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고립은둔청년만 54만명…범정부 지원방안 발표
2023.12.15
스크랩
2
헐~ 썰리야 그거 봤어?
보건복지부에서 처음으로
고립·은둔 청년 조사를 했대
하루종일 한 말은 "담배 주세요" 뿐…이런 청년 54만명 [잊혀진 존재①-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4667
맞아~ 나두 관심있게 봤는데!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은둔 청년을
포함한 고립 위기에 놓인 청년들이
전국에 54만 명에 달한다고 하더라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헉...! 그렇게 많을 줄은 몰랐네 ;;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할 나이인데
집에서 고립되어 있다니 속상하다 ㅠ
그치, 이는 전체 청년 인구의 5%라고 해
그리고 이 고립,은둔 청년들을 살펴보면
61.1%는 사회에서 단절된 지 1년이 넘었대
그렇네, 게다가 고립된 지 10년이
넘었다는 응답자도 6.1%니 엄청 심각하군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고립·은둔 청년을 분석해 보니까
대학을 졸업한 20~30대에 고립된
이들이 약 70%나 된다고 하더라고
사실 나는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이
은둔 생활을 할 거라곤 상상 못 했어
크게보기
사진 [픽사베이]
학력 수준만을 비교해 보자면
대졸이 75.4%로 가장 높았고,
고졸 18.2%, 대학원 5.6%이더라
에고... 고립을 방치하면 더 큰 단절이
된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것 같은데 ;;
혹시 그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대?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초고위험군인 2.4%는
자기 방 안에서 나오지도 않는다고 해
또 아주 짧게 외출하는 경우도 많았고
에휴... 사실 그렇게 실내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는게 오래되면
너무 축축 쳐지고 힘들 것 같아 ㅠㅠ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그러니까, 고립·은둔 청년의 75%가
자살을 생각한 적 있다고 할 정도고
80%는 고립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어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와 ;; 그렇게 통계적으로 보니까
심각한 게 더욱 와닿는 것 같아
정부에서도 이 문제를 파악하고 있기에
지난 13일, '고립·은둔 청년 지원방안'을
발표했더라고~ 같이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
오! 범정부차원의 지원이 생기는 건가?
응응, 전에도 개별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책은 있었지만, 중앙정부에서 범정부적
차원의 대책을 낸 것은 처음이라고 하더라
정말 너무 잘됐다 ㅠㅠ 어떤 것들이 있어?
우선, '원스톱 도움 창구'를
내년 하반기 안에 마련한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보건복지부]
오호... 원스톱 도움 창구?
정확히 어떤 건지 알려줄래?
원스톱 도움 창구란,
비대면으로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상담 창구로 보면 돼
오오, 고립청년들을 고려한 게 티가 나
그들의 주된 활동 공간이 '온라인'이잖아
크게보기
사진 [포켓몬스터]
그치, 보건복지부 소관 공공 사이트에는
'자가진단시스템'을 마련해 고립과 은둔
위기 정도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해
오~ 자가진단시스템으로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쉽게 알 수 있겠네
그렇지, 또한 '129 보건복지상담센터'에
청년 항목을 신설해 당사자, 가족, 친구 등이
관련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넹!
크게보기
사진 [MBC 무한도전]
오오 좋다!
또한, '대학생' 은둔고립 청년 비율이
높은 만큼 대학생 자원봉사단이 움직인대
대학생 자원봉사단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위기 청년을 직접 발굴한다는 정책, 맞지?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응응, 그리고 보육원과 같은 보호시설의
보호 종료 5년 이내의 자립준비청년은
'고위험군'으로 여겨지는 거 알아?
크게보기
사진 [국민일보]
아... 그런 이야기는 또 처음 들어봤네
그들을 잘 도와줘야 할 것 같은데 ;;
응응, 그들을 돕기 위해
'탈고립과 은둔 전담인력'이
관련 기관에 배치된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고립, 은둔청년을 발굴하는 것부터가
정말 어려울 것 같은데.. 이렇게 하나씩
체계적으로 진행한다고 하니 정말 좋은 듯!
그치, 이렇게 발굴된 고립 청년은
그들에게 '맞춤형'인 지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청년미래센터'가 운영된다고 해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청년미래센터에는
특별한 전담 관리사가 있는 거야?
응응, 전담 사례관리사는 도움을 요청한
청년들을 만나 심리상담, 대인접촉 확대 등
일상회복, 가족 대인관계 회복, 일경험 등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준다고 하더라고
크게보기
사진 [에비츄]
정말 뜻 깊은 정책인 것 같네 ㅎㅎ
그나저나, 고립된 청년들을 발굴하고
심리상담 등의 프로그램 제공까진 좋은데
청년들이 그 상황들을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정서적 취약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케어프로그램'을 확대하기도 하고
특화형 매입임대제도를 통해 은둔 청년의
공동생활과 커뮤니티 공간 마련을 도와준대
정말 좋당! 그런데 더 이상의 청년들이
은둔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예방도
정말 중요한 것 같아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그치, 그러기 위해서는 청소년과 청년이
학교나 직장 등에 잘 적응하는 게 중요한데
그러니까~ 그런 다각적인
대책도 정말 필요해 보이는데 ;;
이를 위해 학교 폭력, 부적응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도와주는
'학생맞춤형통합지원 선도학교'를
전국적으로 늘린다고 하더라고~
크게보기
사진 [교육부]
굿! 어떻게 보면 첫 번째 사회생활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에서부터 적응을 돕는다면
공동체 생활에서 상처받는 것도 줄어들 듯
응응, 그리고 청년들이 취업 초기 기간동안
직장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보딩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해
온보딩...? 그건 어떤 거야?
온보딩(On-Boarding) 프로그램은
기업과 정부가 함께 진행하는 것으로,
기업 경영자는 '청년친화적' 조직문화를
청년은 성장방법, 소통, 협업을 배우는 거야
오~ 정부와 기업이 도와주니까
확실히 큰 도움이 될 것 같당!
이 온보딩 프로그램에만
44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해
크게보기
사진 [심슨가족]
정부에서도 고립·은둔 청년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만큼, 더 이상
방 안에 고립돼 외로운 싸움을 하는
청년들이 생기지 않았음 좋겠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스스로를 자신만의 공간에 가둔 '고립청년'은 54만 명입니다. 이들 중 사회활동을 하지 않는 '은둔청년'은 24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지난 13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고립·은둔 청년 지원 방안'이 발표됐습니다.
지원 방안에 따르면 비대면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원스톱 도움 창구'가 내년 하반기에 마련됩니다. 또한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도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정신건강, 국가가 책임진다…'정신건강정책 대전환'
2023.12.08
'우울증갤러리' 투신 방조한 남성, 이번엔 성범죄 저질러
2023.06.27
뿌연 죽음의 그림자 "미세먼지때 우울증 극단선택 19% 증가"
2022.06.04
고립은둔청년만 54만명…범정부 지원방안 발표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