없으면서
무턱대고 돈을 빌린 거네
크게보기
사진 [디지몬]
그치, 청년 취약차주 연체율을 보면
지난해 5.80%에서 8.41%까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거든..ㅠ
좋지 않은 신호인 거지
오~마이갓...
이 상황이 장기화되면
청년 개인의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 전반이 휘청일 것 같은데
크게보기
[사진 MBC 아빠어디가]
맞아, 그래서 '빚쟁이' 청년이
늘어나는 원인을 알아내고
이를 해결하는 게 시급하지
인정!
그렇다면, 청년이 빚쟁이로
전락한 이유는 뭐라 생각해?
뭐.. 개인마다 여러 사정이 있겠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문제는 두 가지야
어어, 뭐가 있는데??
첫 번째는 '빚투'와 '영끌'인데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시대에 맞물려
가상화폐나 주식, 부동산 투자를 위해
대출의 방식을 사용한 청년이 늘었거든
크게보기
사진 [부산파이낸셜뉴스]
하아,, 내 주위를 둘러봐도
빚을 내서 비트코인 하다 망했다는
친구들이 많아서 남 일 같진 않네 ㅠ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청년세대가 느낀 경제적 불안감'이
사회 깊은 뿌리로 박힌 탓이라고
해석하기도 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으음... 사실 나도
'월급만으로는 집도 못 산다'라는 말을
많이 들어서, 주식 투자도 고민했걸랑
같은 입장으로서 이해가 되긴 하네 😓
두 번째, 경제적 불안감이라는 것과는
조금 역설적이게도 '과소비'가
원인으로 뽑히기도 했어
크게보기
사진 [서울신문]
젊은 세대의 과소비라...
다른 세대들과는 달리 SNS를 위한
과시용 소비를 하는 것 같긴 해 ㅠ
어엉...
값비싼 오마카세를 먹거나
호캉스 투어를 하는 등의 소비가
예전에 비해서 늘어난 건 사실이지
크게보기
사진 [머니투데이]
꼰대 같은 말로 생각해서
그냥 한 귀로 흘렸는데..
어른들 말은 틀린 게 없네
이런 것들을
종합해서 보았을 때,
소비의 주체가 되는 개인이 먼저
경제관념을 배우는 게 중요한 것 같아
인정한다.. ㅠㅠ
하지만 이 시점에서
정부나 금융당국이 좀 나서야 하지 않아?
응응, 정부도 이 문제를
그냥 지켜만 보고 있는 건 아냐
오 역시~
신용회복위원회에서는 저신용 청년층
대상으로 '신속채무조정 특례 프로그램'을
신설했는데, 이걸 통해 청년 4만 8천명이
1인당 141만원~263만원 정도를 던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머니투데이]
에엥? 잠만!!
이건 좀 어이가 없네..;;
빚내서 투자하고, 절제 없는 소비로
생긴 빚을 정부가 세금으로 메운다고?
너처럼 용납이 안 된다는
여론이 많았지만
엉엉 ;;;
금융위원회는 이 제도에 대해서
청년들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대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음... 들어 보니
또 납득이 되는 것 같기도 하네 ;;
ㅇㅇ 어쨌든 국가 입장에서
청년의 신용도가 좋지 않다면
장기적으로는 경제 침체가 발생하니
이 방법이 최선일 수 있었던 거지.. ㅠ
하... 그래 인정한다
그래도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 교육도 필요할 것 같고....
마져... 단순히 빚을 줄여준다고
이 문제가 해결될 순 없다고 생각해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안이 구체적으로 나와야 할 듯..!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우웅, 어려운 경제 이야기를
이렇게 풀어서 설명해주니 넘 좋넹
나도 더 신중하게 돈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도 고마워 ㅎㅎ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한국신용정보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30대 이하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약 23만 1천200명입니다. 이는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6개월 만에 약 1만7천명이 증가한 수준입니다.
높은 이자율에 부담이 많아진 청년들을 향한 '카드깡' 유혹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또한, 올해 상반기 동안 발생한 '청년 개인회생' 신청 건수는 2만5천244건으로 상당히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신용 불량' 청년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을 1) 과도한 빚투(빚내서 투자)와 영혼까지 끌어올린 부동산 투자 2) SNS 과시용 소비라고 지적합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지갑 얇은 MZ세대 잡자…불붙은 ‘디지털 외상’ 서비스
2022.07.22
“수·삼·밸이면 비정규직도 괜찮아” MZ세대에 희망 일자리 물어보니
2022.05.18
"2060년 퇴직자 모십니다"…30배 폭증 MZ 연금개미들 잡아라
2022.04.14
YOLO 즐기다 골로 갔다...청년 '신용불량' 심각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