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해요
아니, 괜찮아
로그인하기
모드 설명
다음 버튼 설명
Close
썰리
이전 페이지로 이동
전체보기
공유
93세 동갑 아내와 동반 안락사…네덜란드 전 총리의 선택
2024.02.15
스크랩
2
썰리!
너 이 이슈 기억나?
왕래도 없던 언니가 '존엄사'를 결정한다고?
https://ssully.joins.com/View/4017
그럼!!
내가 안락사와 존엄사에 대한 차이점과
안락사의 결정권자에 대한 이슈를
이야기해 줬었잖아!!
맞아!! 내가 최근에 안락사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지기 시작했는데!
사실 안락사는 네덜란드에서
2002년에 처음으로 안락사를
합법화했잖아?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웅웅 그랬지!
그래서 최근에 해외에서
안락사로 생을 마감한 사람들은
과연 왜, 어떻게 안락사를 선택하게
된 거지 궁금해져서!!
으음! 좋은 질문이군 ㅎㅎ
너한테 답이 될 만한
아주 좋은 이슈가 최근에 있었어!!
크게보기
사진 [아따아따]
오옹 정말??
알려줘!!! 당장 ~
최근 드리스 판 아흐트
전 네덜라드 총리가 자택에서
동갑내기인 부인과 동반 안락사로
생을 마감했거든!
크게보기
[사진] 라드바우드대학 홈페이지
헉?? 네덜란드 전 총리가?
웅웅 권리포럼연구소에서는
전 총리 부부가 고향인 네이메헌에서
손을 잡고 죽음을 맞이했고,
장례식을 비공개로 치러졌다고 전했어!
아하! 두 분이 한날한시에
같이 삶을 마감했다니..
뭔가 미묘한데
판 아흐트 전 총리는 팔레스타인
추모 행사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계속 건강이 좋지 않았었고
항상 내 여인이라고 부르던 아내와
70년을 같이 산 후 삶을 마감한 거지
크게보기
[사진] 라드바우드대학 홈페이지
아하.. 몸이 이미 많이
아프신 상태였군!!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근데 사실 이번 사례와 같은
동반 안락사는 최초로 안락사를
합법화한 네덜란드에서도
드문 일이긴 해!!
그치??
나도 동반 안락사 사례는
처음 들어본다 했다!
웅웅 ㅎㅎ 현재
네덜란드는 6가지 조건 아래에서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는데!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우웅!
환자가 견딜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으며
치료 가망이 없고, 오랫동안 독립적으로
죽음에 대한 소망을 밝힌 경우에 한해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어!
그럼 전 총리 외에도 네덜란드에서
안락사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아?
우웅! 2022년 한 해 네덜란드에서
안락사를 선택한 사람은 총 8720명으로
전체 사망의 5%나 차지하고 있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이야..
하지만 아까 동반 안락사는
흔치 않다고 했잖아?
웅웅 그래서 동반 안락사는
2020년에는 13쌍, 2021년은 16쌍
2022년에는 29쌍에 불과했대!
확실히 네덜란드 안에서는
작은 비중이지만 안락사가 흔치 않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현저히 많게 느껴지긴 한다!
맞아! 네덜란드 안락사 전문센터
대변인 엘케 스바르트는 동반 안락사
요청에 대해 늘고 있지만 여전히
드물다고도 이야기했대!
아무래도 두 사람이 함께
동시에 안락사를 하길 원하는 사람이
많이 없어서 그런가 보다!
웅웅! 네덜란드 이외에도
스위스, 벨기에, 스페인 등에서도
안락사가 합법화된 상태라는 거
알고 있었어??
헉! 나 전혀 몰랐어..
심지어 미국에서는 10여 개 주에서
의사조력자살을 허락하고 있어!
스위스는 외국인의 조력 자살도
허용하고 있고!
헐 근데 썰리
의사조력자살이 뭔지
알려줄 수 있어??
의사조력자살이란
독극물 처방은 의사가 하되,
이를 복용하거나 투약하는 행위는
환자 본인이 직접 하는 것을 말해!
크게보기
[사진] 연합뉴스
헉.. 그럼 의사가 직접 독극물을
투여하는 안락사와는 다르지만
환자가 자신의 의지로 삶을
종결한다는 점에선 안락사와 같네!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맞아!!
한국에선 2018년부터 시행된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따라서
혈액 투석, 항암제 투여 등의
연명 의료를 거부할 권리만 있어!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맞아!! 저번에 썰리가
알려줬잖아 ㅎㅎ
사실 존엄사와 안락사는
종교계와 의료계에서 여전히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는데!
으흠.. 이유는 무엇일까?
안락사와 존엄사가 완전히 허용되면
자살을 부추길 수 있고, 사회와 경제적
약자가 존엄사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강요당할 수 있다는 이유지!
크게보기
[사진] 중앙일보
어느 정도 일리가 있는 말이다!
그리고 안락사는
소득에 따른 쏠림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도
논쟁거리 중 하나야!
오호? 그게 구체적으로
무슨 말이야?
고소득자, 고학력자일수록
안락사를 택하는데, 이는 안락사가
비용이 꽤 많이 드는 행위이고
소득이 높을수록 조력 사망을
고민할 만큼 오래 살 가능성이 크니까!
아하!! 이해됐어
정리하자면 안락사를 하고 싶어도
돈이 없는 사람들은 못하는
쏠림 현상을 말하는 거지?
마장..
안락사에 대해서 계속해서 생기는
논쟁거리들이 우리로 하여금
다양한 생각을 하게 만드는 것 같아!
웅웅..
우리나라에서는 아니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활발하니까!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칠지..
두려우면서도 궁금하다!
웅웅! 어때 궁금증이
좀 해결되었나요~?
넹넹
감사해요오 썰리!
크게보기
[사진] 짱구는 못 말려
어렵다고? 더 요약한다!
드리스 판 아흐트 전 네덜란드 총리가 자택에서 동갑내기인 부인과 동반 안락사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이번 사례와 같은 동반 안락사는 2002년 세계 최초로 안락사를 합법화한 네덜란드에서도 드문 일입니다.
유럽에선 스위스·벨기에·스페인 등에서도 안락사가 합법화된 상태이며 미국에서도 10여 개의 주에서 의사조력자살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줄까? 썰리의 추천
2000만원에 안락사가 가능하다고?
2019.04.07
사람 사냥하는 개 안락사 시켜야 한다는 게 뭐가 잘못된 건데?
2019.07.05
귀 망가뜨리고 방치..대학병원의 이상한 안락사
2020.04.24
93세 동갑 아내와 동반 안락사…네덜란드 전 총리의 선택
닫기
간편 로그인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해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로그인 닫기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링크복사
취소